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우리나라 산업재해 현황과 기업의 안전문화 발전 방안
2. Bradley Model
3. 로벤스 보고서와 한국 도입의 필요성
4. 화학공정안전관점에서 본 화재·폭발 사고사례
5. 참고문헌
1. 우리나라 산업재해 현황과 기업의 안전문화 발전 방안
2. Bradley Model
3. 로벤스 보고서와 한국 도입의 필요성
4. 화학공정안전관점에서 본 화재·폭발 사고사례
5. 참고문헌
본문내용
의 공정을 거쳐 생산된다. 에틸렌을 노말헥산과 반응기 안에서 중합반응하는 공정 과정에서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2)사고 원인
공정 사고 발생 물질인 노말헥산(n-Hexane)은 무색의 액체로 기체상태에서는 공기보다 무거워 지면에 깔려 폭발성 혼합가스를 만들기 쉬우며 인화성 물질로 분류된다. 인체에 유해하며 증기를 흡입하면 현기증, 감각마비 등의 증상이 일어난다. 재해자의 진술에 따르면 최초 발화지점은 드레인 용기 내부로, 발생 형태, 사고 발생 시점의 공정 조건, 사고 발생 물질 등을 검토한 결과, 정전기에 의한 발화 가능성, 산소 및 가연물(인화성 액체)에 의한 폭발위험 분위기 형성 가능성 등이 있으며, 드레인 과정에서 노말헥산 입자 간의 충돌에 의해 전하가 발생하고 용기표면에 방전되어 발화했다고 분석된다.
(3)결과
- 인적피해: 작업자 1명 부상(2도 화상)
- 물적피해: 드레인용기 및 접지클램프 손상 발생
(4)예방대책
- 정전기 발생 억제 조치: 상부 주입 방식에서 스플래쉬 필링(인화성액체를 채울 때 액체가 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 충전방식)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배관의 끝단을 45˚로 잘라 액체의 흐름을 수평으로 전환시키는 방법이 있다. 또한, 충전 초기단계에서 주류와 반대방향으로 유체가 소용돌이 칠 수 있기 때문에 유속을 제한하는 것이 좋다.
- 화재·폭발(위험) 분위기 제거: 개방된 장소에서 인화성물질을 취급할 때는 공기와의 혼합으로 화재, 폭발이 쉽게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인화성 증기가 작업장으로 누출되지 못하도록 드레인 회수 배관이나 덮개를 설치하고 질소 등을 이용하여 활성이 어렵도록 위험을 예방해야 한다.
- 안전 작업절차 개선: 전하 생성과 축적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는 펌프나 용기 등 각 설비의 굵기를 충분히 확보하여 접지해야 하고, 배관, 용기 펌프와 같이 전기가 통할 수 있는 각종 설비는 본딩하여야 한다. 전체적으로 접지와 본딩이 양호한 상태에서 작업해야 위험을 최소화 할 수 있다.
(5)시사점
드레인 작업은 인화성 액체를 취급하는 일상 작업으로 드레인 중 유동대전, 분출대전, 충돌대전 등 다양한 형태의 정전기가 발생되고 화재, 폭발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공정 위험성평가, 일상작업 및 정기보수 작업 등 다양한 관점에서 화재·폭발 위험성을 검토해야 한다. 또한 부적절한 설비 구조는 모든 사고의 원인이다. 모든 인화성 액체 취급설비는 설비 내부의 인화성 증기가 누출되지 못하도록 덮개 설치, 내수 질소 치환 등 안전 사항을 점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인화성 액체가 튀는 현상으로 발생하는 정전기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방법으로 액체의 흐름을 제한해 화재·폭발 사고 위험을 예방해야 한다.
5. 참고문헌
국가미래전략 Insighr(2023). 노동 안전 분야의 마그나카르타, 로벤스 보고서: 누가, 왜, 어떻게 만들고 실현할 수 있었나. 국회미래연구원. 62호
고용노동부 산업재해 발생현황(2021)(e-나라지표, https://www.index.go.kr/enara)
김보훈, 강민지, 박소은(2023). 중대재해 예방을 위한 안전문화 구축의 필요성 - 안전문화 확립을 방해하는 문제점을 중심으로 -. 미래노사경영연구소 이슈리포트
박영수(2023). 로벤스 보고서가 우리에게 주는 교훈. 월간산업보건. 423호
안전보건공단(2022). 2022년 화학사고 사례연구 4호. 드레인 작업 중 화재사고 사례연구. 안전보건공단.
오상호(2021). 한국의 끊임없는 산업재해: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동아시아재단정책논쟁. 제166호.
윤여홍(2021.1.18.)[전문가 칼럼] 사고 예방, 의식 수준에 답이 있다. 산업인뉴스
https://www.sanupin-news.kr/news/articleView.html?idxno=1002
이선희·이진·김주은(2021), 안전문화 길라잡이 1. 안전보건공단. 9쪽.
전혜원(2023.01.02.). 왜 자꾸 일하다 죽는가, 영국 ‘로벤스 보고서’의 질문. 시사인
https://www.sis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49343#google_vignette
최준환(2021.1.5.). [안전파수꾼]듀폰의 \'브래들리 곡선모델\'. ulsansafety.
https://ulsansafety.tistory.com/2273
통계청(2021.4.). 한국의 SDGs 이행보고서 2021.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2021). 산업안전보건 실태조사
(2)사고 원인
공정 사고 발생 물질인 노말헥산(n-Hexane)은 무색의 액체로 기체상태에서는 공기보다 무거워 지면에 깔려 폭발성 혼합가스를 만들기 쉬우며 인화성 물질로 분류된다. 인체에 유해하며 증기를 흡입하면 현기증, 감각마비 등의 증상이 일어난다. 재해자의 진술에 따르면 최초 발화지점은 드레인 용기 내부로, 발생 형태, 사고 발생 시점의 공정 조건, 사고 발생 물질 등을 검토한 결과, 정전기에 의한 발화 가능성, 산소 및 가연물(인화성 액체)에 의한 폭발위험 분위기 형성 가능성 등이 있으며, 드레인 과정에서 노말헥산 입자 간의 충돌에 의해 전하가 발생하고 용기표면에 방전되어 발화했다고 분석된다.
(3)결과
- 인적피해: 작업자 1명 부상(2도 화상)
- 물적피해: 드레인용기 및 접지클램프 손상 발생
(4)예방대책
- 정전기 발생 억제 조치: 상부 주입 방식에서 스플래쉬 필링(인화성액체를 채울 때 액체가 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 충전방식)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배관의 끝단을 45˚로 잘라 액체의 흐름을 수평으로 전환시키는 방법이 있다. 또한, 충전 초기단계에서 주류와 반대방향으로 유체가 소용돌이 칠 수 있기 때문에 유속을 제한하는 것이 좋다.
- 화재·폭발(위험) 분위기 제거: 개방된 장소에서 인화성물질을 취급할 때는 공기와의 혼합으로 화재, 폭발이 쉽게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인화성 증기가 작업장으로 누출되지 못하도록 드레인 회수 배관이나 덮개를 설치하고 질소 등을 이용하여 활성이 어렵도록 위험을 예방해야 한다.
- 안전 작업절차 개선: 전하 생성과 축적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는 펌프나 용기 등 각 설비의 굵기를 충분히 확보하여 접지해야 하고, 배관, 용기 펌프와 같이 전기가 통할 수 있는 각종 설비는 본딩하여야 한다. 전체적으로 접지와 본딩이 양호한 상태에서 작업해야 위험을 최소화 할 수 있다.
(5)시사점
드레인 작업은 인화성 액체를 취급하는 일상 작업으로 드레인 중 유동대전, 분출대전, 충돌대전 등 다양한 형태의 정전기가 발생되고 화재, 폭발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공정 위험성평가, 일상작업 및 정기보수 작업 등 다양한 관점에서 화재·폭발 위험성을 검토해야 한다. 또한 부적절한 설비 구조는 모든 사고의 원인이다. 모든 인화성 액체 취급설비는 설비 내부의 인화성 증기가 누출되지 못하도록 덮개 설치, 내수 질소 치환 등 안전 사항을 점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인화성 액체가 튀는 현상으로 발생하는 정전기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방법으로 액체의 흐름을 제한해 화재·폭발 사고 위험을 예방해야 한다.
5. 참고문헌
국가미래전략 Insighr(2023). 노동 안전 분야의 마그나카르타, 로벤스 보고서: 누가, 왜, 어떻게 만들고 실현할 수 있었나. 국회미래연구원. 62호
고용노동부 산업재해 발생현황(2021)(e-나라지표, https://www.index.go.kr/enara)
김보훈, 강민지, 박소은(2023). 중대재해 예방을 위한 안전문화 구축의 필요성 - 안전문화 확립을 방해하는 문제점을 중심으로 -. 미래노사경영연구소 이슈리포트
박영수(2023). 로벤스 보고서가 우리에게 주는 교훈. 월간산업보건. 423호
안전보건공단(2022). 2022년 화학사고 사례연구 4호. 드레인 작업 중 화재사고 사례연구. 안전보건공단.
오상호(2021). 한국의 끊임없는 산업재해: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동아시아재단정책논쟁. 제166호.
윤여홍(2021.1.18.)[전문가 칼럼] 사고 예방, 의식 수준에 답이 있다. 산업인뉴스
https://www.sanupin-news.kr/news/articleView.html?idxno=1002
이선희·이진·김주은(2021), 안전문화 길라잡이 1. 안전보건공단. 9쪽.
전혜원(2023.01.02.). 왜 자꾸 일하다 죽는가, 영국 ‘로벤스 보고서’의 질문. 시사인
https://www.sis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49343#google_vignette
최준환(2021.1.5.). [안전파수꾼]듀폰의 \'브래들리 곡선모델\'. ulsansafety.
https://ulsansafety.tistory.com/2273
통계청(2021.4.). 한국의 SDGs 이행보고서 2021.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2021). 산업안전보건 실태조사
추천자료
영국․미국․일본의 자치경찰제의 고찰과 우리나라의 자치경찰제 도입방안
[유아교육][유치원교육][영국 유아교육]유아교육의 개념, 유아교육의 목적, 유아교육의 중요...
[해난사고, 해난, 해양오염]해난사고(해난)의 정의, 해난사고(해난)와 해양오염사고, 해난사...
2024년 1학기 산업안전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우리나라의 산업재해 현황 등)
산업안전] 우리나라의 산업재해 현황을 “e-나라지표”를 검색하여 가능한 범위 내에서 최신으...
(산업안전 3학년) 1. 우리나라의 산업재해 현황을 “e-나라지표”를 검색하여 가능한 범위 내에...
보건환경 3 산업안전 1. 우리나라의 산업재해 현황을 “e-나라지표”를 검색하여 가능한 범위 ...
산업안전 ) 우리나라의 산업재해 현황을 e-나라지표를 검색하여 가능한 범위 내에서 최신으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