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임상실습 중 언어적, 비언어적 치료적 의사소통이 잘 된 상황을 구체적으로 기술하시오.
2. 임상실습 중 환자 및 보호자와의 치료적 의사소통 문제가 발생한 상황을 구체적으로 기술하시오.
3. 치료적 의사소통이 잘 되지 못해 문제가 발생한 경우, 원인을 분석하고 협력 방안을 제시하시오.
4. 참고문헌
2. 임상실습 중 환자 및 보호자와의 치료적 의사소통 문제가 발생한 상황을 구체적으로 기술하시오.
3. 치료적 의사소통이 잘 되지 못해 문제가 발생한 경우, 원인을 분석하고 협력 방안을 제시하시오.
4. 참고문헌
본문내용
. 대상자에게 자세한 이야기를 듣지 못한 경청의 실패(-비치료적 의사소통)와, “입원하셨으니 뭐 좀 간단하게 여쭤볼게요”라는 상투적인 반응(-비치료적 의사소통)으로 대상자의 간호력을 질문하였여서 발생하였습니다. 평소 고혈압 약을 드시고 계신지에 대한 질문을 명확히 하였으면 이러한 일은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보호자분이 이를 발견하지 못하여 낙상사고가 발생할 수 있었을 일이므로 간호정보조사지를 작성할 때 대상자에게 충분한 설명을 들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 치료적 의사소통 방안 제시
치료적 의사소통 방안으로, 개방적 질문과 적극적 및 소극적 경청, 요약, 명료화 등을 사용하여, 대상자의 말을 경청하여 듣고 요약하는 등 간호사가 대상자를 통해 들은 내용이 맞는 지 다시 한 번 확인하고 빠진 것은 없는 지 확인하도록 합니다.
또한, 입원 시 작성하는 간호정보조사지의 중요성에 대해 설명하고, 천천히 정확하게 설명을 해주며 간호정보조사지를 작성하도록 합니다.
수술 후 통증을 호소하는 대상자께서 V/S을 측정하는 것을 귀찮아하시는 상황
- 원인분석
수술이 끝난 지 시간이 2~3시간이 지났으나 통증이 심하고 수면을 취하지 못한 대상자는 예민한 상태였으나, 15분마다 4번, 30분마다 2번, 1시간 마다 1회 Vitial Sign을 측정하였다. 대상자는 Vital Sign 측정의 중요성을 알지 못하여 이러한 일이 발생하였다고 생각합니다.
대상자의 이야기를 자세히 듣지 못하여 경청이 실패(비치료적 의사소통)하였고, “수술하셔서계속 측정하셔야 되요”라는 상투적인 반응(비치료적 의사소통)을 하여 대상자에게 Vital Sign을 측정하는 중요성을 전달하지 못하였다고 생각합니다.
- 치료적 의사소통 방안 제시
대상자가 Vital Sign 측정의 중요성을 알지 못하는 상황이며, 통증으로 아파하시기에 대상자를 대할 때 눈을 맞추며(비언어적 의사소통 기법) Vital Sign 을 계속 측정해야 하는 이유와 중요성에 대해 설명해준다. “ 피곤하신 상태이신데 계속 깨서 힘드시죠?” 라고 하며 공감(언어적 의사소통 기법)하고 “ 수술이 끝나셨잖아요. Vital Sign을 계속 측정하며 수술 부작용이 있는지 확인하도록 할게요. 환자분 상태파악하기위해 중요한 일이니 꼭 하셔야합니다.”라고 말하며 정보제공(언어적 의사소통 기법)한다.
4. 참고문헌
김희숙 외(2016). 최신 정신건강간호학 5판. 학지사메디컬 : 서울
- 치료적 의사소통 방안 제시
치료적 의사소통 방안으로, 개방적 질문과 적극적 및 소극적 경청, 요약, 명료화 등을 사용하여, 대상자의 말을 경청하여 듣고 요약하는 등 간호사가 대상자를 통해 들은 내용이 맞는 지 다시 한 번 확인하고 빠진 것은 없는 지 확인하도록 합니다.
또한, 입원 시 작성하는 간호정보조사지의 중요성에 대해 설명하고, 천천히 정확하게 설명을 해주며 간호정보조사지를 작성하도록 합니다.
수술 후 통증을 호소하는 대상자께서 V/S을 측정하는 것을 귀찮아하시는 상황
- 원인분석
수술이 끝난 지 시간이 2~3시간이 지났으나 통증이 심하고 수면을 취하지 못한 대상자는 예민한 상태였으나, 15분마다 4번, 30분마다 2번, 1시간 마다 1회 Vitial Sign을 측정하였다. 대상자는 Vital Sign 측정의 중요성을 알지 못하여 이러한 일이 발생하였다고 생각합니다.
대상자의 이야기를 자세히 듣지 못하여 경청이 실패(비치료적 의사소통)하였고, “수술하셔서계속 측정하셔야 되요”라는 상투적인 반응(비치료적 의사소통)을 하여 대상자에게 Vital Sign을 측정하는 중요성을 전달하지 못하였다고 생각합니다.
- 치료적 의사소통 방안 제시
대상자가 Vital Sign 측정의 중요성을 알지 못하는 상황이며, 통증으로 아파하시기에 대상자를 대할 때 눈을 맞추며(비언어적 의사소통 기법) Vital Sign 을 계속 측정해야 하는 이유와 중요성에 대해 설명해준다. “ 피곤하신 상태이신데 계속 깨서 힘드시죠?” 라고 하며 공감(언어적 의사소통 기법)하고 “ 수술이 끝나셨잖아요. Vital Sign을 계속 측정하며 수술 부작용이 있는지 확인하도록 할게요. 환자분 상태파악하기위해 중요한 일이니 꼭 하셔야합니다.”라고 말하며 정보제공(언어적 의사소통 기법)한다.
4. 참고문헌
김희숙 외(2016). 최신 정신건강간호학 5판. 학지사메디컬 : 서울
추천자료
성인간호학 외과병동 - Thyroid cancer case study
[성인간호학][GB stone][담석증]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Gallbladder stone)
[모성간호학] 요실금 (urinary incontinence) 케이스 CASE STUDY
천식 케이스스터디 간호과정3개 완벽!
퇴행성 관절염 / 수술실 사례관리 / 성인간호학
[성인간호학 실습] 치료적 의사소통 보고서
아동간호실습 급성기관지염 case A+보장 간호진단 3개
교수님께 칭찬받은 A+ 조현병 (schizophrenia) 케이스입니다. 진단 3개 과정 3개
성인간호학 실습 위암 의사소통 보고서
[성인간호학 실습] SICU 폐렴 간호과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