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비용이라고 말할 수 있다. (O)
11. 어떤 소비자는 화폐소득 10원을 가지고 두 재화 x와 y를 소비한다. 이때 재화 y의 가격이 1원이다. 이 소비자의 두 재화에 대한 선호는 효용함수 U(x, y) = 2x0.5 + y로 나타내어진다. 재화 x의 가격이 0.5원에서 0.2원으로 하락함에 따라 나타나는 재화 y의 가격효과를 Hicks의 방식에 따라 분해하면 대체효과는 ( ) 단위이고 소득효과는 ( ) 단위가 된다.
12.
13. 어떤 소비자는 재화 x와 y를 소비한다 이 소비자의 효용함수는 U(x, y)=xy+y 이다. x재 단위가격은 4원이며 y재 단위가격은 1이다. 이 소비자는 화폐소득 20원을 가지고 소비활동을 한다. 이 경우 y재 가격이 4원으로 상승하는 경우 보상변화의 크기는 ( )이며 대등(동등)변화의 크기는 ( )이다.
14. 어떤 소비자의 효용함수 형태가 다음과 같이 주어져 있다; U(x, y)=x^3y^5. 이 두 재화의 장바구니(x, y) 가운데 (2, 3) 장바구니를 고려해 보자. 이 (2, 3) 장바구니에서 이 소비자가 0.00001단위의 x재화를 추가로 소비하면서 동일한 만족감을 유지하기 위하여 기꺼이 포기하는 y재화의 단위를 아래 보기에서 선택하세요.
15. 두 재화 x와 y를 소비하는 어떤 소비자의 효용함수는 U(x, y) = x2y이다. 이 소비자의 소득은 240원이며 재화 x의 가격은 8원이며 재화 y의 가격이 2원이다. 소득의 변동은 없고 재화 y의 가격이 8원으로 인상되는 경우 가격 변화 전과 동일한 후생수준을 유지하려면 재화 x의 가격은 ( 4 )원이 되어야 한다.
11. 어떤 소비자는 화폐소득 10원을 가지고 두 재화 x와 y를 소비한다. 이때 재화 y의 가격이 1원이다. 이 소비자의 두 재화에 대한 선호는 효용함수 U(x, y) = 2x0.5 + y로 나타내어진다. 재화 x의 가격이 0.5원에서 0.2원으로 하락함에 따라 나타나는 재화 y의 가격효과를 Hicks의 방식에 따라 분해하면 대체효과는 ( ) 단위이고 소득효과는 ( ) 단위가 된다.
12.
13. 어떤 소비자는 재화 x와 y를 소비한다 이 소비자의 효용함수는 U(x, y)=xy+y 이다. x재 단위가격은 4원이며 y재 단위가격은 1이다. 이 소비자는 화폐소득 20원을 가지고 소비활동을 한다. 이 경우 y재 가격이 4원으로 상승하는 경우 보상변화의 크기는 ( )이며 대등(동등)변화의 크기는 ( )이다.
14. 어떤 소비자의 효용함수 형태가 다음과 같이 주어져 있다; U(x, y)=x^3y^5. 이 두 재화의 장바구니(x, y) 가운데 (2, 3) 장바구니를 고려해 보자. 이 (2, 3) 장바구니에서 이 소비자가 0.00001단위의 x재화를 추가로 소비하면서 동일한 만족감을 유지하기 위하여 기꺼이 포기하는 y재화의 단위를 아래 보기에서 선택하세요.
15. 두 재화 x와 y를 소비하는 어떤 소비자의 효용함수는 U(x, y) = x2y이다. 이 소비자의 소득은 240원이며 재화 x의 가격은 8원이며 재화 y의 가격이 2원이다. 소득의 변동은 없고 재화 y의 가격이 8원으로 인상되는 경우 가격 변화 전과 동일한 후생수준을 유지하려면 재화 x의 가격은 ( 4 )원이 되어야 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