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대_일반물리학및실험1_3주차_포물체운동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충북대_일반물리학및실험1_3주차_포물체운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계산이므로 10.0는 0.100로 표현할 수 있다.
, 유효숫자 3자리)를 포토게이트 사이를 통과하는데 걸리는 시간인 0.078(유효숫자 2자리)로 나누면 된다. 따라서 유효숫자 2자리인 1.3로 표현할 수 있다.
(2) 예상 낙하지점() 연산
예상 낙하지점에 대한 연산은 초기속도보다 까다로운데, 에서 근호 안의 값을 먼저 계산해보자. 테이블의 수직높이는 79.0로 측정되었으므로 로 표현이 가능하고 이다(유효숫자 3자리). 값은 으로 주어져있다(유효숫자 6자리). 이 둘을 나누면 0.1612407784…의 값이 나오는데 아직 계산이 완료되지 않았으므로 이 수를 그대로 근호를 취한다. 이 상태에서 근호를 취하면 0.4015479777…의 값이 나오는데, 아직 초기속도를 곱하지 않았으므로 이 상태에서 초기속도를 곱한다. 그러면 0.522012371…의 값이 나오는데, 최종적으로 초기속도는 유효숫자 2자리 이므로 유효숫자 2자리로 표현해야 한다. 따라서 최종적인 값은 0.52로 산출된다.
(3) 오차율 연산
첫번째 시행 결과를 예시로 오차율을 계산해보자. 첫번째 이론값은 0.52이고 실험값은 0.623이다. 이 둘의 차의 절댓값은 0.103이다. 유효숫자 고려는 최종적 계산에서 해주면 되므로 이 상태로 이론값인 0.52를 나누어준다. 그러면 0.1980769231…의 값이 나오는데 나누는 두 수중 작은 유효자리수가 2자리 이므로 유효숫자 2자리만 남기고 계산하면 20%의 결과값이 도출된다.
참고자료
Randall D. Knight, 심경무 외 옮김, “대학물리학”, 교문사, 4판, 2019, 96-106.p
  • 가격2,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24.07.04
  • 저작시기2023.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557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