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문헌고찰 1-5
3. 건강사정 5-17
4. 간호 문제 도출 18
5. 간호과정 18-23
6. 결론 23
7. 느낀점 23
8. 참고문헌 24
2. 문헌고찰 1-5
3. 건강사정 5-17
4. 간호 문제 도출 18
5. 간호과정 18-23
6. 결론 23
7. 느낀점 23
8. 참고문헌 24
본문내용
어지러움, 저혈압 등의 약물 부작용을 파악하여 대상자와 간병인에게 정보를 제공하여야 한다.
간호수행
[진단적]
1. 대상자의 낙상위험도(Morse Fall Scale)를 평가하였다.
→ 5/8일: Morse Fall Scale 도구를 이용하여 사정한 결과, 점수 60점으로 낙상고위험군에 해당
2. K-ADL 도구를 사용하여 대상자의 일상생활 능력을 평가하였다.
→ 5/8일: 21점 (전적으로 간병인의 도움이 필요한 상태)
[치료적]
1. 2시간마다 대상자 침상 난간이 올려져 있는지 사정하였다.
→2시간마다 침상난간이 올려져 있는지 확인하였고, 검사를 하러 가거나, 이동 시에는 간병인의
도움을 받아 잠시 침상난간을 내리고, 다시 돌아왔을 때에는 눕혀드린 후, 바로 침상난간을
올려드렸다.
2. 4시간마다 낙상 위험을 높이는 대상자의 주변 환경의 위험요인 (IV Line, 장루, L-tube)을 정리하였다.
→꼬여있는 L-tube, IV line이 없는 확인하고, 장루가 감염증상 없이 잘 유지되고 있는지 확인하였다.
3. 수동적 관절 운동 범위 내에서 마사지와 운동을 실시하였다.
→마사지를 통해 뼈와 근육을 풀어준 후, 수동적 관절운동을 시행하였다.
→손가락운동, 손목운동, 발가락운동, 발목운동, 다리운동 시행
[교육적]
1. 대상자와 간병인에게 낙상을 예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교육하였다.
①환자가 휴식시에는 침상난간을 올려야 한다.
②휠체어로 이동할 때는 반드시 휠체어를 고정 시킨 후, 이동해야 한다.
③근력과 유연성 향상을 위한 관절운동을 정기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④낙상 고위험 스티커가 붙여진 어르신들은 주의해서 지지해드린다.
⑤낙상이 일어날 시에는 콜벨을 이용하여 즉각적인 도움을 받는다.
2. 처방된 약물의 부작용을 확인하고, 낙상의 위험을 높일 수 있는 약물에 대해서 교육하였다.
약명
용량·용법
효능/효과
부작용
Qutiapine Tab
100mg (PO#1)
정신분열병
졸음, 주의력 감소, 반사운동 등
Slivan Tab
1mg
(PO#1)
항불안, 항우울제
졸음, 어지러움, 휘청거림, 기립성 조절장애 등
Famotidine Tab
20mg
(PO#1)
소화성 궤양
전신권태감, 무기력감, 두통, 졸음 등
간호 평가
단기목표 : 대상자는 7일 이내 낙상의 위험에 노출되지 않았다. [달성]
장기목표 : 대상자는 입원기간동안 낙상이 일어나지 않았다. [진행중]
6. 결론
이번 사례대상자는 결장암을 비롯해 고혈압, 당뇨, 조현병, 파킨슨, 치매 등 복합적인 질환을 앓고 있었다. 이러한 복합적인 질환과 더불어 결장암이라는 질환에 조금더 초점을 맞추어 간호문제를 도출하였고, 그 문제를 토대로 1순위로 부동과 관련된 피부통합성장애, 2순위로 복합적 요인과 관련된 낙상위험성이라는 간호진단을 내린 후, 그에 맞는 간호과정을 수립해보았다.
이러한 간호중재를 통하여 대상자의 질환을 체계적으로 간호하고, 보다 질높은 여생을 보내실 수 있도록 도와드릴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도 임상에서 비슷한 사례의 대상자를 만나게 된다면 이러한 간호중재 내용을 적용시켜 대상자에게 제공하는 간호의 질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7. 느낀점
1) OOO
암에 대해 관심이 하나도 없었다. 근데 노인분들중 결장암으로 진단 받으신분이 있어서 선택을 했을때는 과제를 얼른 끝내야된다는 생각으로만 했는데 환자를 직접보고 치료도 하고 해보니까 관심이 많아지고 이환자에게 도움을 줄수있다는게 참 행복하다고 느꼈습니다.
요즘은 대부분의 어르신들이 치매와 당뇨, 뇌출혈 등에 의한 뇌혈관 질환 환자가 대부분이라는데 놀랐으며, 노인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노인성 질환 관리가 무엇보다 우선시 되어야 한다는 생각도 하게 되었습니다. 또한 하루에 2교대로 힘들게 노인들을 간호하시는 간호사 선생님들의 노력을 보며 사랑과 봉사정신이 없이는 할 수 없는 일이라는 생각을 했으며, 앞으로 노인 전문병원에서 근무하는 사람들에 대한 처우개선에도 많은 발전이 필요하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2주간의 현장실습 기간이 짧으면 짧고 길면 긴 시간인데, 경기도립 노인전문 동두천병원에서의 실습은 나에게 많은 경험과 동시에 또다른 에너지와 자신감을 심어주었습니다. 그런 것들이 추후 현장에서 일을 하게 될 때 필요한 밑거름이 될 것이라고 생각하며, 또한 나 자신이 노인세대가 되어가는 사람으로서 건강을 관리하고 미래를 준비하는데 좋은경험과 정신적 자산이 되었습니다.
2) OOO
이번 노인간호학 실습을 하면서 노인에 대해 더 많이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우선, 병동에 계셨던 노인분들은 몇몇 인지가 있으신 분들을 제외하고는 침상에서 잠을 주무시고 있거나 인지능력이 없으시거나 혼수상태인 분들이 많으셨다. 또한, V/S을 측정할 때에도 혈압을 잴 때 팔을 들어주시려고 노력했던 경우가 많았던 저번 실습과는 다르게, 경직되어 있거나, 비협조적인 분들이 많으셔서 생각보다 V/S측정에 시간이 걸렸던 것 같다.
특히 기억에 남는 분은 거의 혼수상태로 온몸이 경직되어 있으시고, 한 곳만 응시하시고 계시는 분이 계셨는데, 혈압을 재려고 하자 팔뚝에 힘을 주셔서 팔을 주지 않으려고 하셨다. 그런데 귓가에 대고 혈압을 재는 것이 불편하시겠지만, 빠르게 끝내드리겠으니까 힘을 풀어달라고 요청드리자, 스르륵 팔뚝에 힘을 푸셨었다. 인지가 없으셔서 아무런 반응이 없을 줄 알았는데, 몸을 가누지 못하는 것이지 의식은 있으시다는 점을 알 수 있게 되었고, 더욱 더 인격적으로 존중해드리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깨달을 수 있었다. 이번 노인 실습을 통해, 모두가 인생의 말로에 거쳐야 할 병원일 수도 있는 곳에서 인생에 대해 다시 한번 돌아볼 수 있었던 기회가 되어 보람찼다.
8. 참고문헌
결장암 : 네이버 지식백과 (naver.com)
약학정보원 (health.kr)
의약품안전나라 의약품통합정보시스템 의약품안전나라 > HOMEPAGE (mfds.go.kr)
윤은자 외 공저, 성인간호학 Ⅰ, 수문사, 2021, p468-476
원종순 외 공저,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현문사, 2018
질병관리본부 국가건강정보포털 https://health.kdca.go.kr
간호수행
[진단적]
1. 대상자의 낙상위험도(Morse Fall Scale)를 평가하였다.
→ 5/8일: Morse Fall Scale 도구를 이용하여 사정한 결과, 점수 60점으로 낙상고위험군에 해당
2. K-ADL 도구를 사용하여 대상자의 일상생활 능력을 평가하였다.
→ 5/8일: 21점 (전적으로 간병인의 도움이 필요한 상태)
[치료적]
1. 2시간마다 대상자 침상 난간이 올려져 있는지 사정하였다.
→2시간마다 침상난간이 올려져 있는지 확인하였고, 검사를 하러 가거나, 이동 시에는 간병인의
도움을 받아 잠시 침상난간을 내리고, 다시 돌아왔을 때에는 눕혀드린 후, 바로 침상난간을
올려드렸다.
2. 4시간마다 낙상 위험을 높이는 대상자의 주변 환경의 위험요인 (IV Line, 장루, L-tube)을 정리하였다.
→꼬여있는 L-tube, IV line이 없는 확인하고, 장루가 감염증상 없이 잘 유지되고 있는지 확인하였다.
3. 수동적 관절 운동 범위 내에서 마사지와 운동을 실시하였다.
→마사지를 통해 뼈와 근육을 풀어준 후, 수동적 관절운동을 시행하였다.
→손가락운동, 손목운동, 발가락운동, 발목운동, 다리운동 시행
[교육적]
1. 대상자와 간병인에게 낙상을 예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교육하였다.
①환자가 휴식시에는 침상난간을 올려야 한다.
②휠체어로 이동할 때는 반드시 휠체어를 고정 시킨 후, 이동해야 한다.
③근력과 유연성 향상을 위한 관절운동을 정기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④낙상 고위험 스티커가 붙여진 어르신들은 주의해서 지지해드린다.
⑤낙상이 일어날 시에는 콜벨을 이용하여 즉각적인 도움을 받는다.
2. 처방된 약물의 부작용을 확인하고, 낙상의 위험을 높일 수 있는 약물에 대해서 교육하였다.
약명
용량·용법
효능/효과
부작용
Qutiapine Tab
100mg (PO#1)
정신분열병
졸음, 주의력 감소, 반사운동 등
Slivan Tab
1mg
(PO#1)
항불안, 항우울제
졸음, 어지러움, 휘청거림, 기립성 조절장애 등
Famotidine Tab
20mg
(PO#1)
소화성 궤양
전신권태감, 무기력감, 두통, 졸음 등
간호 평가
단기목표 : 대상자는 7일 이내 낙상의 위험에 노출되지 않았다. [달성]
장기목표 : 대상자는 입원기간동안 낙상이 일어나지 않았다. [진행중]
6. 결론
이번 사례대상자는 결장암을 비롯해 고혈압, 당뇨, 조현병, 파킨슨, 치매 등 복합적인 질환을 앓고 있었다. 이러한 복합적인 질환과 더불어 결장암이라는 질환에 조금더 초점을 맞추어 간호문제를 도출하였고, 그 문제를 토대로 1순위로 부동과 관련된 피부통합성장애, 2순위로 복합적 요인과 관련된 낙상위험성이라는 간호진단을 내린 후, 그에 맞는 간호과정을 수립해보았다.
이러한 간호중재를 통하여 대상자의 질환을 체계적으로 간호하고, 보다 질높은 여생을 보내실 수 있도록 도와드릴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도 임상에서 비슷한 사례의 대상자를 만나게 된다면 이러한 간호중재 내용을 적용시켜 대상자에게 제공하는 간호의 질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7. 느낀점
1) OOO
암에 대해 관심이 하나도 없었다. 근데 노인분들중 결장암으로 진단 받으신분이 있어서 선택을 했을때는 과제를 얼른 끝내야된다는 생각으로만 했는데 환자를 직접보고 치료도 하고 해보니까 관심이 많아지고 이환자에게 도움을 줄수있다는게 참 행복하다고 느꼈습니다.
요즘은 대부분의 어르신들이 치매와 당뇨, 뇌출혈 등에 의한 뇌혈관 질환 환자가 대부분이라는데 놀랐으며, 노인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노인성 질환 관리가 무엇보다 우선시 되어야 한다는 생각도 하게 되었습니다. 또한 하루에 2교대로 힘들게 노인들을 간호하시는 간호사 선생님들의 노력을 보며 사랑과 봉사정신이 없이는 할 수 없는 일이라는 생각을 했으며, 앞으로 노인 전문병원에서 근무하는 사람들에 대한 처우개선에도 많은 발전이 필요하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2주간의 현장실습 기간이 짧으면 짧고 길면 긴 시간인데, 경기도립 노인전문 동두천병원에서의 실습은 나에게 많은 경험과 동시에 또다른 에너지와 자신감을 심어주었습니다. 그런 것들이 추후 현장에서 일을 하게 될 때 필요한 밑거름이 될 것이라고 생각하며, 또한 나 자신이 노인세대가 되어가는 사람으로서 건강을 관리하고 미래를 준비하는데 좋은경험과 정신적 자산이 되었습니다.
2) OOO
이번 노인간호학 실습을 하면서 노인에 대해 더 많이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우선, 병동에 계셨던 노인분들은 몇몇 인지가 있으신 분들을 제외하고는 침상에서 잠을 주무시고 있거나 인지능력이 없으시거나 혼수상태인 분들이 많으셨다. 또한, V/S을 측정할 때에도 혈압을 잴 때 팔을 들어주시려고 노력했던 경우가 많았던 저번 실습과는 다르게, 경직되어 있거나, 비협조적인 분들이 많으셔서 생각보다 V/S측정에 시간이 걸렸던 것 같다.
특히 기억에 남는 분은 거의 혼수상태로 온몸이 경직되어 있으시고, 한 곳만 응시하시고 계시는 분이 계셨는데, 혈압을 재려고 하자 팔뚝에 힘을 주셔서 팔을 주지 않으려고 하셨다. 그런데 귓가에 대고 혈압을 재는 것이 불편하시겠지만, 빠르게 끝내드리겠으니까 힘을 풀어달라고 요청드리자, 스르륵 팔뚝에 힘을 푸셨었다. 인지가 없으셔서 아무런 반응이 없을 줄 알았는데, 몸을 가누지 못하는 것이지 의식은 있으시다는 점을 알 수 있게 되었고, 더욱 더 인격적으로 존중해드리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깨달을 수 있었다. 이번 노인 실습을 통해, 모두가 인생의 말로에 거쳐야 할 병원일 수도 있는 곳에서 인생에 대해 다시 한번 돌아볼 수 있었던 기회가 되어 보람찼다.
8. 참고문헌
결장암 : 네이버 지식백과 (naver.com)
약학정보원 (health.kr)
의약품안전나라 의약품통합정보시스템 의약품안전나라 > HOMEPAGE (mfds.go.kr)
윤은자 외 공저, 성인간호학 Ⅰ, 수문사, 2021, p468-476
원종순 외 공저,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현문사, 2018
질병관리본부 국가건강정보포털 https://health.kdca.go.kr
추천자료
화상환자 케이스스터디
결장암케이스
위암(gastric cancer) - case study
식도암 (esophageal cancer)csae study
[성인간호학][Esophageal cancer][식도암]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A+) 비인두암 케이스 스터디 Malignant neoplasm of nasopharynx case study
[성인간호학실습] subdural Hemorrhage SDH 경막하 출혈 Case study 케이스 스터디
[노인간호학 실습] 치매 dementia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Case study Schizophrenia
Case study-pnuemonia (폐렴, 케이스, 간호과정, 사례연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