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내용
1. **프린팅주택 개발 프로젝트 소개**
2. **기술적 접근: 2 in 1 3D 기술**
- 그림프린터와 3D 프린팅의 결합
3. **프로젝트의 장점**
- 공사 기간 단축 및 비용 절감
- 환경 오염 감소 기여
4. **실행 계획**
- 콘크리트 배합비와 작업 순서 고려
5. **전망과 기대**
- 건설산업 혁신과 지속 가능한 도시 및 주거환경 조성 기대
1. **프린팅주택 개발 프로젝트 소개**
2. **기술적 접근: 2 in 1 3D 기술**
- 그림프린터와 3D 프린팅의 결합
3. **프로젝트의 장점**
- 공사 기간 단축 및 비용 절감
- 환경 오염 감소 기여
4. **실행 계획**
- 콘크리트 배합비와 작업 순서 고려
5. **전망과 기대**
- 건설산업 혁신과 지속 가능한 도시 및 주거환경 조성 기대
본문내용
크리트 타설
현장정리
3) 예정공정표
4. 개략공사비
공 종
직종
투입 인원
기간
담당업무
관리
소장
1인
5일
총괄책임자
골
조
공
사
형틀목공
6인
5일
기둥, 옹벽, 슬래브
철근 기공
6인
3일
철근 조립
콘크리트공
4인
1일
콘크리트 타설
비계공
4인
2일
가설 비계
견출/직영
2인
2일
현장 정리
1) 기존의 개략공사비 : 층고 3.5m, 평지붕, 33m² 크기의 주택 시공 가정
공 종
직종
투입 인원
기간
담당업무
관리
소장
1인
2일
총괄책임자
골조공사
철근 기공
6인
2일
철근 조립
프린터 조종사
1인
2일
2 in 1 3D 프린터 운용
견출/직영
1인
2일
현장 정리
설비공사
설비공
2인
2일
시설 설비
수장공사
수장공
3인
2일
내부 마감
공종
직종
투입 인원
기간
노무비 [단위: 원]
(1)
재료비
(2)
경비
(3)
관리
소장
1인
5일
(175,081) * (1) * (5) = 875,405
-
-
철근 콘크리트
공사
철근공
6인
3일
(219,392) * (6) * (3) = 3,949,056
247,428
217,373
콘크리트공
4인
1일
(216,409) * (4) * (1) = 865,636
가설공사
형틀목공
6인
5일
(215,964) * (6) * (5) = 6,478,920
291,277
52,480
비계공
4인
2일
(234,297) * (4) * (2) = 1,874,376
견 출/직 영
2인
2일
(138,290) * (2) * (2) = 553,160
-
-
계
-
28인
5일
14,596,553
538,705
269,853
(1) + (2) + (3) = 15,405,111
2) 2 in 1 3D 프린팅의 개략공사비 : 층고 3m, 평지붕, 33m² 크기의 주택 시공 가정
공 종
직 종
투 입 인 원
기 간
노 무 비 [단위: 원]
(1)
재 료 비 (2)
경 비 (3)
관 리
소장
1인
2일
(175,081) * (1) * (2) = 350,162
-
-
골 조 공 사
철 근 공
6인
2일
(219,392) * (6) * (2) = 2,632,704
197,942
173,898
프린터 조종사
1인
2일
(216,409) * (4) * (2) = 1,731,272
견 출/직 영
1인
2일
(138,290) * (2) * (2) = 553,160
-
-
계
-
14인
2일
5,267,298
197,942
173,898
(1) + (2) + (3) = 5,639,138
기존 철근콘크리트조 공사에 비해 약 64%의 공사비용 절감
Ⅳ. 차별성 및 기대효과
차별성
1) 건설 시장에서 3D 프린팅 공법의 차별성
3D 프린팅 공법은 다른 공법에 비해 공사기간이 짧아 비용 절감에 유리하며, 설계자유도가 높아 비정형 건축물 시공에 적합
비용
내구성
설계자유도
공사기간
유지관리
3D프린팅조
저가
단열 불리
높다
짧다
용이
RC조
고가
단열 불리
높다
길다
용이
목조
고가
단열, 방음, 방충 불리
낮다
짧다
어려움
조적조
저가
단열 불리
낮다
길다
보통
조립조
저가
단열, 방음, 방충 불리
낮다
짧다
어려움
프린터 타입
설치/해체 용이성
노즐이동속도
정확도
2 in 1 3D 프린팅 주택 개발 프로젝트
다관절형
쉬움
약 10cm/s
±1mm 이내
HISYS(국내)
갠트리형
어려움
약 5cm/s
±1mm 이내
APIS COR(해외)
다관절형
쉬움
약 8cm/s
±1mm 이내
2) 적용 기술의 차별성
3) 기존의 3D 건설 프린터와의 차별성
일반적인 프린팅 모델
2 in 1 3D프린팅주택 개발 프로젝트
노즐
단일 노즐
이중 노즐
스크류 기능
없음
있음
콘크리트
급경화 콘크리트
PC, RC
시공 방법
외벽을 만들고 내벽을
갈지자형으로 채움
외벽을 만들고 내벽을
RC타입 콘크리트로 채움
벽체의 빈틈
있음
없음
단열재 시공
불리
유리
철근 배근
종방향철근 배근 가능
횡방향, 종방향, 스터럽철근 배근 가능
출력 단면
2. 기대효과
1) 시공기간 단축 및 비용 절감
기존 시공법은 33m² 주택 시공 기간 및 비용이 최대 5일, 1천 5백만 원, 반면 2 in 1 3D 프린팅 공법은 최대 2일, 5백만 원으로 최소 60% 이상의 비용 절감
기존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에 필요한 인력과 재료가 절감되고, 양생시간이 필요 없기에 공사 기간이 단축되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음
기존 거푸집은 비정형 디자인을 구현할 시 추가 공정이 필요하지만, 3D 프린팅 시공 시에는 후처리 과정이 필요 없어 복잡할수록 기존에 비해 비용이 절감됨
타 3D 건설 프린터와 비교했을 때 내구성이 향상된 출력물을 더 빠른 속도로 제작할 수 있어 건설 시장에서 경쟁력을 가질 수 있음
2) 인력 절감
기존 시공법은 33m² 주택 시공 시 소요 인력 대략 23명, 반면 2 in 1 3D 프린팅 공법은 대략 14명
조립, 해체, 운반 등 인력에 의존하는 기존의 거푸집 작업을 3D 프린팅으로 대체하여 인건비를 절감하고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음
3) 환경오염 방지
기존 시공법은 철제 거푸집과 고정용 목재 사용으로 연 2조원 낭비, 2 in 1 3D 프린팅 공법은 철제 거푸집 미사용, 최소한의 목재만 사용
산업 부산물을 재활용하여 환경오염 방지
4) 비정형의 형상 구현
비정형 구조물 시공에 용이
설계의 자유도 향상으로 건축주의 이상적인 건축물 시공 가능
3. 활용 분야
1) 국내의 3D 프린팅 건설 시장 진출
KMAPS 시장 규모 분석 기준 프린팅기술이 접근 가능한 국내 건설 시장은 연간 150조 원 규모
2 in 1 3D 프린팅 기술은 철근 콘크리트가 사용되는 모든 건설 시장에 적용 가능
재료 손실을 최소화하고 인력의 상당한 부분을 충당하는 2 in 1 3D 프린팅 기술은 무인화와 친환경화가 중심인 미래 건설 시장에 적합
KMAPS 시장 규모 분석, 2024년 기준 1조 8천억 규모의 시장 창출 전망
2) 해외의 건설 수주
대규모 주거단지를 짧은 시간 안에 건설하여 저소득층이나 난민을 위한 쉼터 제작
해외 건설 수주를 통한 기업의 성장으로 국가경쟁력 성장
개발도상국에는 비용적인 장점을, 선진국에는 디자인적 장점을 부각하여 국가의 필요에 맞는 건축물을 공급
현장정리
3) 예정공정표
4. 개략공사비
공 종
직종
투입 인원
기간
담당업무
관리
소장
1인
5일
총괄책임자
골
조
공
사
형틀목공
6인
5일
기둥, 옹벽, 슬래브
철근 기공
6인
3일
철근 조립
콘크리트공
4인
1일
콘크리트 타설
비계공
4인
2일
가설 비계
견출/직영
2인
2일
현장 정리
1) 기존의 개략공사비 : 층고 3.5m, 평지붕, 33m² 크기의 주택 시공 가정
공 종
직종
투입 인원
기간
담당업무
관리
소장
1인
2일
총괄책임자
골조공사
철근 기공
6인
2일
철근 조립
프린터 조종사
1인
2일
2 in 1 3D 프린터 운용
견출/직영
1인
2일
현장 정리
설비공사
설비공
2인
2일
시설 설비
수장공사
수장공
3인
2일
내부 마감
공종
직종
투입 인원
기간
노무비 [단위: 원]
(1)
재료비
(2)
경비
(3)
관리
소장
1인
5일
(175,081) * (1) * (5) = 875,405
-
-
철근 콘크리트
공사
철근공
6인
3일
(219,392) * (6) * (3) = 3,949,056
247,428
217,373
콘크리트공
4인
1일
(216,409) * (4) * (1) = 865,636
가설공사
형틀목공
6인
5일
(215,964) * (6) * (5) = 6,478,920
291,277
52,480
비계공
4인
2일
(234,297) * (4) * (2) = 1,874,376
견 출/직 영
2인
2일
(138,290) * (2) * (2) = 553,160
-
-
계
-
28인
5일
14,596,553
538,705
269,853
(1) + (2) + (3) = 15,405,111
2) 2 in 1 3D 프린팅의 개략공사비 : 층고 3m, 평지붕, 33m² 크기의 주택 시공 가정
공 종
직 종
투 입 인 원
기 간
노 무 비 [단위: 원]
(1)
재 료 비 (2)
경 비 (3)
관 리
소장
1인
2일
(175,081) * (1) * (2) = 350,162
-
-
골 조 공 사
철 근 공
6인
2일
(219,392) * (6) * (2) = 2,632,704
197,942
173,898
프린터 조종사
1인
2일
(216,409) * (4) * (2) = 1,731,272
견 출/직 영
1인
2일
(138,290) * (2) * (2) = 553,160
-
-
계
-
14인
2일
5,267,298
197,942
173,898
(1) + (2) + (3) = 5,639,138
기존 철근콘크리트조 공사에 비해 약 64%의 공사비용 절감
Ⅳ. 차별성 및 기대효과
차별성
1) 건설 시장에서 3D 프린팅 공법의 차별성
3D 프린팅 공법은 다른 공법에 비해 공사기간이 짧아 비용 절감에 유리하며, 설계자유도가 높아 비정형 건축물 시공에 적합
비용
내구성
설계자유도
공사기간
유지관리
3D프린팅조
저가
단열 불리
높다
짧다
용이
RC조
고가
단열 불리
높다
길다
용이
목조
고가
단열, 방음, 방충 불리
낮다
짧다
어려움
조적조
저가
단열 불리
낮다
길다
보통
조립조
저가
단열, 방음, 방충 불리
낮다
짧다
어려움
프린터 타입
설치/해체 용이성
노즐이동속도
정확도
2 in 1 3D 프린팅 주택 개발 프로젝트
다관절형
쉬움
약 10cm/s
±1mm 이내
HISYS(국내)
갠트리형
어려움
약 5cm/s
±1mm 이내
APIS COR(해외)
다관절형
쉬움
약 8cm/s
±1mm 이내
2) 적용 기술의 차별성
3) 기존의 3D 건설 프린터와의 차별성
일반적인 프린팅 모델
2 in 1 3D프린팅주택 개발 프로젝트
노즐
단일 노즐
이중 노즐
스크류 기능
없음
있음
콘크리트
급경화 콘크리트
PC, RC
시공 방법
외벽을 만들고 내벽을
갈지자형으로 채움
외벽을 만들고 내벽을
RC타입 콘크리트로 채움
벽체의 빈틈
있음
없음
단열재 시공
불리
유리
철근 배근
종방향철근 배근 가능
횡방향, 종방향, 스터럽철근 배근 가능
출력 단면
2. 기대효과
1) 시공기간 단축 및 비용 절감
기존 시공법은 33m² 주택 시공 기간 및 비용이 최대 5일, 1천 5백만 원, 반면 2 in 1 3D 프린팅 공법은 최대 2일, 5백만 원으로 최소 60% 이상의 비용 절감
기존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에 필요한 인력과 재료가 절감되고, 양생시간이 필요 없기에 공사 기간이 단축되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음
기존 거푸집은 비정형 디자인을 구현할 시 추가 공정이 필요하지만, 3D 프린팅 시공 시에는 후처리 과정이 필요 없어 복잡할수록 기존에 비해 비용이 절감됨
타 3D 건설 프린터와 비교했을 때 내구성이 향상된 출력물을 더 빠른 속도로 제작할 수 있어 건설 시장에서 경쟁력을 가질 수 있음
2) 인력 절감
기존 시공법은 33m² 주택 시공 시 소요 인력 대략 23명, 반면 2 in 1 3D 프린팅 공법은 대략 14명
조립, 해체, 운반 등 인력에 의존하는 기존의 거푸집 작업을 3D 프린팅으로 대체하여 인건비를 절감하고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음
3) 환경오염 방지
기존 시공법은 철제 거푸집과 고정용 목재 사용으로 연 2조원 낭비, 2 in 1 3D 프린팅 공법은 철제 거푸집 미사용, 최소한의 목재만 사용
산업 부산물을 재활용하여 환경오염 방지
4) 비정형의 형상 구현
비정형 구조물 시공에 용이
설계의 자유도 향상으로 건축주의 이상적인 건축물 시공 가능
3. 활용 분야
1) 국내의 3D 프린팅 건설 시장 진출
KMAPS 시장 규모 분석 기준 프린팅기술이 접근 가능한 국내 건설 시장은 연간 150조 원 규모
2 in 1 3D 프린팅 기술은 철근 콘크리트가 사용되는 모든 건설 시장에 적용 가능
재료 손실을 최소화하고 인력의 상당한 부분을 충당하는 2 in 1 3D 프린팅 기술은 무인화와 친환경화가 중심인 미래 건설 시장에 적합
KMAPS 시장 규모 분석, 2024년 기준 1조 8천억 규모의 시장 창출 전망
2) 해외의 건설 수주
대규모 주거단지를 짧은 시간 안에 건설하여 저소득층이나 난민을 위한 쉼터 제작
해외 건설 수주를 통한 기업의 성장으로 국가경쟁력 성장
개발도상국에는 비용적인 장점을, 선진국에는 디자인적 장점을 부각하여 국가의 필요에 맞는 건축물을 공급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