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서론
2. 본론
1) 헨더슨 하셀바흐 식의 유도과정
2) 헨더슨 하셀바흐 식의 의미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1. 서론
2. 본론
1) 헨더슨 하셀바흐 식의 유도과정
2) 헨더슨 하셀바흐 식의 의미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으로 제조하면 된다. 따라서 이 식은 약산과 짝염기, 약염기와 짝산이 공존하는 용액에서의 pH계산을 통해 다양한 용액의 제조를 할 수 있게 해주는 의미를 갖고 있다고 볼 수 있다.
3. 결론
이렇게 Henderson-Hasselbalch equation을 유도해 보고, pKa와 이온의 농도, pH사이의 관계를 알아보며, 이 식이 어떻게 쓰이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식으로만 알고 있었던 것의 중요도가 어느정도인지 다시 체감해 볼 수 있었고, 앞으로도 이 Henderson-Hasselbalch equation이 어디에 어떻게 쓰일지 생각해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D.C. Harris, 분석화학 제9판, 강용철, 김강진, 김영일, 문명희, 여인형, 이동수, 이승호, 정두수, 정혁 번역, 자유아카데미, 2017, p215-225.
Larsen, D.\'Henderson-Hasselbalch Approximation\'
.Chemistry LibreTexts Liibrary. University of California. Retrieved6 April2018.
[H.N. Po and N. M. Senozan, \'The HendersonHasselbalch Equation: Its History and Limitations\', J. Chem. Educ., 2001, 78(11), p1499.]
de Levie, R. \'The HendersonHasselbalch Equation: Its History and Limitations\'.J. Chem. Educ.2003, 80(2), p146.
3. 결론
이렇게 Henderson-Hasselbalch equation을 유도해 보고, pKa와 이온의 농도, pH사이의 관계를 알아보며, 이 식이 어떻게 쓰이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식으로만 알고 있었던 것의 중요도가 어느정도인지 다시 체감해 볼 수 있었고, 앞으로도 이 Henderson-Hasselbalch equation이 어디에 어떻게 쓰일지 생각해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D.C. Harris, 분석화학 제9판, 강용철, 김강진, 김영일, 문명희, 여인형, 이동수, 이승호, 정두수, 정혁 번역, 자유아카데미, 2017, p215-225.
Larsen, D.\'Henderson-Hasselbalch Approximation\'
.Chemistry LibreTexts Liibrary. University of California. Retrieved6 April2018.
[H.N. Po and N. M. Senozan, \'The HendersonHasselbalch Equation: Its History and Limitations\', J. Chem. Educ., 2001, 78(11), p1499.]
de Levie, R. \'The HendersonHasselbalch Equation: Its History and Limitations\'.J. Chem. Educ.2003, 80(2), p146.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