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간호학 실습] 관악구 CNP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지역사회간호학 실습] 관악구 CNP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지역사회 자료수집
1.1 지역특성
1.2 건강수준
1.3 지역사회 자원
2. 자료분석 및 요약
3. 지역사회 간호문제 및 간호진단
4. 우선순위 결정
5. 간호목표설정
6. 지역사회간호 수행계획
7. 지역사회간호 평가계획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적 목표
2024년 4월 1일부터
2025년 3월 31일까지 관악구 주민의 흡연율이 16% 이하로 감소한다.
관악구 주민의 흡연율 변화
매월마다 관악구 주민의 흡연율을 통계처리하며, 연말에 월별 몇 년 통계를 산출하여 전년도와 흡연율을 비교
구체적 목표
1. 2024년 4월 1일부터 2024년 9월 30일까지 직장인을 대상으로 한 금연 교육에 직장인의 80% 이상이 월 2회 참여한다.
2. 2024년 4월 1일부터 2024년 6월 30일까지 현재흡연자의 금연시도율을 70% 이상으로 증가시킨다.
3. 2024년 4월 1일부터 2024년 9월 30일까지 금연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대상자들 중 50% 이상이 3개월 이상 금연에 성공한다.
금연 교육 프로그램 참여도
금연수첩 수행 및 교육 평가
프로그램 참여 후 금연율
통계조사 - 금연 교육활동 프로그램 참여자 수를 전년도와 비교
금연시도자 수 기록 - 금연수첩 기록 내용과 배포된 설문지의 관련 문항을 통해 금연시도율 조사
참여인원 기록 및 만족도 설문조사 - 금연교육 프로그램 참여 후 만족도 조사와 함께 금연 성공률 조사
높은 우울감 경험률
일반적 목표
2024년 4월 1일부터 2025년 3월 31일까지 관악구 주민의 우울감 경험률을 2% 감소시켜 지역사회 정신건강 증진을 도모한다.
관악구 주민의 우울증상 유병률
-매년마다 우울증상 유병률
통계처리하며, 연말에 월별
및 년 통계를 산출하여
전년도와 비교
구체적 목표
1. 2024년 4월 1일부터 2025년 3월 31일까지 관악구 주민의 정신 건강 홍보 및 캠페인의 참가자 수를 전년 대비 200명 증가시킨다.
2. 2024년 4월 1일부터 2025년 3월 31일까지 관악구 주민의 스트레스 인지율이 5% 감소한다.
3. 2024년 1월 1일부터 2025년 3월 31일까지 20, 30대 관악구 주민의 프로그램 참가자 수를 전년 대비 30명 증가시킨다.
전년도 정신건강 홍보 및 캠페인 참가자 수 비교
전년도 스트레스 인지율과 비교
전년도 마음 치유 프로그램 참가자수 비교
리플릿 배포량, 심리상담 건수, 마음돌봄 토크쇼 참가자 수
스트레스 완화프로그램 참가자수, 정신건강교육 설문지조사, 건강검진사업 연계건수
프로그램에 참여한 관악구
주민 수를 전년도와 비교
Ⅲ. 결론
서울시 관악구에 대한 CNP 보고서를 작성하면서, 높은 흡연율과 높은 우울감 경험율이라는 문제점을 발견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금연 및 정신건강 홍보물 제작과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시행 등의 계획을 세웠다. 또한 이에 대한 평가를 구체적인 항목과 점수를 통해 시행할 수 있도록 하여 사업과 관련되어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난 부분은 무엇이고, 부족한 점이나 보완이 필요한 점은 무엇인지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계획을 세웠다. 이러한 프로그램을 통해 주민들의 건강 인식을 높이고 스스로의 건강 습관을 개선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함을 알게 되었다.
또한, 이번 2주간 관악구 보건소에서 실제로 실습을 진행하며 관악구의 특징과 집중 관심이 필요한 간호문제에 대해 더 관심을 갖게 되었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이러한 문제점을 지역사회 차원에서 많은 노력을 들여 해결하고자 하고 있음을 느끼게 되었다. 또한 일차보건 의료에 대한 깊은 이해와 관심을 키울 수 있었다. 지역사회의 건강 문제를 분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계획을 세우는 과정에서 팀원들이 사는 지역과의 비교를 통해 보다 심층적인 지식을 얻을 수 있었다. 관악구와 다른 지역의 특징을 비교하고 문제점을 파악함으로써 의료인의 시선에서 해결책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지역사회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이해와 관심이 필요하다는 점을 느낄 수 있었다.
이러한 프로젝트를 통해 CNP가 지역사회의 건강 문제를 다루는 데 있어서 단순한 간호 역할을 넘어서, 보다 학문적인 지식과 접근 방식을 활용할 수 있음을 깨달았다. 또한, 지역사회 전체의 건강에 기여하는데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해 더 많은 고민과 이해를 할 수 있었다. 의료인의 시선에서 문제를 바라보며 과학적이고 학문적인 방법으로 해결책을 모색함으로써, 지역사회의 건강을 더욱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또한, 이를 통해 지역사회에 대한 보다 깊은 관심과 책임감을 느끼게 되었고, 정부와 의료인, 공무원의 더 많은 협력을 통해 지역사회의 건강을 총괄적으로 관리해야함을 인식하게 되었다.
<참고문헌>
- 관악구청 홈페이지 https://www.gwanak.go.kr/site/gwanak/main.do
- 관악구 보건소 홈페이지 https://www.gwanak.go.kr/site/health/main.do
- 관악구 통계연보
https://data.seoul.go.kr/dataService/jachiguStatList.do?jachigu=gwanak#submenu1
- 제 8기 지역보건의료계획
https://ebook2.gwanak.go.kr/ecatalog5.php?Dir=239
- 2023 제 38회 관악통계연보
https://ebook2.gwanak.go.kr/ecatalog5.php?Dir=263
- KOSIS 국가통계포털,https://kosis.kr/search/search.do
- 관악구건강도시기초프로파일
https://www.khcp.kr/upload/attach_file/proFile%284%29.pdf
- 보건복지부 [지역사회 음주폐해예방사업]
https://www.khepi.or.kr/board?menuId=MENU01151&siteId=SITE00005
- 구리시보건소 금연클리닉
https://www.guri.go.kr/health/contents.do?key=5033
- 금연길라잡이
https://www.nosmokeguide.go.kr/lay2/S1T53C64/contents.do
- 유튜브 [유병재 금연홍보대사_형처럼 되기 싫으면 담배 끊을 수 있을 때 끊어라 - 보건복지부 복따리TV / 2014.11.03.]
https://youtu.be/_yvZJRBQo6g?si=_0VGw-6nwSInZKgR
- 관악구정신건강복지센터
https://www.gwanakmaum.or.kr/
  • 가격5,000
  • 페이지수73페이지
  • 등록일2024.06.21
  • 저작시기2024.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549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