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Pride and Prejudice
2. Great Expectations
3. Tess of the d’Urbervilles
4. A Portrait of the Artist as a Young Man
5. 참고문헌
2. Great Expectations
3. Tess of the d’Urbervilles
4. A Portrait of the Artist as a Young Man
5. 참고문헌
본문내용
일상, 즉 해변가에 다리를 드러내고 있는 소녀를 보고 영적 깨달음을 얻게 되고 마침내 예술가로서의 출발을 선언한다. 소녀를 보고“profane joy”(p.238)이라고 말하는 부분에서 알 수 있듯이 소년은 신성 모독과 같은 환희를 느꼈으며 그것은 인간적인 아름다움을 발견했다는 뜻이다. 이는 예술가로서의 정체성을 확인하게 된 순간이다.
이 작품은 성장소설이자 예술가 소설이다. Dublin의 한 감수성이 많은 소년이 예술가로서 출발하기까지의 내면 심리, 의식의 흐름을 잘 이해하여야 하는데, 변화의 큰 기점이 되는 것이 바로 해변가에 혼자 있게된 대목이라 할 수 있다. 소년은 창의성과 상상력을 억압받는 현실에 처해있다. 소년은 가족, 종교, 국가 세 굴레에서 고뇌한다. 가족간 정치적 논쟁과 아일랜드의 국가적 상황과 같은 권위적인 종교와 관습에 의해 구속 받는 상황에 놓여 있다. 하지만 해변가에 다리를 걷어올린 아름다운 소녀의 모습을 보고는 예술적 영감을 얻게 된다. 소년에게 예술가로서의 소명이 생겨난 것이며 소년이 성장한 것이다. 소녀는 소년에게 예술적 영감을 주는 존재 즉“Muse”이며, 소년이 만들어낼 예술적 상징물이라 이해할 수 있다.
이 작품의 형식적 측면에서, 의식의 흐름 기법과 현현(Epiphany)는 중요하다. 작가 Joyce는 평범한 일상의 장면속에서 문득 영감을 얻고 소명을 깨닫게 되는 것을 포착하는 것이 소설가의 의무라고 하였다. 따라서 소년이 평범한 해변가에 소녀가 서있는 장면을 통해 예술가로서 소명의 깨달음을 얻는 장면은 중요하다. 또한, 이 작품의 화법은 자유간접화법이다. 즉, 화자가 객관성을 잃고 주인공 Stephen의 시점과 자신의 시점을 뒤섞는 것이다. 소년이 자신의 이름에 담긴 의미와 예술가로서의 소명을 깨닫기까지 소년의 내면의 깊숙한 곳까지 잘 알 수 있도록 한다. 그만큼 객관성을 잃기 때문에 서술자는 신뢰할 수 없는 서술자이기도 하다.
참고문헌
근대영미소설학회, 『19세기 영국 소설 강의』, 신아사, 1999.
김보원, 『영국소설의 이해 워크북』,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21.
김보원,윤미선, 『영국소설의 이해』,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21.
김현숙, 『영미소설 속의 여성, 결혼, 그리고 삶』, 동인, 2006.
박윤기, 『제임스 조이스의 젊은 예술가의 초상 읽기』, 세창미디어, 2015.
서지문, 『서지문의 소설 속 인생』, 이다미디어, 2013.
이 작품은 성장소설이자 예술가 소설이다. Dublin의 한 감수성이 많은 소년이 예술가로서 출발하기까지의 내면 심리, 의식의 흐름을 잘 이해하여야 하는데, 변화의 큰 기점이 되는 것이 바로 해변가에 혼자 있게된 대목이라 할 수 있다. 소년은 창의성과 상상력을 억압받는 현실에 처해있다. 소년은 가족, 종교, 국가 세 굴레에서 고뇌한다. 가족간 정치적 논쟁과 아일랜드의 국가적 상황과 같은 권위적인 종교와 관습에 의해 구속 받는 상황에 놓여 있다. 하지만 해변가에 다리를 걷어올린 아름다운 소녀의 모습을 보고는 예술적 영감을 얻게 된다. 소년에게 예술가로서의 소명이 생겨난 것이며 소년이 성장한 것이다. 소녀는 소년에게 예술적 영감을 주는 존재 즉“Muse”이며, 소년이 만들어낼 예술적 상징물이라 이해할 수 있다.
이 작품의 형식적 측면에서, 의식의 흐름 기법과 현현(Epiphany)는 중요하다. 작가 Joyce는 평범한 일상의 장면속에서 문득 영감을 얻고 소명을 깨닫게 되는 것을 포착하는 것이 소설가의 의무라고 하였다. 따라서 소년이 평범한 해변가에 소녀가 서있는 장면을 통해 예술가로서 소명의 깨달음을 얻는 장면은 중요하다. 또한, 이 작품의 화법은 자유간접화법이다. 즉, 화자가 객관성을 잃고 주인공 Stephen의 시점과 자신의 시점을 뒤섞는 것이다. 소년이 자신의 이름에 담긴 의미와 예술가로서의 소명을 깨닫기까지 소년의 내면의 깊숙한 곳까지 잘 알 수 있도록 한다. 그만큼 객관성을 잃기 때문에 서술자는 신뢰할 수 없는 서술자이기도 하다.
참고문헌
근대영미소설학회, 『19세기 영국 소설 강의』, 신아사, 1999.
김보원, 『영국소설의 이해 워크북』,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21.
김보원,윤미선, 『영국소설의 이해』,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21.
김현숙, 『영미소설 속의 여성, 결혼, 그리고 삶』, 동인, 2006.
박윤기, 『제임스 조이스의 젊은 예술가의 초상 읽기』, 세창미디어, 2015.
서지문, 『서지문의 소설 속 인생』, 이다미디어, 2013.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