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중등 교육은 직업학교와 대학 진학을 목표로 하는 일반 중등학교에서 이루어짐.
소말리아 본토 지역에는 수도인 모가디슈 지역을 중심으로 대학이 운영되고 있음.
<소말리아의 경제>
2021년 UN 통계 기준 소말리아의 1인당 GDP는 447달러로, 195개국 중 191에 머뭄.
오가덴 전쟁의 패배 이후 세계 최악의 극빈국으로 전락함.
경제 성장률은 22년 기준 4.8%이며, 총 GDP는 813억 달러임.
교역은 2021년 IMF 기준 42.85억 달러로 기록되며, 수출액은 6억 1,000만 달러, 수입액은 36억 7,500만 달러임.
주요 자원은 우라늄과 철광석, 보크사이트, 구리, 천연가스 등임.
주요 산업은 내전으로 제조업은 폐업상태이며, 농축산업에 대부분 의존함.
세계 최빈국으로 부존자원도 풍부하지 않아 목축 등 농업과 긴 해안선에 의한 수산업이 가장 중요한 분야임.
각 군벌이 인근 해에서 불법조업을 자체 단속하여 불법 나포되는 사건이 많음
계속되는 내전으로 전 국토가 황폐화되어 농업생산량이 급감함.
가축이 GDP의 40%에 해당하는 농업국이며 전 국민의 70%가 목축에 종사함.
제조업은 섬유 위주로 영세한 규모이며 거듭된 내전으로 거의 폐업상태임.
<소말리아의 정치>
소말리아는 기본적으로 부족 집단에 근거한 전통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었음.
1991년 시아드 바레 대통령이 물러난 후 내전과 분열로 진입하게 되고 이는 군사 세력과 집단 간의 충돌로 이어짐.
2000년대 이후 국제 사회의 다양한 노력과 협상을 통해 임시정부가 형성됨.
2004년 수립된 과도 연방정부(Somali Transitional Federal Government, TFG)는 국제 사회에서 유일하게 인정받는 정치 조직임.
내전 이후 정치 조직과 군벌들이 난립하며 이는 사실상 정부의 기능 수행을 못하고 있음.
알 샤비브, 이슬람 정당인 히즈불 이슬람 등 이슬람 계열 반군의 영향력이 큼.
2012년 8월 과도 정부 체제를 벗어나 정식 연방정부를 설립하고 헌법을 제창함.
연방정부는 대통령, 총리, 국회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요 과제는 국가의 안정화와 개발을 목표로 함.
의원을 선출하고 지역과 부족을 안배해 원로 그룹 135명을 선정하여 국회의원을 선발함.
현 정부형태는 대통령제이며 대통령은 Hassan Sheikh Mohamud 임.
의회 구성은 양원제이며 상원 54석, 하원 275석으로 구성되어 있음.
소말리아는 여전히 지역 갈등과 전통적인 집단 간 분쟁에 시달리고 있으며 이러한 갈등이 정치 상황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
국제 지원에 크게 의존하고 있으며, 유엔, 아프리카 연합, 미국 등 다양한 국제기구와 국가들이 소말리아의 안정과 발전을 위한 지원을 제공하고 있음.
<소말리아의 세력>
소말리아의 군사력은 정부군, 지방군, 그리고 이슬람 무장 단체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 자신의 영토와 영향력을 확보하기 위해 활동함.
소말리아의 정치적 그룹은 정부와 반정부, 그리고 다양한 정치 세력들로 나뉘며, 이들은 정치적 이익을 위해 각종 협상과 갈등을 벌임.
분리주의를 택하고 독립하려는 소말릴란드와 소말리아 연방 내 자치를 선언한 아자니아와 푼틀란드, 갈무두그, 알사뱌브와 친과도 연방정부를 표방하는 이슬람주의자 및 기타 부족 군벌들로 구성됨.
소말리아 국경에는 소말리아를 탈출하려는 난민들의 행렬이 이어지고 있음.
소말릴란드는 소말리아에서 독립 선언 후 독립 정부를 가지고 있으나 국제 사회에서 정식 국가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음.
남부 소말리아의 대부분은 알샤바브를 중심으로 한 IES(Islamic Emirate of Somalia)의 수중에 있음.
이 세력은 외국인에 대한 테러를 비롯한 알카에다에 연계한 지원을 통해 해적 산업에도 관여되어 있음.
소말리아의 연안은 해적 활동의 중심지 중 하나이며, 주로 아덴만과 인도양에서 활동하며 국제 해상 교역과 해상 안전에 위협을 가하고 있음.
출처 및 참고문헌
Fragile State Index Annual Report 2023
소말리아, 외교부 해외안전여행
https://www.0404.go.kr/dev/country_view.mofa?idx=120
소말리아, 외교부
https://www.mofa.go.kr/www/nation/m_3458/view.do?seq=161&titleNm=%EA%B5%AD%EA%B0%80%EC%A0%95%EB%B3%B4(%EC%86%8C%EB%A7%90%EB%A6%AC%EC%95%84%EA%B3%B5%ED%99%94%EA%B5%AD)
소말리아, 경제현황
https://www.mofa.go.kr/www/brd/m_4049/view.do?seq=282318
소말리아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30043
이표규,and Lee Pyo-Kyu. \"소말리아 정부와 테러조직 간 권력구도 변화 영향요인 연구.\" 융합보안 논문지 21.1 (2021): 137-147.
김석수 ( Suk Soo Kim ). \"소말리아 알 샤바브의 부상과 지하드.\" 중동연구 33.2 (2014): 1-22.
김석수 ( Suksoo Kim ). \"소말리아 내전과 이슬람 세력화 : 이슬람 법정 연맹과 알 샤바브를 중심으로.\" 중동연구 34.2 (2015): 1-21.
김석수 ( Suk Soo Kim ). \"소말리아 해적과 알 카에다의 연계 가능성.\" 중동연구 29.3 (2011): 63-91.
소말리아, 에티오피아 대사 추방...‘소말릴란드 갈등’ 최고조, 연합뉴스, 유현민 기자, 2024.04.04
https://www.yna.co.kr/view/AKR20240404164000099?input=1195m
벌거벗은 세계사 31화, 영화‘모가디슈’의 배경! 끊임없는 기아와 내전, 해적의 나라 ‘소말리아’
https://www.youtube.com/watch?v=d7wciTiCYxk
소말리아 에너지 자원 및 국제협력 현황
https://energy.mofa.go.kr/bbs/view.jsp?seq=6288&code=00010005&board_code_1=&board_code_2=&part=&page=1&item=&page_size=10&gubun=Y
소말리아 본토 지역에는 수도인 모가디슈 지역을 중심으로 대학이 운영되고 있음.
<소말리아의 경제>
2021년 UN 통계 기준 소말리아의 1인당 GDP는 447달러로, 195개국 중 191에 머뭄.
오가덴 전쟁의 패배 이후 세계 최악의 극빈국으로 전락함.
경제 성장률은 22년 기준 4.8%이며, 총 GDP는 813억 달러임.
교역은 2021년 IMF 기준 42.85억 달러로 기록되며, 수출액은 6억 1,000만 달러, 수입액은 36억 7,500만 달러임.
주요 자원은 우라늄과 철광석, 보크사이트, 구리, 천연가스 등임.
주요 산업은 내전으로 제조업은 폐업상태이며, 농축산업에 대부분 의존함.
세계 최빈국으로 부존자원도 풍부하지 않아 목축 등 농업과 긴 해안선에 의한 수산업이 가장 중요한 분야임.
각 군벌이 인근 해에서 불법조업을 자체 단속하여 불법 나포되는 사건이 많음
계속되는 내전으로 전 국토가 황폐화되어 농업생산량이 급감함.
가축이 GDP의 40%에 해당하는 농업국이며 전 국민의 70%가 목축에 종사함.
제조업은 섬유 위주로 영세한 규모이며 거듭된 내전으로 거의 폐업상태임.
<소말리아의 정치>
소말리아는 기본적으로 부족 집단에 근거한 전통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었음.
1991년 시아드 바레 대통령이 물러난 후 내전과 분열로 진입하게 되고 이는 군사 세력과 집단 간의 충돌로 이어짐.
2000년대 이후 국제 사회의 다양한 노력과 협상을 통해 임시정부가 형성됨.
2004년 수립된 과도 연방정부(Somali Transitional Federal Government, TFG)는 국제 사회에서 유일하게 인정받는 정치 조직임.
내전 이후 정치 조직과 군벌들이 난립하며 이는 사실상 정부의 기능 수행을 못하고 있음.
알 샤비브, 이슬람 정당인 히즈불 이슬람 등 이슬람 계열 반군의 영향력이 큼.
2012년 8월 과도 정부 체제를 벗어나 정식 연방정부를 설립하고 헌법을 제창함.
연방정부는 대통령, 총리, 국회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요 과제는 국가의 안정화와 개발을 목표로 함.
의원을 선출하고 지역과 부족을 안배해 원로 그룹 135명을 선정하여 국회의원을 선발함.
현 정부형태는 대통령제이며 대통령은 Hassan Sheikh Mohamud 임.
의회 구성은 양원제이며 상원 54석, 하원 275석으로 구성되어 있음.
소말리아는 여전히 지역 갈등과 전통적인 집단 간 분쟁에 시달리고 있으며 이러한 갈등이 정치 상황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
국제 지원에 크게 의존하고 있으며, 유엔, 아프리카 연합, 미국 등 다양한 국제기구와 국가들이 소말리아의 안정과 발전을 위한 지원을 제공하고 있음.
<소말리아의 세력>
소말리아의 군사력은 정부군, 지방군, 그리고 이슬람 무장 단체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 자신의 영토와 영향력을 확보하기 위해 활동함.
소말리아의 정치적 그룹은 정부와 반정부, 그리고 다양한 정치 세력들로 나뉘며, 이들은 정치적 이익을 위해 각종 협상과 갈등을 벌임.
분리주의를 택하고 독립하려는 소말릴란드와 소말리아 연방 내 자치를 선언한 아자니아와 푼틀란드, 갈무두그, 알사뱌브와 친과도 연방정부를 표방하는 이슬람주의자 및 기타 부족 군벌들로 구성됨.
소말리아 국경에는 소말리아를 탈출하려는 난민들의 행렬이 이어지고 있음.
소말릴란드는 소말리아에서 독립 선언 후 독립 정부를 가지고 있으나 국제 사회에서 정식 국가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음.
남부 소말리아의 대부분은 알샤바브를 중심으로 한 IES(Islamic Emirate of Somalia)의 수중에 있음.
이 세력은 외국인에 대한 테러를 비롯한 알카에다에 연계한 지원을 통해 해적 산업에도 관여되어 있음.
소말리아의 연안은 해적 활동의 중심지 중 하나이며, 주로 아덴만과 인도양에서 활동하며 국제 해상 교역과 해상 안전에 위협을 가하고 있음.
출처 및 참고문헌
Fragile State Index Annual Report 2023
소말리아, 외교부 해외안전여행
https://www.0404.go.kr/dev/country_view.mofa?idx=120
소말리아, 외교부
https://www.mofa.go.kr/www/nation/m_3458/view.do?seq=161&titleNm=%EA%B5%AD%EA%B0%80%EC%A0%95%EB%B3%B4(%EC%86%8C%EB%A7%90%EB%A6%AC%EC%95%84%EA%B3%B5%ED%99%94%EA%B5%AD)
소말리아, 경제현황
https://www.mofa.go.kr/www/brd/m_4049/view.do?seq=282318
소말리아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30043
이표규,and Lee Pyo-Kyu. \"소말리아 정부와 테러조직 간 권력구도 변화 영향요인 연구.\" 융합보안 논문지 21.1 (2021): 137-147.
김석수 ( Suk Soo Kim ). \"소말리아 알 샤바브의 부상과 지하드.\" 중동연구 33.2 (2014): 1-22.
김석수 ( Suksoo Kim ). \"소말리아 내전과 이슬람 세력화 : 이슬람 법정 연맹과 알 샤바브를 중심으로.\" 중동연구 34.2 (2015): 1-21.
김석수 ( Suk Soo Kim ). \"소말리아 해적과 알 카에다의 연계 가능성.\" 중동연구 29.3 (2011): 63-91.
소말리아, 에티오피아 대사 추방...‘소말릴란드 갈등’ 최고조, 연합뉴스, 유현민 기자, 2024.04.04
https://www.yna.co.kr/view/AKR20240404164000099?input=1195m
벌거벗은 세계사 31화, 영화‘모가디슈’의 배경! 끊임없는 기아와 내전, 해적의 나라 ‘소말리아’
https://www.youtube.com/watch?v=d7wciTiCYxk
소말리아 에너지 자원 및 국제협력 현황
https://energy.mofa.go.kr/bbs/view.jsp?seq=6288&code=00010005&board_code_1=&board_code_2=&part=&page=1&item=&page_size=10&gubun=Y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