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학년도 1학기, 중간과제물, 글쓰기, 공통) 1. 교재 제I부 제1장 14쪽~16쪽에서 설명한 ‘좋은 글의 요건‘을 A4 1쪽으로 요약하고, 좋은 글의 요건 가운데 자신이 생각하는 가장 중요한 요건을 한 단락으로 설명하시오. 2. 다음 제시된 쌍들의 차이를 3-4문장으로 설명하고, 그 쓰임을 설명할 수 있는 예문을 본인이 직접 작성하시오. 3. 교재 제II부 제1장 ’2. 적절한 어휘의 선택‘(60쪽~76쪽)에서 다루고 있는 단어나 표현 중 1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2024학년도 1학기, 중간과제물, 글쓰기, 공통) 1. 교재 제I부 제1장 14쪽~16쪽에서 설명한 ‘좋은 글의 요건‘을 A4 1쪽으로 요약하고, 좋은 글의 요건 가운데 자신이 생각하는 가장 중요한 요건을 한 단락으로 설명하시오. 2. 다음 제시된 쌍들의 차이를 3-4문장으로 설명하고, 그 쓰임을 설명할 수 있는 예문을 본인이 직접 작성하시오. 3. 교재 제II부 제1장 ’2. 적절한 어휘의 선택‘(60쪽~76쪽)에서 다루고 있는 단어나 표현 중 1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교재 제I부 제1장 14쪽~16쪽에서 설명한 ‘좋은 글의 요건‘을 A4 1쪽으로 요약하고, 좋은 글의 요건 가운데 자신이 생각하는 가장 중요한 요건을 한 단락으로 설명하시오.
1) 좋은 글의 요건
2) 본인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요건

2. 다음 제시된 쌍들의 차이를 3-4문장으로 설명하고, 그 쓰임을 설명할 수 있는 예문을 본인이 직접 작성하시오.
1) ’느라고‘와 ’노라고‘의 차이 설명 및 예문을 통한 쓰임 설명
2) ’-데‘와 ’-대‘의 차이 설명 및 예문을 통한 쓰임 설명
3) ’알맞은‘과 ’알맞는‘의 차이 설명 및 예문을 통한 쓰임 설명
4) ’어떻게‘와 ’어떡해‘의 차이 설명 및 예문을 통한 쓰임 설명
5) ’것‘과 ’거‘의 차이 설명 및 예문을 통한 쓰임 설명

3. 교재 제II부 제1장 ’2. 적절한 어휘의 선택‘(60쪽~76쪽)에서 다루고 있는 단어나 표현 중 10개를 선정하여 그 단어나 표현을 3-4문장으로 설명하고, 그 단어나 표현이 들어간 예문을 본인이 직접 작성하시오. (10개)

4. 참고문헌

본문내용

것이다와 같은 뜻)
- 이게 뭐야? (이것이 뭐야와 같은 뜻)
- 내가 할 걸. (내가 할 것을이라는 뜻)
③\'것’과 \'거’는 의미는 같지만, 표현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구분하여 사용해야 한다.
3. 교재 제II부 제1장 ’2. 적절한 어휘의 선택‘(60쪽~76쪽)에서 다루고 있는 단어나 표현 중 10개를 선정하여 그 단어나 표현을 3-4문장으로 설명하고, 그 단어나 표현이 들어간 예문을 본인이 직접 작성하시오.
(1) ‘작다’와‘적다’
①‘작다’는 크기가 비교 대상이나 보통보다 덜하다는 뜻이다.
예문: 우리 엄마는 나보다 키가 작다.
②‘적다’는 개수나 양 따위가 일정한 정도에 미치지 못하다는 뜻이다.
예문: 여동생 용돈이 내 용돈보다 적다.
(2)‘갑절’과 ‘곱절’
①‘갑절’은 어떤 수량을 두 번 합친다는 뜻으로 2배라는 의미이다.
예문: 그 물건을 사는데 돈이 갑정이나 더 들었다.(두 배나 더 들었다.)
②‘곱절’은 같은 수량을 몇 번이고 합친다는 뜻으로 배수(倍數)를 세는 단위로 사용된다.
예문: 영농 방식을 이처럼 개선하면 소득이 몇 곱절 높아지게 된다.(몇 배, 배수(倍數)
(3)‘틀리다’와 ‘다르다’
①‘틀리다’는 사실 따위가 그르게 되거나 어긋나다의 의미이다.
예문: 선생님이 외우라고 하신 말씀을 한마디도 안 ‘틀리고’ 외웠다.
②‘다르다’는 비교가 되는 두 대상이 서로 같이 아니하다의 의미이다.
예문: 오늘 자세히 보니 어제 본 것과는 ‘다르다’.
(4) ‘탓’
‘탓’은 주로 부정적인 현상에 대한 원인을 의미하는 것으로 ‘주로 부정적인 현상이 생겨난 원인’, ‘구실·핑계로 삼아 원망하거나 나무라는 일’을 의미한다.
예문: 우리가 실패한 것은 내가 뒤에서 제대로 도와주지 못한 ‘탓’이다.
(5)‘척하다’
‘척하다’의 의미는 앞의 말이 나타내는 동작이나 상태를 거짓되고 그럴듯하게 꾸미는 말이다.
예문: 명절에 고향 가는 것이 싫으면서도 좋은 ‘척하다’가 망신당했다.
(6)‘편견’
‘편견’은 한쪽으로 치우쳐 굳어버린 사고·견해의 의미로 ‘일방적’이라는 뜻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일상에 자주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일반적인 편견’과 같은 표현은 중복된 의미가 된다.
예문: 기성세대 중에는 많은 이들이 여전히 대중문화는 ‘깊이가 없는 문화’라는 ‘편견’을 가지고 있다.
(7)‘역임하다’
‘역임하다’는‘여러 직위를 두루 거쳐 지내다.’라는 뜻이다. 따라서 하나의 직위에 쓰는 것이 아니다.
예문 : 우리 삼촌은 능력이 뛰어나서 주요 관직을 두루‘역임했다’(역임하다)
(8)‘전격적’
‘전격적’은 사람들이 전혀 알지 못하거나 예상할 수 없는 상황에서 사용되는 단어로 번개같이 급작스런 것을 의미이다.
예문: 공무원노조가 어제까지만 해도 대화와 타협을 통한 진정성 있는 교섭을 촉구하더니 오늘 아침에 ‘전격적’으로 무분규를 선언했다.
(9)‘함께 배석하다’
‘배석하다’단어의 의미에는‘함께’라는 의미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함께 배석하다’는 의미가 중복되어 있다. 따라서 함께 쓰는 것을 피해야 한다.
예문: 도지사는 오늘 관련 전문가를 ‘배석’하고 인터뷰에 응했다.
위 예문의 경우 ‘함께 배석했다’라고 하면 함께라는 의미가 중복되어 있어서 어색하다.
(10) ‘좋은 호평’
‘호평’의 의미는 ‘좋은 평가’의 의미이다. 따라서 ‘좋은 호평’은 ‘좋은’이라는 의미가 중복되어 있다. 따라서 ‘좋은’ 없이 ‘호평’이라고만 쓰는 것이 맞고 적절한 표현이다.
예문: 그 배우는 봉사활동이 예상 밖의 ‘호평’을 받아서 이미지 개선에 성공했다.
4. 참고문헌
방송강의 교재(2024)
고성환, 이상진(2019), 글쓰기,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국어사전
  • 가격6,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24.03.09
  • 저작시기2024.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432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