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간호사정
지리적특성, 인구특성, 건강수준, 환경특성, 지역사회 자원
-지역사회 간호사정 자료요약
-간호진단
-우선순위 설정
-문제핼결력
-간호진단
-우선순위결정방법에 따라 선정된 1순위 간호사업의 근거를 요약 기술 하시오
-참고문헌
지리적특성, 인구특성, 건강수준, 환경특성, 지역사회 자원
-지역사회 간호사정 자료요약
-간호진단
-우선순위 설정
-문제핼결력
-간호진단
-우선순위결정방법에 따라 선정된 1순위 간호사업의 근거를 요약 기술 하시오
-참고문헌
본문내용
비만 합병증 및 그 외 비만과 관련된 만성 질환 진단 시 관련 의료기관 협력 요청한다.
비만관련 체질량 지수 측정 의뢰한다.
상업적 특성이 강한 지역적 특성 때문에 퇴근 후 운동 가능한 휘트니스 센터와 연계한다.
개인상담
○
전화상담 직원의 예시
-> 규칙적인 운동을 힘들어 하는 대상자들을 격려한다.
-> 방해요인 파악하여 꾸준히 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현재의 건강 상태에 대한 근심을 표현하게 하고, 경청한다.
보건팀운영
○
보건팀 : 운동을 위한 현재의 신체활동량, 신체문제 사정한다.
보건팀은 비만 뿐 아니라 만성질환의 전반적 관리가 필요하다.
기타
×
지역사회 자원이나 자조그룹에 대한 조직, 정보를 제공한다.
6. 수행 및 평가계획
▶간호문제: 운동부족으로 인한 과체중
▶일반적 목표: 동구 지역주민의 비만 유병률이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6.6% 감소한다.
구체적목표
1) 2021년 9월 1일부터 2022년 8월 31일까지 (약12개월간) 동구 지역 주민에 대한 상담 및 교육을 통해 원간 규칙적 운동 실천율을 35%에서
40%로 5% 증가한다.
2) 2021년 9월 1일부터 2022년 8월 31일까지 (약12개월간) 동구 지역 주민이 비만의 위험성에 대해 지각하게 하여 비만 예방을 위해 비만 예방
교육프로그램에 참여시켜 비만 예방 교육 이수율을 최소 30%까지 증가한다.
3) 2021년 9월 1일부터 2022년 8월 31일까지 (약12개월간) 동구 지역 주민 중 비만인 대상자를 위한 운동교실을 개설하여 체질량 지수를 정상범위로
낮추고 이를 대상자가 유지할 수 있도록 교육한다.
4) 2021년 9월 1일부터 2022년 8월 31일까지 (약12개월간) 동구 지역주민들을 비만 인식 프로그램에 참여시켜 2017년 이후부터 증가된 비만유병율을
36.6%에서 30%로 6.6% 감소한다.
수행계획
수행내용
동구 주민 중 비만인 대상자를 위한 운동 교실 프로그램에
80%이상이 참여할 수 있도록
홍보한다.
동구 주민 중 비만인 대상자에게 상담 및 비만과 운동의 상관관계에 대해 교육을 실시한다.
상담을 통한 문제 인식 여부
비만과 운동의 상관관계에
대한 기초 지식 파악
운동교실을 신청한 대상자들의 운동 전 건강상태를 확인한다.
- 설문지를 통한 생활습관 확인
- 신체검사 및 기타검사
기초 체력 테스트
동구 주민 중 비만인 대상자 중 신청자를 위한 운동교실 운영한다.
수행자
보건소 내 간호사
보건소 비만관리팀
자원 봉사자 및 간호대학생
보건소 내 간호사
운동 강사
자원 봉사자 및 간호대학생
보건소 내 간호사
보건소 비만관리팀
자원 봉사자 및 간호대학생
보건소 내 간호사
운동 강사
자원 봉사자 및 간호대학생
수행방법
홍보물 전시, 전단지 배포
동구 보건소 SNS를 통한
홍보
동구 보건소 홈페이지 게재
설문지
(교육 전 설문지 : 비만과 운동의 상관관계에 대한 기초 지식
교육 후 설문지 : 기초 지식 향상 여부 파악)
1:1 상담
(비만의 위험성과 문제 인식 여부 확인)
동영상 시청
(비만의 위험성, 비만과 운동의 상관관계, 운동의 효과 등)
PPT를 이용한 정보 제공
운동 강사의 강의
설문지
(기본정보, 식습관, 운동실태 등)
신체검사
(키, 몸무게, 체질량지수 확인)
혈압, 혈당, 소변검사
기초 체력 테스트
(기본적인 운동을 시행해보도록 하여 신체능력 검진)
20명 내외 4개 집단으로 운동 교실을 운영한다.
→ ‘건강쑥쑥’ 운동교실
(스트레칭, 요가, 배드민턴, 탁구, 소기구를 이용한 근력운동 등)
시기
2021년 9월 1일 - 2022년 8월 31일 (매주 화, 목)
2021년 9월 1일 - 2022년 8월 31일 (한달에 한번)
2021년 9월 1일 - 2022년 8월 31일 (3개월에 한번)
2021년 9월 1일 - 2022년 8월 31일 (매주 월, 수, 금)
첫날 30분으로 시작하여 차츰
늘려감. 최종 60분
장소
아파트 단지 내 게시판, 유동인구가 많은 장소
광주광역시 동구 보건소 옆 행정복지센터 1층 강당
광주광역시 동구 보건소 옆 행정복지센터 1층 강당
광주광역시 동구 보건소 옆 행정복지센터 1층 강당
평가
평가기준
동구주민의 운동교실 등록자 수
교육 전. 후 설문지
설문지를 통해 자가진단과 보건소 간호사의 진단
주민들의 참여 횟수, 운동지속시간, 체질량지수
평가방법
운동교실 홍보 진. 후의
등록자 수 비교
교육전. 후에 설문지를 통해 비만의 위험성을 자가 인식하고 변화 비교
설문지를 통해 자가 진단한 건강상태와 보건소 간호사가 진단한 건강상태 비교
참여
회수
운동지속시간
(40-60)
체질량
지수(%)
5점
12회
이상
수업시간
전체 수행
10%
3점
6-11
10분 쉽
0.5%
1점
2-5
10분이상 쉽
0.2%미만
일주일 3회* 월5주 = 15회
■ 참고문헌
질병관리청 - 만성질환건강통계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pblcVis/main.do
질병관리청 지역사회 건강통계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pblcVis/OverallSgg.do
광주시청 홈페이지 - 광주연보
https://www.gjcity.go.kr/index.jsp
동구청 홈페이지 - 동구연보
http://www.donggu.kr/menu.es?mid=a10301011000
나무위키 광주광역시 동구
https://namu.wiki/w/%EB%8F%99%EA%B5%AC(%EA%B4%91%EC%A3%BC%EA%B4%91%EC%97%AD%EC%8B%9C)?from=%EB%8F%99%EA%B5%AC%28%EA%B4%91%EC%A3%BC%29
광주광역시 동구. 정보공개. 통계연보. 동구통계연보 제 30회
http://www.donggu.kr/menu.es?mid=a10305020000
광주광역시 동구. 분야별정보, 복지
http://www.donggu.kr/menu.es?mid=a10401000000
광주광역시 시청. 광주통계연보
https://www.gwangju.go.kr/index.jsp
비만관련 체질량 지수 측정 의뢰한다.
상업적 특성이 강한 지역적 특성 때문에 퇴근 후 운동 가능한 휘트니스 센터와 연계한다.
개인상담
○
전화상담 직원의 예시
-> 규칙적인 운동을 힘들어 하는 대상자들을 격려한다.
-> 방해요인 파악하여 꾸준히 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현재의 건강 상태에 대한 근심을 표현하게 하고, 경청한다.
보건팀운영
○
보건팀 : 운동을 위한 현재의 신체활동량, 신체문제 사정한다.
보건팀은 비만 뿐 아니라 만성질환의 전반적 관리가 필요하다.
기타
×
지역사회 자원이나 자조그룹에 대한 조직, 정보를 제공한다.
6. 수행 및 평가계획
▶간호문제: 운동부족으로 인한 과체중
▶일반적 목표: 동구 지역주민의 비만 유병률이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6.6% 감소한다.
구체적목표
1) 2021년 9월 1일부터 2022년 8월 31일까지 (약12개월간) 동구 지역 주민에 대한 상담 및 교육을 통해 원간 규칙적 운동 실천율을 35%에서
40%로 5% 증가한다.
2) 2021년 9월 1일부터 2022년 8월 31일까지 (약12개월간) 동구 지역 주민이 비만의 위험성에 대해 지각하게 하여 비만 예방을 위해 비만 예방
교육프로그램에 참여시켜 비만 예방 교육 이수율을 최소 30%까지 증가한다.
3) 2021년 9월 1일부터 2022년 8월 31일까지 (약12개월간) 동구 지역 주민 중 비만인 대상자를 위한 운동교실을 개설하여 체질량 지수를 정상범위로
낮추고 이를 대상자가 유지할 수 있도록 교육한다.
4) 2021년 9월 1일부터 2022년 8월 31일까지 (약12개월간) 동구 지역주민들을 비만 인식 프로그램에 참여시켜 2017년 이후부터 증가된 비만유병율을
36.6%에서 30%로 6.6% 감소한다.
수행계획
수행내용
동구 주민 중 비만인 대상자를 위한 운동 교실 프로그램에
80%이상이 참여할 수 있도록
홍보한다.
동구 주민 중 비만인 대상자에게 상담 및 비만과 운동의 상관관계에 대해 교육을 실시한다.
상담을 통한 문제 인식 여부
비만과 운동의 상관관계에
대한 기초 지식 파악
운동교실을 신청한 대상자들의 운동 전 건강상태를 확인한다.
- 설문지를 통한 생활습관 확인
- 신체검사 및 기타검사
기초 체력 테스트
동구 주민 중 비만인 대상자 중 신청자를 위한 운동교실 운영한다.
수행자
보건소 내 간호사
보건소 비만관리팀
자원 봉사자 및 간호대학생
보건소 내 간호사
운동 강사
자원 봉사자 및 간호대학생
보건소 내 간호사
보건소 비만관리팀
자원 봉사자 및 간호대학생
보건소 내 간호사
운동 강사
자원 봉사자 및 간호대학생
수행방법
홍보물 전시, 전단지 배포
동구 보건소 SNS를 통한
홍보
동구 보건소 홈페이지 게재
설문지
(교육 전 설문지 : 비만과 운동의 상관관계에 대한 기초 지식
교육 후 설문지 : 기초 지식 향상 여부 파악)
1:1 상담
(비만의 위험성과 문제 인식 여부 확인)
동영상 시청
(비만의 위험성, 비만과 운동의 상관관계, 운동의 효과 등)
PPT를 이용한 정보 제공
운동 강사의 강의
설문지
(기본정보, 식습관, 운동실태 등)
신체검사
(키, 몸무게, 체질량지수 확인)
혈압, 혈당, 소변검사
기초 체력 테스트
(기본적인 운동을 시행해보도록 하여 신체능력 검진)
20명 내외 4개 집단으로 운동 교실을 운영한다.
→ ‘건강쑥쑥’ 운동교실
(스트레칭, 요가, 배드민턴, 탁구, 소기구를 이용한 근력운동 등)
시기
2021년 9월 1일 - 2022년 8월 31일 (매주 화, 목)
2021년 9월 1일 - 2022년 8월 31일 (한달에 한번)
2021년 9월 1일 - 2022년 8월 31일 (3개월에 한번)
2021년 9월 1일 - 2022년 8월 31일 (매주 월, 수, 금)
첫날 30분으로 시작하여 차츰
늘려감. 최종 60분
장소
아파트 단지 내 게시판, 유동인구가 많은 장소
광주광역시 동구 보건소 옆 행정복지센터 1층 강당
광주광역시 동구 보건소 옆 행정복지센터 1층 강당
광주광역시 동구 보건소 옆 행정복지센터 1층 강당
평가
평가기준
동구주민의 운동교실 등록자 수
교육 전. 후 설문지
설문지를 통해 자가진단과 보건소 간호사의 진단
주민들의 참여 횟수, 운동지속시간, 체질량지수
평가방법
운동교실 홍보 진. 후의
등록자 수 비교
교육전. 후에 설문지를 통해 비만의 위험성을 자가 인식하고 변화 비교
설문지를 통해 자가 진단한 건강상태와 보건소 간호사가 진단한 건강상태 비교
참여
회수
운동지속시간
(40-60)
체질량
지수(%)
5점
12회
이상
수업시간
전체 수행
10%
3점
6-11
10분 쉽
0.5%
1점
2-5
10분이상 쉽
0.2%미만
일주일 3회* 월5주 = 15회
■ 참고문헌
질병관리청 - 만성질환건강통계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pblcVis/main.do
질병관리청 지역사회 건강통계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pblcVis/OverallSgg.do
광주시청 홈페이지 - 광주연보
https://www.gjcity.go.kr/index.jsp
동구청 홈페이지 - 동구연보
http://www.donggu.kr/menu.es?mid=a10301011000
나무위키 광주광역시 동구
https://namu.wiki/w/%EB%8F%99%EA%B5%AC(%EA%B4%91%EC%A3%BC%EA%B4%91%EC%97%AD%EC%8B%9C)?from=%EB%8F%99%EA%B5%AC%28%EA%B4%91%EC%A3%BC%29
광주광역시 동구. 정보공개. 통계연보. 동구통계연보 제 30회
http://www.donggu.kr/menu.es?mid=a10305020000
광주광역시 동구. 분야별정보, 복지
http://www.donggu.kr/menu.es?mid=a10401000000
광주광역시 시청. 광주통계연보
https://www.gwangju.go.kr/index.jsp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