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공학 교재 1장부터 4장까지 각각의 장에서 자신에게 가장 흥미로웠던 주제를 하나씩 선정, 각각의 주제에 관한 핵심내용을 요약 aabb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육공학 교재 1장부터 4장까지 각각의 장에서 자신에게 가장 흥미로웠던 주제를 하나씩 선정, 각각의 주제에 관한 핵심내용을 요약 aabb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 1장 – 메이커 스페이스
2. 2장 – SMCR 모형
3. 3장 – ADDIE 모형
4. 4장 – 래피드 프로토타입 개발 모형
5. 참고문헌

본문내용

개발(Develop) 절차가 있다. 해당 절차에서는 학습 내용과 관련한 학습자료를 개발하는 과정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이 과정에서도 학습자가 관여하여 제작된 자료에 대한 파일럿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분석(Analysis) 절차에서 연결될 수 있는 절차로 프로토타입(Prototype) 절차가 있다. 해당 절차에서는 학습 내용과 교수의 분석을 통해 프로토타입을 구성하고 해당 프로토타입을 검토하게 된다. 그리고 학습자와의 교류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프로토타입 설계를 확정하는 과정까지가 이 절차에 포함된다. 앞서 설명한 설계(Design) 절차와 개발(Develop) 절차 그리고 프로토타입(Prototype) 절차는 순서대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동시에 진행될 수 있다는 점이 해당 래피드 프로토타입 개발 모형의 가장 큰 특징이다. 마지막으로 운영(Deliver) 절차는 가장 마지막에 진행되는 절차로, 앞선 절차들을 거쳐 만들어진 최종적인 산출물에 교육을 담당하는 부서와 학습자가 참여하여 실제로 교육이 실행되는 것을 의미한다. “교수체제설계를 위한 래피드 프로토타입(RPISD) 모형 적용 및 개선에 관한 연구”, 임철일, 송유경, 홍수민 & 박찬실, 교육공학연구, 36(3), pp589-617, 2020
해당 개발 모형을 실제로 적용하게 되는 경우, 중고등학교나 대학 교육 환경에서 사용하기보다는 특정 기술을 집중적으로 연마하는 현업에 종사하는 인원들이 있는 곳에서 교육이 이루어지는 경우 이용하기 좋을 것으로 생각한다. 왜냐하면 전문성이 있는 분야의 경우 학습자의 역할이 되는 입장인 현직자 또한 해당 교육 분야에 대한 전문성을 어느 정도 가지고 있을 것이기 때문에 더 효율적인 교육 자료 제작이 가능할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다수의 사람이 교육에 참여하는 것보다 소규모로 교육이 진행될 때 적용하기 좋을 것으로 생각하는데, 그 이유는 래피드 프로토타입 개발 모형은 모든 단계에서 학습자와 설계 팀의 교류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개발 과정에 관여하는 사람의 수가 많을수록 개발 단계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해당 개발 모델은 전문성을 가진 분야에서 소규모의 인원으로 진행하는 경우 가장 효율이 높을 것으로 생각한다. 하나의 예시로 특정 프로그램 개발과 관련한 개발자들의 소규모 워크숍을 진행하는 경우가 있을 것이다. 이 경우 학습 자료를 만들 때 개발자들에게 실시간으로 현장 평가를 받을 수도 있고, 학습자들이 개발 과정에 참여하게 되므로 개발 완성물의 효율이 높아지는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5. 참고문헌
1) 임철일, 임정훈 & 이동주, 『교육공학』, 출판문화원(2021), pp5-113
2) 국토연구원, 국토용어사전, 메이커 스페이스 (Maker Space),
https://www.krihs.re.kr/publica/bbsView.es?mid=a10702040000&pageIndex=11&num=756&serlno=1
3) “발명의 꿈이 현실이 되는 곳, 메이커 스페이스”,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조수연, 2022/05/19, https://www.korea.kr/news/reporterView.do?newsId=148901780
4) “커뮤니케이션기반 u-포트폴리오 시스템”, 문창배, 조정원 & 박정환, 정보처리학회지, 16(5), pp63-65, 2009
5) 이정기, 『온라인 대학 교육』, 커뮤니케이션북스(2015), pp53-74
6) “교수체제설계를 위한 래피드 프로토타입(RPISD) 모형 적용 및 개선에 관한 연구”, 임철일, 송유경, 홍수민 & 박찬실, 교육공학연구, 36(3), pp589-617, 2020

키워드

  • 가격3,2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24.07.01
  • 저작시기2024.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555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