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파이값은 상수이므로 차이가 없을 것이다. 차이는 오직 질량과 주기에 의해서만 존재한다.
실험 1에서 구한 용수철상수가 과다하게 측정되었거나, 실험 2에서 구한 용수철상수가 과소하게 측정된 것으로 보인다. 먼저 실험 1에서 구한 용수철상수가 과다하게 측정될 요인에 대해서 생각해보자. 이므로 추를 하나씩 추가할수록 늘어나는 길이가 줄어야 한다. 길이가 늘어날수록 탄성력이 강해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측정결과는 오히려 반대였다. 이는 어떻게 설명해야할지 모르겠지만, 용수철 자체에 문제가 있어 끝부분이 비정상적으로 늘어지는 것을 보았다. 임의적으로 수정을하기 어려워서 두었더니 오차요소가 되었다고 생각한다.
실험 2에서 과소하게 측정된 이유를 생각해보면, 추의 무게 말고도 용수철 자체의 무게가 간과되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이상적인 실험에서는 용수철의 무게가 없다고 생각하는데 반해, 실제 실험에서는 무게도 있고 추 무게가 매우 가벼운만큼 용수철의 무게가 가볍다하더라도 큰 영향을 끼칠 것이다. 따라서 이는 과소하게 측정되었을 것이다.
참고자료
Randall D. Knight, 심경무 외 옮김, “대학물리학”, 교문사, 4판, 2019
실험 1에서 구한 용수철상수가 과다하게 측정되었거나, 실험 2에서 구한 용수철상수가 과소하게 측정된 것으로 보인다. 먼저 실험 1에서 구한 용수철상수가 과다하게 측정될 요인에 대해서 생각해보자. 이므로 추를 하나씩 추가할수록 늘어나는 길이가 줄어야 한다. 길이가 늘어날수록 탄성력이 강해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측정결과는 오히려 반대였다. 이는 어떻게 설명해야할지 모르겠지만, 용수철 자체에 문제가 있어 끝부분이 비정상적으로 늘어지는 것을 보았다. 임의적으로 수정을하기 어려워서 두었더니 오차요소가 되었다고 생각한다.
실험 2에서 과소하게 측정된 이유를 생각해보면, 추의 무게 말고도 용수철 자체의 무게가 간과되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이상적인 실험에서는 용수철의 무게가 없다고 생각하는데 반해, 실제 실험에서는 무게도 있고 추 무게가 매우 가벼운만큼 용수철의 무게가 가볍다하더라도 큰 영향을 끼칠 것이다. 따라서 이는 과소하게 측정되었을 것이다.
참고자료
Randall D. Knight, 심경무 외 옮김, “대학물리학”, 교문사, 4판, 2019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