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대상자 선정 및 분석
- 지역사회 간호과정
- 가족 간호과정
Ⅱ. 보건교육 요구사정
Ⅲ. 보건교육 학습지도안 작성
- 학습단계
- 구체적 학습목표
- 학습내용
- 교육방법 및 보조자료
- 소요시간
- 평가방법 종류
Ⅳ. 보건교육 수행
Ⅴ. 보건교육 평가
- 평가방법
- 평가도구
Ⅵ. 참고문헌
- 지역사회 간호과정
- 가족 간호과정
Ⅱ. 보건교육 요구사정
Ⅲ. 보건교육 학습지도안 작성
- 학습단계
- 구체적 학습목표
- 학습내용
- 교육방법 및 보조자료
- 소요시간
- 평가방법 종류
Ⅳ. 보건교육 수행
Ⅴ. 보건교육 평가
- 평가방법
- 평가도구
Ⅵ. 참고문헌
본문내용
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저혈당 시 의식이 있는 경우 사과, 오렌지주스 2/3컵, 포도주스 반컵, 우유 한컵반, 설탕 1숟가락, 비스킷 5조각, 사탕 5-6개 정도를 섭취한다.
규칙적인 자가혈당관리는 혈당조절여부 확인의 지표가 된다.
약 복용을 잊은 경우 생각난 즉시 복용하고 이상반응(부작용)이 나타나면 전문의와 상담한다.
식이요법이 중요한 이유
당뇨병 치료에 있어 가장 중요한 부분은 식이요법이다. 구체적으로 체중, 혈당, 콜레스테롤, 혈압을 정상으로 유지해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매일 일정한 시간에 적절한 열량의 양을 규칙적으로 섭취하며 저지방식이를 한다(동맥경화로 인한 뇌졸중과 심장병을 예방)
불포화지방산인 오메가 3를 일주일에 2번 등푸른생선(고등어, 꽁치 등) 섭취, 육류는 지방을 제거하고 조리(기름을 제거하는 조리), 가금류는 껍질을 벗기고 먹으며 육류와 가금류는 60-90g을 섭취, 기름은 식물성기름을 사용하며 우유와 유제품은 저지방 혹은 무지방 제품을 구입한다.
염분섭취를 줄인다. 저염, 무염 양념을 선택하고 훈제, 가공처리식품을 피한다.
섬유소가 풍부한 식사로 포도당, 콜레스테롤 흡수를 감소시키고 술은 마시지 않는 것이 좋다.
단순당은 소화흡수가 빨라 혈당상승을 촉진시키므로 주의한다.
운동요법이 중요한 이유
운동은 제 2형 당뇨병의 혈당을 조절해주고 꾸준한 운동은 인슐린이 일을 잘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유산소, 근력운동 모두 혈당조절에 도움이 된다.
유산소 운동은 현재 운동능력, 흥미, 경제사정에 따라 선택하며 수영, 걷기 등의 저충격 운동을 하며 스쿠버다이빙, 행글라이딩, 파라슈팅, 자동차경주 등은 저혈압이나 갑작스런 고혈당으로 손상될 수 있으니 삼간다.
운동강도는 심페기능을 향상시킬 정도로 자극을 주면서 부담이 되지않게 한다. 하루 30분 이상 매일하는 것이 좋으나 체중조절일 경우 최소 60분이상 운동하는 것이 좋고 준비운동과 정리운동을 시행한다.
운동 전 혈당이 100mg/dl 이하면 15-30g의 탄수화물 스낵을 미리 섭취하고 공복상태에서는 운동을 하지 않는 것이 좋으며 저녁 늦게 운동하면 야간 저혈당 가능성이 높아진다.
운동 후 발관리가 중요하다. : 발아치 부분 발꿈치로 마사지하기, 부드러운 곳에올라서서 균형잡기, 발아치부위로 딱딱한 공굴리기
발 관리가 중요한 이유
- 당뇨병성 족부병증은 당뇨병을 가진 사람의 발에 생기는 문제를 말한다. 당뇨병 환자의 15%가 앓으며 1~3%가 절단할 수 있다.
- 대표적인 문제는 피부, 점막조직이 헐어 궤양이 나타나는 것이다.
- 당뇨병성 신경병증, 말조혈관질환이 궤양을 일으키거나 악화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증상
1. 당뇨병성 신경병증
(감각신경이상-발저림, 화끈거림, 감각소실->상처발생), 운동신경이상(근육작용의 문제 - 갈퀴발변형), 자율신경이상(땀이나지않아 피부건조, 세균침투)
2. 말초혈관질환 : 혈류감소로 발, 다리의 피부창백, 차가움, 근육이 위축되어 다리가 가늘어짐, 심한 경우 발가락 끝이 검게 변한다.
당뇨병 환자의 발관리
혈당, 혈압, 콜레스테롤 관리, 발을 관찰해 상처, 굳은살, 티눈 등을 확인하고 매일 잘 씻고 잘 말리며 건조하지 않게 보습로션을 바른다(발가락 사이에는 바르지 않는다), 맨발로 다니지 않음, 편안하고 넉넉한 통풍이 잘되는 신발을 신는 등 관리가 필요하다.
정리
(5
분)
질문에 답하기
김oo씨는 어떤 당뇨병 유형에 속하나요?
김oo씨는 어떠한 합병증의 위험이 있나요?
김oo씨는 어떠한 약물요법을 사용하나요?
공복혈당의 목표는 몇인가요?
저지방식이에서 오메가3를 섭취하라고 했죠. 어떤 식품이 좋을까요?
운동시 저녁늦게 운동하지 않아야 하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발관리를 할 때 중요한 것 3가지를 말씀해보세요
질의응답
참고문헌
질병관리본부. (연도미상). 당뇨병. July, 4, 2024. formhttps://health.cdc.go.kr/health/HealthInfoArea/HealthInfo/View.do?idx=15120
대한당뇨병학회. (연도미상). 당뇨병. July, 4, 2024 fromhttps://www.diabetes.or.kr/general/class/index.php?idx=1
엄미란 외. (2018). 성인간호학(하), 현문사. 서울시
Ⅴ 보건교육 평가
평가방법
교육 마지막에 나누어주는 질문지법, 교육 중간중간에 질문하고 퀴즈의 구두질문법, 교육 중에 대상자가 이해하고 있는지 관찰하는 관찰법(직접관찰)을 이용하여 평가했다.
평가도구
평가도구로 평가척도를 이용해 1~5점 척도로 나타냈다.
(1점 매우미흡, 2점 미흡, 3점 보통, 4점 우수, 5점 매우 우수)
교육이 당뇨병 개선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십니까?
강의시간은 적절했습니까?
교육 내용은 주제에 맞게 구성되었습니까?
강의 내용이 체계적이고 이해하기 좋았습니까?
이번 교육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신다면 어떻게 보십니까?
Ⅵ 참고문헌
질병관리본부. (연도미상). 당뇨병. July, 4, 2024. formhttps://health.cdc.go.kr/health/HealthInfoArea/HealthInfo/View.do?idx=15120
질병관리본부. (2013). 당뇨병 표준교육자료. July, 5, 2024. formhttp://www.cdc.go.kr/board.es?mid=a20503050000&bid=0021&act=view&list_no=127689&tag=&nPage=9
대한당뇨병학회. (연도미상). 당뇨병. July, 4, 2024. fromhttps://www.diabetes.or.kr/general/class/index.php?idx=1
황옥남, 유양숙, 조경숙, 김희경, 권보은, 은영, 박효미, 박영례, 엄미란 외. (2018). 성인간호학(하), 현문사. 서울시
최희정, 고정은, 안옥희, 김희걸, 양숙자, 정의남, 최혜정, 심문숙, 차남현, 최인희, 조유향 외. (2019). 지역사회간호학Ⅰ, 현문사. 서울시.
최희정, 고정은, 안옥희, 김희걸, 양숙자, 정의남, 최혜정, 심문숙, 차남현, 최인희, 조유향 외. (2019). 지역사회간호학Ⅱ, 현문사. 서울시.
규칙적인 자가혈당관리는 혈당조절여부 확인의 지표가 된다.
약 복용을 잊은 경우 생각난 즉시 복용하고 이상반응(부작용)이 나타나면 전문의와 상담한다.
식이요법이 중요한 이유
당뇨병 치료에 있어 가장 중요한 부분은 식이요법이다. 구체적으로 체중, 혈당, 콜레스테롤, 혈압을 정상으로 유지해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매일 일정한 시간에 적절한 열량의 양을 규칙적으로 섭취하며 저지방식이를 한다(동맥경화로 인한 뇌졸중과 심장병을 예방)
불포화지방산인 오메가 3를 일주일에 2번 등푸른생선(고등어, 꽁치 등) 섭취, 육류는 지방을 제거하고 조리(기름을 제거하는 조리), 가금류는 껍질을 벗기고 먹으며 육류와 가금류는 60-90g을 섭취, 기름은 식물성기름을 사용하며 우유와 유제품은 저지방 혹은 무지방 제품을 구입한다.
염분섭취를 줄인다. 저염, 무염 양념을 선택하고 훈제, 가공처리식품을 피한다.
섬유소가 풍부한 식사로 포도당, 콜레스테롤 흡수를 감소시키고 술은 마시지 않는 것이 좋다.
단순당은 소화흡수가 빨라 혈당상승을 촉진시키므로 주의한다.
운동요법이 중요한 이유
운동은 제 2형 당뇨병의 혈당을 조절해주고 꾸준한 운동은 인슐린이 일을 잘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유산소, 근력운동 모두 혈당조절에 도움이 된다.
유산소 운동은 현재 운동능력, 흥미, 경제사정에 따라 선택하며 수영, 걷기 등의 저충격 운동을 하며 스쿠버다이빙, 행글라이딩, 파라슈팅, 자동차경주 등은 저혈압이나 갑작스런 고혈당으로 손상될 수 있으니 삼간다.
운동강도는 심페기능을 향상시킬 정도로 자극을 주면서 부담이 되지않게 한다. 하루 30분 이상 매일하는 것이 좋으나 체중조절일 경우 최소 60분이상 운동하는 것이 좋고 준비운동과 정리운동을 시행한다.
운동 전 혈당이 100mg/dl 이하면 15-30g의 탄수화물 스낵을 미리 섭취하고 공복상태에서는 운동을 하지 않는 것이 좋으며 저녁 늦게 운동하면 야간 저혈당 가능성이 높아진다.
운동 후 발관리가 중요하다. : 발아치 부분 발꿈치로 마사지하기, 부드러운 곳에올라서서 균형잡기, 발아치부위로 딱딱한 공굴리기
발 관리가 중요한 이유
- 당뇨병성 족부병증은 당뇨병을 가진 사람의 발에 생기는 문제를 말한다. 당뇨병 환자의 15%가 앓으며 1~3%가 절단할 수 있다.
- 대표적인 문제는 피부, 점막조직이 헐어 궤양이 나타나는 것이다.
- 당뇨병성 신경병증, 말조혈관질환이 궤양을 일으키거나 악화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증상
1. 당뇨병성 신경병증
(감각신경이상-발저림, 화끈거림, 감각소실->상처발생), 운동신경이상(근육작용의 문제 - 갈퀴발변형), 자율신경이상(땀이나지않아 피부건조, 세균침투)
2. 말초혈관질환 : 혈류감소로 발, 다리의 피부창백, 차가움, 근육이 위축되어 다리가 가늘어짐, 심한 경우 발가락 끝이 검게 변한다.
당뇨병 환자의 발관리
혈당, 혈압, 콜레스테롤 관리, 발을 관찰해 상처, 굳은살, 티눈 등을 확인하고 매일 잘 씻고 잘 말리며 건조하지 않게 보습로션을 바른다(발가락 사이에는 바르지 않는다), 맨발로 다니지 않음, 편안하고 넉넉한 통풍이 잘되는 신발을 신는 등 관리가 필요하다.
정리
(5
분)
질문에 답하기
김oo씨는 어떤 당뇨병 유형에 속하나요?
김oo씨는 어떠한 합병증의 위험이 있나요?
김oo씨는 어떠한 약물요법을 사용하나요?
공복혈당의 목표는 몇인가요?
저지방식이에서 오메가3를 섭취하라고 했죠. 어떤 식품이 좋을까요?
운동시 저녁늦게 운동하지 않아야 하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발관리를 할 때 중요한 것 3가지를 말씀해보세요
질의응답
참고문헌
질병관리본부. (연도미상). 당뇨병. July, 4, 2024. formhttps://health.cdc.go.kr/health/HealthInfoArea/HealthInfo/View.do?idx=15120
대한당뇨병학회. (연도미상). 당뇨병. July, 4, 2024 fromhttps://www.diabetes.or.kr/general/class/index.php?idx=1
엄미란 외. (2018). 성인간호학(하), 현문사. 서울시
Ⅴ 보건교육 평가
평가방법
교육 마지막에 나누어주는 질문지법, 교육 중간중간에 질문하고 퀴즈의 구두질문법, 교육 중에 대상자가 이해하고 있는지 관찰하는 관찰법(직접관찰)을 이용하여 평가했다.
평가도구
평가도구로 평가척도를 이용해 1~5점 척도로 나타냈다.
(1점 매우미흡, 2점 미흡, 3점 보통, 4점 우수, 5점 매우 우수)
교육이 당뇨병 개선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십니까?
강의시간은 적절했습니까?
교육 내용은 주제에 맞게 구성되었습니까?
강의 내용이 체계적이고 이해하기 좋았습니까?
이번 교육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신다면 어떻게 보십니까?
Ⅵ 참고문헌
질병관리본부. (연도미상). 당뇨병. July, 4, 2024. formhttps://health.cdc.go.kr/health/HealthInfoArea/HealthInfo/View.do?idx=15120
질병관리본부. (2013). 당뇨병 표준교육자료. July, 5, 2024. formhttp://www.cdc.go.kr/board.es?mid=a20503050000&bid=0021&act=view&list_no=127689&tag=&nPage=9
대한당뇨병학회. (연도미상). 당뇨병. July, 4, 2024. fromhttps://www.diabetes.or.kr/general/class/index.php?idx=1
황옥남, 유양숙, 조경숙, 김희경, 권보은, 은영, 박효미, 박영례, 엄미란 외. (2018). 성인간호학(하), 현문사. 서울시
최희정, 고정은, 안옥희, 김희걸, 양숙자, 정의남, 최혜정, 심문숙, 차남현, 최인희, 조유향 외. (2019). 지역사회간호학Ⅰ, 현문사. 서울시.
최희정, 고정은, 안옥희, 김희걸, 양숙자, 정의남, 최혜정, 심문숙, 차남현, 최인희, 조유향 외. (2019). 지역사회간호학Ⅱ, 현문사. 서울시.
추천자료
[보건교육]청소년의 흡연 예방교육에 관하여
지역사회간호학 임상실습 - 보건교육기획안 (대상 : 2형 당뇨를 치료 중인 65세 이상 노인 15...
지역사회간호학 사례연구, 만성질환자 파킨슨병
[지역사회간호학] 지역사회간호과정(A+)
보건교육의 평가
[지역사회 간호학] 보건의료팀 협력관계 보고서
지역사회간호학 2018년)본인이 거주하는 시군구의 보건의료 계획 자료를 참고로 하여 지역사...
Hypertension(고혈압) 방문간호과정 및 보건교육안
[보건교육] PRECEDE-PROCEED 모형을 이용한 보건교육사업안
지역사회간호학 케이스스터디 (방문간호)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