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의이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사의이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우리나라 주변국의 동향과 국내 상황

2. 병인양요
가. 원인, 과정, 결과
나. 사회적 변화

3. 신미양요
가. 원인, 과정, 결과
나. 사회적 변화

Ⅲ. 결론

Ⅳ. 참고 문헌

본문내용

강경한 쇄국정책을 펼치게 만든 것은 현명한 선택이라고 보기는 어렵다고 본다.
동시기에 일본은 17세기 초 에도 막부(江幕府)이래 200년간 쇄국정책을 고수하면서도 나가사키 개방하여 네덜란드 상인과의 교역이 허용하고 있던 상황 이였다. 1854년 미국이 군함을 끌고 개항 요구할 시기 이미 일본은 오랜 기간 동안 서양 문물을 수용하여 배워왔기에 서구문명에 대한 사상적 물질적 기반을 바탕으로 1868년 메이지 유신을 단행하여 왕권중심의 근대 국가를 세웠고 서구 열강들과 동등한 막강한 세력으로 급부상할 수 있었다. 이러한 변화는 서양이 아닌 나라에서 최초로 산업화 성공과 제국주의 나라가 된 일본은 다른 서구 열강과 마찬가지로 영토 확장의 필요성으로 아시아 대륙으로 진출하기 시작하였다.
조선의 입장에서 두 번의 양요(병인양요, 신미양요)는 서구의 세력과 평화롭게 수교할 기회를 놓쳐버린 사건이 아닐까 생각한다. 일본과 마찬가지로 우리나라도 시대의 흐름에 따라 국제 정세를 살피고 발 빠른 문호개방과 개혁, 산업화를 추진했다면 어떠한 역사가 쓰여 졌을까? 물론 우리나라도 개화파 관료들이 주도한 근대적 개혁으로 평가받는 갑오개혁의 시도가 있었으나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좌절한 역사가 있다. 서구 열강의 활기를 칠 때 조선은 기득권층의 청에 대한 전통적인 사대주의, 지배층의 정치논리, 서양에 대한 미개화 취급 등으로 쇄국정책을 펼치고 있던 조선은 어느 나라에 속국이 되는 것은 시간문제가 아니였을까 생각해 볼 수 있다. 이러한 걱정은 1910년 대한 제국이 일본에 병합함으로써 우리나라의 역사는 엄청난 파국의 길로 들어서게 되었다고 본다. 이러한 합병 과정에서도 다른 서구 열강(미국, 영국)의 동의가 없었다면 가능하지 않았다고 추정해 보면 두 번의 양요시기에 프랑스와 미국의 문호 개방을 수용하여 서구 열강들과 우호적인 관계형성이 되었다면 우리나라가 일본에 합병되고 일제강점기를 맞이하는 위기는 미리 대처할 수 있는 입장이 되지 않았을까 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우리가 배우고 싶었지만 배우지 못한 또 다른 역사가 기록되어 있지 않았을까하는 아쉬움이 든다.
IV. 참고문헌
한국민족 문화대백과사전 https://encykorea.aks.ac.kr
우리넷역사 https://contents.history.go.kr
강석화. 2018. 신미양요와 강화도 방위체제의 변화. 경인대학교
연갑수. 2001, 대원군집권기 부국강병책 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부
연갑수. 1997. 병인양요 이후 수도권 방비의 강화. 서울학연구소
천재교육. 2020. 고등학교 한국사. 교육부검정
평가의견
병인양요와 신미양요를 주제로 보고서를 작성하셨네요. 서론에서 본인이 여러 전쟁들 가운데 이 두개의 주제를 선택한 이유가 구체적으로 서술되면 좋겠습니다. 비슷한 시기에 일어난 일이라 국내외정세를 앞에서 정리하셔서 좋네요.전쟁과정이 조금더 내용을 채워 서술하면 좋겠습니다. 간략하게 정리하셔서 그 전쟁내용이 상호공방이 어떻게 벌어졌는지 인과관계가 드러나야 전쟁의 결과와 연결될 것입니다. 수고하셨습니다.
  • 가격2,9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24.06.18
  • 저작시기2024.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5423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