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요약
2. 다음 제시된 쌍들의 차이를 3-4문장으로 설명하고, 그 쓰임을 설명할 수 있는 예문을 본인이 직접 작성하시오. (10점)
(1) ’느라고‘와 ’노라고‘
(2) ’-데‘와 ’-대‘
(3) ’알맞은‘과 ’알맞는‘
(4) ’어떻게‘와 ’어떡해‘
(5) ’것‘과 ’거‘
3. 교재 제II부 제1장 ’2. 적절한 어휘의 선택‘(60쪽~76쪽)에서 다루고 있는 단어나 표현 중 10개를 선정하여 그 단어나 표현을 3-4문장으로 설명하고, 그 단어나 표현이 들어간 예문을 본인이 직접 작성하시오. (10점) (예를 들어, 61쪽에 나오는 ’작다‘를 선택했다면 ’작다‘와 ’적다‘의 차이를 설명하고 ’작다‘나 ’적다‘가 들어간 적절한 예문을 작성하면 됨. 이러한 설명과 예문을 10개 작성하는 것임.)
1. 요약
2. 다음 제시된 쌍들의 차이를 3-4문장으로 설명하고, 그 쓰임을 설명할 수 있는 예문을 본인이 직접 작성하시오. (10점)
(1) ’느라고‘와 ’노라고‘
(2) ’-데‘와 ’-대‘
(3) ’알맞은‘과 ’알맞는‘
(4) ’어떻게‘와 ’어떡해‘
(5) ’것‘과 ’거‘
3. 교재 제II부 제1장 ’2. 적절한 어휘의 선택‘(60쪽~76쪽)에서 다루고 있는 단어나 표현 중 10개를 선정하여 그 단어나 표현을 3-4문장으로 설명하고, 그 단어나 표현이 들어간 예문을 본인이 직접 작성하시오. (10점) (예를 들어, 61쪽에 나오는 ’작다‘를 선택했다면 ’작다‘와 ’적다‘의 차이를 설명하고 ’작다‘나 ’적다‘가 들어간 적절한 예문을 작성하면 됨. 이러한 설명과 예문을 10개 작성하는 것임.)
본문내용
사람대로 식욕이 너무 없다는 불편함이 있다.”가 있다. 두 번째 어휘로, ‘틀리다’와 ‘다르다’를 선택하였다. ‘틀리다’가 ‘그르거나 어긋나다’라는 뜻 이외 ‘다르다’라는 의미로 사용되는 예시가 근래에 있지만 ‘틀리다’에는 ‘다르다’라는 의미가 존재하지 않는다. 이에 대한 예문으로, “너는 너 동생하고 키가 다르다”와 “기말고사 채점을 해봤는데 내가 생각한 거랑은 틀리다”를 예시로 들 수 있다. 세 번째 어휘로, ‘돋구다’와 ‘돋우다’이다. ‘돋구다’는 어떠한 감정이 생기거나 입맛이 당기는 뜻으로 쓰이는 것일 때에는 ‘돋우다’를 사용해야 한다. ‘돋구다’는 오로지 높일 때만 쓰인다. 이에 대한 예문으로 “자꾸 내 화를 돋우지마”와 “내 렌즈 도수를 돋굴 때가 되었어”가 있다. 네 번째 어휘로, ‘주의’와 ‘주위’이다. ‘주의’는 어떠한 것에 관심을 기울이다라는 의미이며, ‘주위’와 혼동할 가능성이 있다. “주의가 산만하다”도 “주위가 산만하다”라고 잘못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예문으로 “시험공부에 주의를 기울이다”와 “주위가 어수선하다”가 있다. 다섯 번째 어휘로, ‘제치다’와 ‘제끼다’이다. ‘제치다’는 일정 대상 및 범위에서 제외한다는 의미이고 ‘제끼다’를 잘 못쓰는 경우가 있다. 이에 대한 예시로, “내가 이번 학기에 수빈이를 제치고 1등 했어”에서 제끼고 대신 제치고를 사용해야 한다. 여섯 번째 어휘로, ‘주인공’이라는 의미로, ‘장본인’이라고 하는 것이다. ‘장본인’은 어떠한 일을 일으킨 바로 그 사람이라 주인공과 별반 다르지 않아 보이지만, 더 부정적인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따라서 ‘주인공’의 예시는 “오늘 생일인 네가 주인공이야”와 ‘장본인’의 예시는 “네가 어제 망친 분위기의 장본인이야”가 있다. 일곱 번째 어휘로 ‘사단’이다. ‘사단’이란 사고와 탈이라는 뜻으로 사용하곤 한다. 하지만, 사단은 사건의 단서와 일에 대한 실마리라는 뜻일 뿐 사고와 탈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지 않다. 이에 대한 표현은 사달이 올바르다. 이에 대한 예시로 “어제 뭔가 배가 아프더니 맹장이 터지는 사달이 났어”를 들 수 있다. ‘사단’의 예시로 “이번 총선의 주요 사단은 무엇인가”가 있다. 여덟 번째 어휘로, ‘모듬’과 ‘모둠’이다. ‘모듬’은 동사의 ‘모으다’와 연결된 결과로 추정될 수 있지만, ‘모둠’이 적절하다. 따라서 이에 대한 예문으로 “학급 회의는 모둠으로 진행해요”가 있다. 아홉 번째 어휘로, ‘탓’과 덕분이다. ‘탓’은 부정적인 결과에 대한 원인 의미로 사용되기에 긍정적인 결과에 사용되는 ‘덕분’과 대비된다. 이에 대한 예문으로 ‘탓’은 “이렇게 시험 망치게 된 건 다 너 탓이야”가 있고, ‘덕분’은 “제 목숨을 구하게 된 건 은인 덕분이다”가 있다. 마지막 열 번째 어휘로, ‘수여’이다. ‘수여’란 증서, 훈장, 상장을 주는 의미로 상을 주는 주최자의 입장에서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을 받는 것이 아니라면 ‘받았다’를 사용해야 한다. 이에 대한 예문으로, “내가 학교 대표로 성적 우수자 상을 수여 받았다”가 있다.
추천자료
2024년 1학기 방송통신대 중간과제물 글쓰기)교재 제I부 제1장 14쪽~16쪽에서 설명한 좋은 글...
(2024학년도 1학기, 중간과제물, 글쓰기, 공통) 1. 교재 제I부 제1장 14쪽~16쪽에서 설명한 ‘...
(글쓰기 1학년) 1. 교재 제I부 제1장 14쪽~16쪽에서 설명한 ‘좋은 글의 요건‘을 A4 1쪽으로 ...
2024년 1학기 글쓰기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좋은 글의 요건, 제시된 쌍들의 차이 등)
2024년 1학기 글쓰기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좋은 글의 요건, 제시된 쌍들의 차이 등)
2024년 1학기 글쓰기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좋은 글의 요건, 제시된 쌍들의 차이 등)
2024년 1학기 글쓰기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좋은 글의 요건, 제시된 쌍들의 차이 등)
글쓰기 1. 교재 제I부 제1장 14쪽~16쪽에서 설명한 ‘좋은 글의 요건‘을 A4 1쪽으로 요약하고(...
[글쓰기] 2024년 중간과제물, 1. 교재 제1부 제1장에서 좋은 글의 요건을 요약하고, 좋은 글...
글쓰기] 교재 제I부 제1장 14쪽~16쪽에서 설명한 ‘좋은 글의 요건‘을 A4 1쪽으로 요약하고(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