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 관리(과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간호 관리(과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1-1 간호∙간병통합서비스란

2. 본론
2-1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정책
2-2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진행과정
2-3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성과
2-4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문제점
2-5앞으로의 진행 방향

3. 결론
3-1 정책에 대한 나의 생각
3-2 보고서 수행 소감

4. 참고문헌

본문내용

도가 높은 환자들을 위한 중증 환자 전담 병실을 도입한다. 간호사 1명이 환자 4명, 간호조무사 1명이 환자 8명을 담당하게 된다. 그리고, 간병 기능 강화를 위해 간호조무사 배치를 최대 3.3배 확대한다. 현재 4개 병동까지 간호ㆍ간병 통합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던 상급종합병원은 비수도권 소재 병원(23개)부터 2026년에 전면 참여를 허용하고, 수도권 소재 병원(22개)은 6개 병동까지 참여를 허용한다.
둘째, 요양병원 간병 지원을 단계적으로 제도화한다. 2024년 7월부터 2025년 12월까지 10개 병원을 대상으로 1차 시범사업을 실시한다. 단계적 시범사업을 거쳐 2027년 1월부터 본 사업으로 전환한다.
셋째, 퇴원 후 집에서도 의료ㆍ간호ㆍ돌봄서비스를 제공한다. 간병인력 공급기관 관리기준 마련 및 등록제 도입으로 서비스 품질을 높인다. 복지 용구(보조기기) 지원을 확대하고 간병ㆍ돌봄 로봇을 개발하여 복지와 경제 간 선순환 구조도 창출 한다.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은 “초고령사회 진입을 앞두고 환자가 입원, 수술부터, 회복ㆍ요양, 퇴원 후까지 필요한 간병서비스를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는 체계를 조속히 구축하여 국민들의 간병 부담을 덜 수 있도록 하겠다”라고 하였다.
Ⅲ 결론
정책에 대한 나의 생각
대한민국의 요즘 사회는 고령화와 저출산이 빠르게 진행되면서 노인 및 환자들의 간호와 간병에 대한 필요성이 더욱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환자들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보다 효율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간호간병 통합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정부에서도 사업을 확대 추진하고 있다. 앞으로 병원에서 근무를 해야하는 나 또한 이러한 통합서비스가 더욱 확대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아직 병원에서 근무를 하지 않았고 과제를 하면서 찾아본 자료로 공부한 나의 의견으로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는 환자 및 보호자 가족들에게 큰 편의를 제공한다고 생각한다. 기존에는 간병서비스와 간호서비스가 분리되어 있어서 별도로 신청을 하거나 조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하지만 병원에서 통합서비스를 통해 한번에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보호자와 환자 모두에게 시간과 노력을 절약할 수 있고 보다 나은 간호와 간병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되었다. 전문적인 간호사와 간병인 및 여러 인력들이 함께 협력하여 환자의 상태를 종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서 치료 및 간호간병의 품질이 향상되었다고 생각한다. 물론 중환자실처럼 보호자가 원할 때 면회를 하거나 환자와 접촉할 수는 없다는 단점이 있지만 이러한 단점에도 불구하고 의료인, 간병인과 여러 인력이 환자의 치료와 간호간병에만 집중 할 수 있게 되어서 서비스의 품질이 올라갔다고 생각한다. 또한 의료 비용 절감효과도 있어서 환자 및 가족들에게 부담을 덜어주고 사회적 경제적인 이익을 가져다 줄 수 있어서 좋은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드라마나 영화, 뉴스에서 보면 가족이 아파 병원에 입원을 하면 가족들과 보호자들이 환자를 보살피느라 일상도 무너지고 힘든 모습을 많이 보아 왔다. 병원 실습을 하면서도 고령의 환자들을 돌보느라 마찬가지로 고령의 할머니 할아버지와 가족들이 힘들어하는 모습을 보았다. 의료인으로서가 아닌 한 인간으로서 앞으로 나도 겪게 될 일들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어려움을 덜어드리고 가족의 고통을 덜어주기 위해서는 앞으로는 큰 병원 뿐만이 아니라 중소병원들, 그리고 전 병동과 특수부서에서도 이러한 간호간병통합서비스가 제공되면 좋겠다고 생각한다. 물론 비용적인 문제와 인력적인 문제로 인하여 당장은 어렵겠지만, 최근에는 음성의무기록(AI vovile ENR), AI진단기술과 같은 혁신적인 AI 기술들과 장비들이 개발되고 보급되고 있는데 치료와 간호, 간병의 업무가 점차 이러한 기술들로 보완이 되고 있기 때문에 가능하지 않을까 하고 기대해 본다.
보고서 수행 소감
간호간병 통합서비스에 대한 정책을 찾아보면서 여러 자료들을 찾아보면서 많은 것을 배우고 느낄 수 있었습니다. 보고서를 작성하면서 책으로만 배운 간호간병 통합서비스의 중요성과 장점에 대해 더 깊이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환자와 가족들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의료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 서비스가 얼마나 좋은 정책인지 알게 되었습니다. 또한 간호사와 간병인 간의 의사소통, 병원 인력간의 업무 협조와 정부의 정책 개발과, 병원과 관련된 여러 다양한 전문가들이 하나의 정책을 놓고 개선발전 시키기 위해 얼마나 많은 노력과 협력을 하고 있는지 알게 되었습니다. 특히 정부의 관련 정책 부서에서는 매년 사업에 대해서 모니터링 하고 성과를 분석하고 개선시키기 위해서 관련 분야의 전문가들과 임상에 있는 사람들의 의견을 듣고, 교수들과 관련 전문가들은 많은 연구와 논문을 작성하고 논의를 하는 것을 보면서 앞으로 나도 이러한 일에 도움이 되고 기여를 해보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Ⅳ 참고 문헌
조민정, 구미옥. (2021). 간호대학생을 위한 간호
2023년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사업지침. 보건복지부, 국민건강보험.
보건복지부 보도자료(2023). 앞으로는 의료기관 전체 병동에서 간호ㆍ간병 통합서비스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https://www.mohw.go.kr/board.es?mid=a10503010100&bid=0027&act=view&list_no=1479902&tag=&nPage=1
4. 최정규, 박병규, 안금희, 오현철. \"간호간병 통합서비스 이용여부에 따른 의료이용 현황과 재입원률 차이.\" 保健社會硏究 41.1 (2021): 251-264.
5. 보건복지부 보도자료(2023). 간병비 걱정 없는 나라, 국가가 중심이 되어 책임집니다!. https://www.mohw.go.kr/board.es?mid=a10503010300&bid=0027&act=view&list_no=1479428&tag=&nPage=1
6. 서울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국내학술대회(2023. 10. 19.) 개최 자료.
7. 이지현 기자(2023). 메디칼타임즈. 간호간병 전면확대? 의료현장에선 제도와 현실 괴리 여전. https://www.medicaltimes.com/Main/News/NewsView.html?ID=1155177
  • 가격5,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24.06.27
  • 저작시기2024.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553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