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하며 이자겸의 난으로 국왕 권위가 실추되고 개경의 궁궐이 불타면서 민심이 동요하기 시작했다. 인종 왕실의 권위 회복을 위해 서경으로 천도를 시도했으며 묘청은 풍수지리설을 앞세워 서경으로 천도를 주장하였고 인종은 거기에 호응하여 서경에 궁궐을 짓게 되었다. 하지만 조정에서는 천도를 반대하는 의견이 많아지며 대위(국호), 천개(연호)라고 하여 묘청의 난을 일으키는데 김부식이 이끄는 군대에 의해 진압되었다. 이렇게 고려 전기 통치 질서가 무너지고 새로운 질서가 들어서는 계기에 무신들은 문신들에 대한 불만이 쌓여갔고 많은 반란으로 무신들의 지위가 향상되며 하급 지배층의 문벌귀족 사회에 대한 반발로 무신정변이 일어난다. 고려 후기로 접어들면 이러한 무신란으로 파괴된 고려 전기 문화를 대체하려는 새로운 문화의 기운이 일어나게 되는데 그 중 대표적인 것이 이규보의 ‘동명왕편’이다. ‘동명왕편’에서는 고려가 고구려 전통을 이은 것을 부각하며 나타내었다. 또한 몽골과 전쟁 후 단군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며 삼국유사를 써서 민간 전승을 토대로 삼국의 역사를 정리하였으며 단군조선을 우리 역사의 시작으로 설정하고 중국사와 대등한 역사 체계를 구성하였다. 또한 제왕운기에서는 중국과 우리나라의 역사를 서사시로 기록하며 단군신화에 관한 내용 또한 담았다. 역사 서술에서는 강목체를 사용하여 사실의 평가보다 평가에 초점을 맞춘 서술을 사용하였으며 성리학적 가치관을 기준으로 역사적 평가 사서를 편찬하였다.
참고문헌
한국사의이해. 송찬섭, 전덕재, 이익주, 정재훈, 염정섭, 김태웅, 최규진, 박태균 지음. 출판사 : 출판문화원. 2017년
참고문헌
한국사의이해. 송찬섭, 전덕재, 이익주, 정재훈, 염정섭, 김태웅, 최규진, 박태균 지음. 출판사 : 출판문화원. 2017년
추천자료
한국사의이해 2024년 1학기 중간과제물 - 구석기시대와 신석기시대의 생활상을 비교설명, 삼...
(2024학년도 1학기, 중간과제물, 한국사의이해, 공통) 아래 문제에 대하여 교재를 참조하여 ...
한국사의이해 ⑴ 구석기시대와 신석기시대의 생활상을 비교·설명해주세요. ⑵ 삼국사회의 ...
2024년 1학기 한국사의이해 중간과제물- 구석기시대와 신석기시대의 생활상을 비교설명, 삼국...
[한국사의이해] 2024년 중간과제물, 1) 구석기시대와 신석기시대의 생활상을 비교, 설명 2) ...
2024년 1학기 한국사의이해 중간과제물) 구석기시대와 신석기시대의 생활상을 비교설명, 삼국...
2024년 1학기 중간과제 한국사의 이해 ⑴ 구석기시대와 신석기시대의 생활상을 비교·설명해주...
2024년 1학기 한국사의이해 중간과제물, 구석기시대와 신석기시대의 생활상을 비교설명, 삼국...
한국사의이해] 아래 문제에 대하여 교재를 참조하여 각각 서술해주세요. (서술한 문제당 6점,...
한국사의이해 2024년 1학기 중간과제물, 구석기시대와 신석기시대의 생활상을 비교설명, 삼국...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