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론
II. 본론
1. 임상실습 중 응급·재난 간호술에 대한 상황을 구체적으로 기술하시오.
2. 대상자의 상황에 따라 시행된 응급·재난 간호술을 구체적으로 기술하시오.
3. 대상자의 상황에 따른 응급·재난 간호술의 중요성에 대해 기술하고, 부족한 부분과 잘 수행된 간호술에 대해 분석하시오.
III. 결론(자아성찰)
Ⅳ. 참고문헌(APA 양식으로 제시할 것)
II. 본론
1. 임상실습 중 응급·재난 간호술에 대한 상황을 구체적으로 기술하시오.
2. 대상자의 상황에 따라 시행된 응급·재난 간호술을 구체적으로 기술하시오.
3. 대상자의 상황에 따른 응급·재난 간호술의 중요성에 대해 기술하고, 부족한 부분과 잘 수행된 간호술에 대해 분석하시오.
III. 결론(자아성찰)
Ⅳ. 참고문헌(APA 양식으로 제시할 것)
본문내용
분류체계
한국의 응급환자 분류기준은 다음과 같다.
4) 결론
급박한 사고현장에서 중증의 외상환자를 소생시키기 위하여 119구급대를 비롯한 현장응급처치, 환자이송체계, 응급통신망, 병원응급처치, 전문 집중 치료의 모든 과정이 상호유기적인 협조 체제하에 조직적으로 구축되어야 한다. 또한, 잘 훈련된 응급처치팀이 조직적인 기동력을 발휘하여 현장, 이송과정 및 응급센터를 적절하게 연결할 수 있는 방향도 모색되어야 한다. 하루도 빠짐없이 발생하는 크고 작은 사고 현장에서 신속하고 정확한 판단으로 안전하게 구출, 처치하여 이송하기 위한 노력은 119대원의 가장 중요한 임무이다.
3. 적용된 응급·재난 간호의 중요성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간호학적 관련문헌을 찾아 요약, 설명하시오.
우리나라는 교통안전에 대한 교육활동, 안전시설 확충, 차로와 노면 개선 등 다양한 노력으로 교통사고 건수가 1994년 이후 지속해서 감소하는 추세이지만 아직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교통사망자는 450여 명으로 정체를 보이고 있는데 이는 교통사고 저감 및 사망자 수를 줄이기 위한 기존 노력의 한계를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교통 안전에 관한 사전교육과 사후대책뿐만 아니라, 교통사고가 발생 시 신속한 응급대응을 통하여 중증외상환자의 생존율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즉, 중증외상이 예견되는 교통사고 발생 시 신속한 응급활동지원을 위한 응급대응체계를 수립하여 환자가 1시간(Golden Hour) 이내에 전문 의료진을 조우하고 적절한 치료가 시작될 수 있도록 교통사고 중증환자의 구조 및 의료연계서비스 체계가 필요하다.
R. Adams Cowley는 연구에서 “치명적인 외상을 입은 환자들은 손상 후 1시간 이내에 수술실에서 결정적인 치료를 받아야 최선의 생존율을 얻을 수 있으며 반면에 1시간이 초과하면 수술을 받더라도 그 생존율이 현저히 떨어진다”라고 밝히고 있다. 여기서 환자의 생명을 가늠하는 1시간을 황금시간(Golden Time)이라 한다. 다시 말하면 1시간 이내에 수술실에서 결정적인 치료를 받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의미다. 백금 10분(Platinum 10 Minutes) 개념은, “처치 제공자들(119구급대원, 응급실 간호사, 응급의학과 전문의, 마취과 전문의, 외과의사 등)이 처치할 수 있는 시간은 10분이며, 분초를 다투는 유효한 처치만을 선별하여 신속하게 환자에게 시행해야만 한다”(이중의, 2007)의 의미로 황금시간과 구분하고 있다. 1시간이라는 황금시간 내에 의료진이 사용해야 하는 시간은 최소 40분(응급실 간호사~외과의사 단계)임을 생각하면, 교통사고로 인한 중증외상환자 발생 직후 중증외상센터로 이송이 완료되어야 하는 시간은 20분이 남게 된다. 교통사고 중증외상환자 응급대응 재원 우리나라는 2001년 기준 57.3%가 교통사고 발생 후 30분 이내에 사망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설재훈,2007). 교통사고 발생 직후 최초 30여 분간의 시간이 중증외상환자의 생사를 결정짓는 중요 시간이 될 수 있다. 특히 1시간의 황금시간 안에 환자를 병원으로 이송하는 백금 20분 동안의 대응체계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교통사고 중증외상환자 응급대응체계를 구축하기 위하여 현재 시스템을 명확히 구분하고 사용 가능한 재원을 파악하였다.
III. 결론(자아성찰)
- 교통사고에 대한 영상을 보며 상황을 분석하고, 교통사고 발생으로 무의식인 사람, 골절이 된 사람, 출혈이 나타난 사람에게 어떤 간호를 해야 하는 지 배울 수 있어서 좋은 시간이 였습니다. 또한, CPR, 골절, 지혈에 대한 처치를 훗날 실전에서 활용하여 심각한 부상을 입은 환자에게 20분이내에 적절한 처치를 받아 생존율을 높여 생명을 보호하고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과제를 하며 아쉬운 점은 저도 2주전에 교통사고가 나서 현재 후유증을 겪고 있어, 과제가 충실히 임하지 못한 것이였습니다.
Ⅳ. 참고문헌(APA 양식으로 제시할 것)
- 황옥남 외(2018). 성인간호학 서울: 현문사
- 최회정외(2019). 지역사회간호학 서울: 현문사
- 김금숙 (2014). 교통사고에 의한 심각한 외상과 구급대의 역할. 월간교통, 16-21
- 이준 (2014). 교통사고 중증외상환자를 위한 응급대응체계 구축. 월간교통, 32-39
- [의학드라마 골든타임] Golden Time 교통사고를 목격한 이성민, 직접 세종병원으로 돌아와서 응급수술.https://www.youtube.com/watch?v=KQu2i0wZxC8
한국의 응급환자 분류기준은 다음과 같다.
4) 결론
급박한 사고현장에서 중증의 외상환자를 소생시키기 위하여 119구급대를 비롯한 현장응급처치, 환자이송체계, 응급통신망, 병원응급처치, 전문 집중 치료의 모든 과정이 상호유기적인 협조 체제하에 조직적으로 구축되어야 한다. 또한, 잘 훈련된 응급처치팀이 조직적인 기동력을 발휘하여 현장, 이송과정 및 응급센터를 적절하게 연결할 수 있는 방향도 모색되어야 한다. 하루도 빠짐없이 발생하는 크고 작은 사고 현장에서 신속하고 정확한 판단으로 안전하게 구출, 처치하여 이송하기 위한 노력은 119대원의 가장 중요한 임무이다.
3. 적용된 응급·재난 간호의 중요성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간호학적 관련문헌을 찾아 요약, 설명하시오.
우리나라는 교통안전에 대한 교육활동, 안전시설 확충, 차로와 노면 개선 등 다양한 노력으로 교통사고 건수가 1994년 이후 지속해서 감소하는 추세이지만 아직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교통사망자는 450여 명으로 정체를 보이고 있는데 이는 교통사고 저감 및 사망자 수를 줄이기 위한 기존 노력의 한계를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교통 안전에 관한 사전교육과 사후대책뿐만 아니라, 교통사고가 발생 시 신속한 응급대응을 통하여 중증외상환자의 생존율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즉, 중증외상이 예견되는 교통사고 발생 시 신속한 응급활동지원을 위한 응급대응체계를 수립하여 환자가 1시간(Golden Hour) 이내에 전문 의료진을 조우하고 적절한 치료가 시작될 수 있도록 교통사고 중증환자의 구조 및 의료연계서비스 체계가 필요하다.
R. Adams Cowley는 연구에서 “치명적인 외상을 입은 환자들은 손상 후 1시간 이내에 수술실에서 결정적인 치료를 받아야 최선의 생존율을 얻을 수 있으며 반면에 1시간이 초과하면 수술을 받더라도 그 생존율이 현저히 떨어진다”라고 밝히고 있다. 여기서 환자의 생명을 가늠하는 1시간을 황금시간(Golden Time)이라 한다. 다시 말하면 1시간 이내에 수술실에서 결정적인 치료를 받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의미다. 백금 10분(Platinum 10 Minutes) 개념은, “처치 제공자들(119구급대원, 응급실 간호사, 응급의학과 전문의, 마취과 전문의, 외과의사 등)이 처치할 수 있는 시간은 10분이며, 분초를 다투는 유효한 처치만을 선별하여 신속하게 환자에게 시행해야만 한다”(이중의, 2007)의 의미로 황금시간과 구분하고 있다. 1시간이라는 황금시간 내에 의료진이 사용해야 하는 시간은 최소 40분(응급실 간호사~외과의사 단계)임을 생각하면, 교통사고로 인한 중증외상환자 발생 직후 중증외상센터로 이송이 완료되어야 하는 시간은 20분이 남게 된다. 교통사고 중증외상환자 응급대응 재원 우리나라는 2001년 기준 57.3%가 교통사고 발생 후 30분 이내에 사망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설재훈,2007). 교통사고 발생 직후 최초 30여 분간의 시간이 중증외상환자의 생사를 결정짓는 중요 시간이 될 수 있다. 특히 1시간의 황금시간 안에 환자를 병원으로 이송하는 백금 20분 동안의 대응체계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교통사고 중증외상환자 응급대응체계를 구축하기 위하여 현재 시스템을 명확히 구분하고 사용 가능한 재원을 파악하였다.
III. 결론(자아성찰)
- 교통사고에 대한 영상을 보며 상황을 분석하고, 교통사고 발생으로 무의식인 사람, 골절이 된 사람, 출혈이 나타난 사람에게 어떤 간호를 해야 하는 지 배울 수 있어서 좋은 시간이 였습니다. 또한, CPR, 골절, 지혈에 대한 처치를 훗날 실전에서 활용하여 심각한 부상을 입은 환자에게 20분이내에 적절한 처치를 받아 생존율을 높여 생명을 보호하고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과제를 하며 아쉬운 점은 저도 2주전에 교통사고가 나서 현재 후유증을 겪고 있어, 과제가 충실히 임하지 못한 것이였습니다.
Ⅳ. 참고문헌(APA 양식으로 제시할 것)
- 황옥남 외(2018). 성인간호학 서울: 현문사
- 최회정외(2019). 지역사회간호학 서울: 현문사
- 김금숙 (2014). 교통사고에 의한 심각한 외상과 구급대의 역할. 월간교통, 16-21
- 이준 (2014). 교통사고 중증외상환자를 위한 응급대응체계 구축. 월간교통, 32-39
- [의학드라마 골든타임] Golden Time 교통사고를 목격한 이성민, 직접 세종병원으로 돌아와서 응급수술.https://www.youtube.com/watch?v=KQu2i0wZxC8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