지역실습_동구보건소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지역실습_동구보건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간호사정
-간호진단
-우선순위설정
-목표설정
-방법,수단선택
-수행,평가계획
-참고문헌

본문내용

수행 계획
평가계획
수행내용
수행자
수행방법
시기
장소
평가기준
평가방법
- 국가 암 조기검진 사업을 통해 검진수검률46.8%에서 48.2%로 높인다.
- 당해연도 암검진 대상자 비율 조사
암 검진기관 종사자,
건강보험공단 직원
- 공휴일검진기관 확대
- 암 예방을 위한 국가 암검진 홍보 및 캠페인 활동 (교육, 포스터)등
2021년 1월~12월
- 암 검진기관 및 건강보험공단, 주민센터, 일자리경제과, 노인장애인복지과
- 암검진 수검률 비율
캠페인 참여율
- 사업 전 후 수검률 측정치 비교
- 캠페인 교육 후 교육내용에 대해서 3가지 이상 말할 수 있는지 확인한다
- 재가 암환자 관리사업을 통해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의약품이나 소모품 등을 무료 지급한다
- 등록된 재가암환자 200여명에 대한 방문건광관리 및 건강사랑방 운영
지역사회 간호사,
의사
- 방문건강관리 : 기초건강체크 및 상담, 복약지도, 만성질환관리 교육 의료소모품 제공 등
- 암환자 건강사랑방 운영 :
숲체험·명상요가, 인문강좌 등 힐링 프로그램 제공
전화 후 대상자 방문하여 사정 후 사례관리 대상자로 등록
2021년 1월~12월
재가 암환자
자가
암환자 건강
사랑방
- 등록여부
- 만족도 설문지
건강사랑방운영 참여율
- 무료 암 검진을 통해 의료취약계층의 암 검진율을 10%이상상승시킨다.
- 20만원 상당 건강 검진비 지원
지속적인 검진율 상승을 위한 사후관리
지역사회 간호사,
건강 관련 종사자
- 관내 의료기관 연계를 통해 무료 암검진 실시
2021년 3월~12월
복지정책과, 동주민센터
- 의료취약계층의 무료 암 검진 지원 전·후 조기발견율 비교
- 무료 암검진 후 의료취약계층의 조기발견율
■느낀점
OOO: 지역사회간호학은 일반 실습과 달리 병원이 아닌 보건소로 나가는 실습이었습니다. 하지만 코로나-19로 인해 1기~3기는 OO문화센터 4층에서 예방접종을 도와주는 실습을 했습니다. 이것도 보건소에서 실시한 일이기 때문에 당연히 최선을 다해서 하겠다고 다짐을 하였고 실제로 열심히 하였습니다. 1주간 실습을 하면서 치침서에 공부하여 적은 것처럼 보건소가 하는 일, 코로나의 증상, 백신의 부작용, 감염병이란 무엇인지 공부할 수 있는 좋은 기회였습니다. 옆에서 같이 일하시는 분들도 너무 친절하게 잘 알려주셨고 접종실에서 접종 도우미를 했는데 간호사 선생님께서 주사를 백신 접종하는 모습도 보았습니다. 저도 마침 핵심술기가 근육주사여서 부끄럽지만 세심하게 쳐다보고 어떤 식으로 주사를 놓는지 그리고 정신이 아프신 환자분들에게 주사를 놓을때는 어떤 식으로 접종하는지 달래주면서 아프지 않게 빠르게 하시는 모습을 보고 저도 저 정도의 스킬을 가지고 예방접종을 해보고 싶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자원봉사자님들과 신청해서 오시는 의료진분들, 119 구급대원님들 보고 이런 분들이 있어서 지역사회간호는 정말 우리 지역사회에서 꼭 필요한 간호학이라고 생각이 들었고 아직 한국은 살만하다고 느겼습니다. 이번 실습을 통해 지역사회간호학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어 좋은 실습이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OOO: 지역사회실습은 처음이라 많이 긴장되고 기대되었던 실습이었다. 특히 지역사회실습 케이스는 그동안 실습하면서 해왔던 케이스들과는 달랐기 때문에 실습나기 전부터 케이스 작성에 대한 부담감이 있었는데 그래도 이번에 팀으로 케이스 작성을 할 수 있어서 부담감이 조금 덜 했다. 동구 살면서도 동구의 지리적 특성도, 인구특성도, 건강수준들도 잘 몰랐었는데 이번에 케이스를 준비하면서 그동안 몰랐던 정보들을 많이 알게되었다. 동구예방접종센터는 코로나 백신 1차를 맞기 위해 실습 전에 가봤었는데 그때는 갔었을 때는 어떤 시스템으로 이루어지고 어떻게 업무를 나눠서 하는지 아무것도 모르고 마냥 주사맞는 것이 떨렸었는데 실습생으로 가니 느낌이 많이 새로웠고, 어떻게 역할 분담해 업무를 담당하는지 직접 실습하면서 파악할 수 있었다. 이번에 실습하면서 예진표 작성 보조와 접종 보조를 하였고 실습하면서 의사소통 기술 향상과 근육주사 관찰을 하면서 핵심술기를 준비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OOO: 처음 나간 지역사회간호학실습이라 많이 떨리고 긴장됐다. 보건소에서 지역사회 보건은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 지는지 어떤일을 하는지 배우고 싶었지만 코로나로 인해 보건소가 아닌 동구예방접종센터로 나가게 되어 살짝 아쉬웠다. 하지만 일주일동안 했던 예방접종센터실습은 뜻깊은 경험이였다. 예진표 작성부터 접종 돕는 역할까지 지역사회주민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일을 할 수 있어서 매우 뿌듯했다. 그리고 동구청,보건소,통계청 등 여러 사이트들을 돌아다니며 지역사회에서 이루어지는 사업들과 지자체별 인구 수 그래프,남녀 성비 등 이렇게 많은 자료들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지역사회에서 진행하는 사업이 정말 다양하다는 것을 알았고 아직 내가 모르는 부분들이 많아 더 배워야겠다고 생각했다
※ 참고문헌
동구청 : https://www.donggu.kr/index.es?sid=d4
치매검진 및 인식개선 : https://www.donggu.kr/menu.es?mid=a70509030000
국가통계포털 : https://archive.md/OHKzO
질병관리본부 : http://www.kdca.go.kr/index.es?sid=a2
지역사회 건강통계 : https://chs.kdca.go.kr/chs/recsRoom/healthStatsMain.do
보건소통합정보시스템 : https://is.kdca.go.kr/
주민등록 인구통계 행정안전부 : https://jumin.mois.go.kr/
광주사회통계조사 : https://www.gwangju.go.kr/boardList.do?boardId=BD_0000070105&pageId=www186
사망원인통계 : https://www.kostat.go.kr/portal/korea/kor_nw/1/6/2/index.board
광주광역시 동구 제 7기 지역보건의료계획서(2019~2022년)
광주광역시 동구(건강정책과) 제 7기 지역보건의료계획(2019년도 1차년도 시행계획)
광주광역시 동구 제 7기 지역보건의료계획(1차년도 시행결과 및 2차년도 시행계획)
  • 가격2,5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24.05.31
  • 저작시기2021.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526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