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치료적 의사소통모형
1) Berne 상호교류 분석모형
2) Satir 일치형 의사소통모양
3) Peplau의 치료적 의사소통 과정
Ⅱ 본론
1. 영화 소개 및 주요 내용 요약
2. 대상자의 정신건강문제
3. 치료적 의사소통기법
4. ①영화 속 치료적 의사소통 분석
5. ②영화 속 치료적 의사소통 분석
Ⅲ 참고문헌
1. 치료적 의사소통모형
1) Berne 상호교류 분석모형
2) Satir 일치형 의사소통모양
3) Peplau의 치료적 의사소통 과정
Ⅱ 본론
1. 영화 소개 및 주요 내용 요약
2. 대상자의 정신건강문제
3. 치료적 의사소통기법
4. ①영화 속 치료적 의사소통 분석
5. ②영화 속 치료적 의사소통 분석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물으면 네 스타일의 여자들에 관해 장황하게 늘어놓겠지. (대상자를 잠깐 쳐다보면서)벌써 여자와 여러 번 잠자리를 했을 수도 있고.(딴 곳을 쳐다보다 미소를 살짝 짓고 대상자를 보면서)하지만 여인 옆에서 눈뜨며 느끼는 행복이 뭔지는 모를걸.(판단)→너는 여인 옆에서 눈뜨며 일어나는 행복했던 경험을 말해보라면 너는 어떻게 대답할까?(개방 질문)
치료자8 : (딴 곳을 보며 무표정으로)넌 강한 아이야. 전쟁에 관해 묻는다면 셰익스피어의 명언을 인용할 수도 있겠지. 다시 한 번 돌진하세 친구들이여!
치료자9 : (코웃음을 하고 살짝 흘겨보며)하지만 넌 상상도 못 해. 전우가 도움을 구하는 눈빛으로 너를 바라보며 마지막 숨을 거두는 걸 지켜보는 게 어떤 건지!(판단, 비난)
→(대상자를 눈을 마주치며)전우가 도움을 구하는 눈빛으로 너를 바라보며 마지막 숨을 거두는 모습을 지켜보는 걸 상상해봐
치료자10 : (무표정을 하고 정면을 응시하며)사랑에 관해 물으면 한 수 시까지 읊겠지만 한 여인에게 완전히 포로가 돼본 적은 없을걸. 눈빛에 완전히 매료되어 신께서 너만을 위해 보내주신 천사로 착각하게 되지.
치료자11 : (살짝 웃으면서)절망의 늪에서 너를 구하라고 보내신 천사! 또한 한 여인의 천사가 되어 사랑을 지키는 것이 어떤 건지 넌 몰라. (판단)
→한 여인의 천사가 되어 사랑을 지킨 적이 있니? 있다면 말 해 볼래?(개방 질문)
치료자12 : (정색하면서)그 사랑은 어떤 역경도 암조차 이겨내지. 죽어가는 아내의 손을 꼭 잡고 두 달이나 병상을 지킬 때는 더 이상 환자 면회시간 따위는 의미가 없어져. 진정한 상실감이 어떤지 너는 몰라. 타인을 너 자신보다 더 사랑할 때 느끼는 거니까.(판단)→(단호한 표정으로)너는 진정한 상실감이 어떤 느껴 본적 있니? 나는 타인을 자기 자신보다 더 사랑할 때 느끼는 거라고 생각해(자기주장, 개방질문)
대상자12 : (무표정, 무반응으로 치료자 대화를 듣고 있다)
치료자13 : (고개를 대상자에게 향하여)누구를 그렇게 사랑한 적 없을걸?(판단)→누구를 진정한 상실감이 느껴질 정도로 사랑해본 경험을 있다면 말해볼래?(개방 질문)
대상자13 : (치료자를 흘겨보며 대화를 듣고 생각하는 표정으로)
치료자14 :내 눈에는 네가 지적이고 자신감 있다기보다 오만이 가득한 겁쟁이 어린애로만 보여.
대상자14 :(치료자의 말을 무표정으로 듣고 있다)
치료자15 :하지만 넌 천재야 그건 누구도 부정 못 해. 그 누구도 네 지적 능력의 한계를 측정하지도 못해. (살짝 톤을 높여서)그런데 달랑 그림 한 장 보고는 내 인생을 다 안다는 듯 내 아픈 삶을 잔인하게 난도질했어.
대상자15 : (눈을 대상자를 향해 굴린다)
치료자16 : 너 고아지?(판단, 비난)→(대상자를 바라보며 어깨를 토닥이며)어떻게 그렇게 혼자 힘들게 살아왔니? 살아온 과정에 대해서 다 알 수는 없지만 정말 힘들었겠구나(공감, 개방질문).
대상자16 : (살짝 입을 떼다 닫고, 착잡하고 생각이 많은 표정으로)
치료자17 : (대상자를 쳐다보며 차분한 어조로)네가 얼마나 힘들게 살았고 네가 뭘 느끼고 어떤 애인지 ‘올리버 트위스트’만 읽어보면 다 알 수 있을까? (당황스러운 표정으로)그게 너를 다 설명할 수 있어?
대상자17 : (복잡 미묘한 표정으로)
치료자18 : 말투가 살짝 빨라지고, 살짝 톤을 높여)솔직히, 그따위 난 알바 없어. 어차피 너한테 들은 게 없으니까. 책 따위에서 읽을 수 있는 게 아니야. (차분한 어조로 대상자를 보며)우선 너 스스로에 대해 말해야 해. 자신이 누군지 말이야. 그렇다면 나도 관심을 갖고 대해주마. 기꺼이.
치료자19 : (인상을 찡그리며)하지만 그렇게 하고 싶지 않지? 자신이 어떤 말을 할지 겁내고 있으니까. 네가 선택해, 윌.(자리를 떠난다) (비난, 판단)→(걱정스러운 표정으로 눈을 마주치며)첫 상담을 통해 너는 너 자신이 어떤 말할지 겁내고 있어서 다른 주제로만 얘기하는 것 같아. 우선 너에 대해서 먼저 말해보는 게 좋을 것 같아.(초점 맞추기)
대상자19 : (고민 가득한 눈빛을 하며 떠난 치료자를 한 번 보고, 치료자가 있던 자리를 한번 보고 고민에 빠진 표정으로 앉아 있다.)
의사소통 장애요인 및 개선책 : 치료자는 대상자를 일방적으로 판단하고 비난하여 대상자와 의사소통을 하고 있다. 심지어 대상자의 의견과 대답을 끝까지 들어보지도 않고 상담을 종료하였다. 상담 시 대상자에게 언어적 요소도 중요하지만 비언어적 요소도 중요한 만큼 비언어적요소도 적절하게 사용하여 의사소통을 하고 대상자의 말을 경청해주고 의견을 내세울 때 까지 기다려 줘야한다.
Ⅲ 참고문헌
-이광자. 원정숙 (2011). 정신간호학. 경기도 현문사
-도복늠 외 (2017). 인간관계와 커뮤니케이션 5판. 서울. 정담미디어
-김희숙 외 (2019). 최신 정신건강간호학 개론5판. 서울. 학지사 메디컬
-지식백과,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Retrieved May 2, 2019, from
-지식백과, 에릭번, Retrieved April 28, 2019, from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335262&cid=40942&categoryId=31606
-김희숙 외(2019). 정신건강간호학. 학지사메디컬
-김정희(2007). V.Satir의 의사소통 이론과 상담심방 적용 가능성 연구. 총신대학교 상담 대 학원. 석사논문
-지식백과. 사티어. Retrieved April 27. 2019, from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673631&cid=62841&categoryId=62841
-김종운(2017). 인간관계 심리학. 서울: 학지사
-김수지 (1989). 간호이론. 수문사
-한성숙 외 (2004). 간호 윤리학. 대한간호협회
-장성욱 (2004). 간호학 이론과 탐구의 입문. 군자출판사
-이선옥·김영임 (2008).「간호이론」.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120016&cid=51004&categoryId=51004
치료자8 : (딴 곳을 보며 무표정으로)넌 강한 아이야. 전쟁에 관해 묻는다면 셰익스피어의 명언을 인용할 수도 있겠지. 다시 한 번 돌진하세 친구들이여!
치료자9 : (코웃음을 하고 살짝 흘겨보며)하지만 넌 상상도 못 해. 전우가 도움을 구하는 눈빛으로 너를 바라보며 마지막 숨을 거두는 걸 지켜보는 게 어떤 건지!(판단, 비난)
→(대상자를 눈을 마주치며)전우가 도움을 구하는 눈빛으로 너를 바라보며 마지막 숨을 거두는 모습을 지켜보는 걸 상상해봐
치료자10 : (무표정을 하고 정면을 응시하며)사랑에 관해 물으면 한 수 시까지 읊겠지만 한 여인에게 완전히 포로가 돼본 적은 없을걸. 눈빛에 완전히 매료되어 신께서 너만을 위해 보내주신 천사로 착각하게 되지.
치료자11 : (살짝 웃으면서)절망의 늪에서 너를 구하라고 보내신 천사! 또한 한 여인의 천사가 되어 사랑을 지키는 것이 어떤 건지 넌 몰라. (판단)
→한 여인의 천사가 되어 사랑을 지킨 적이 있니? 있다면 말 해 볼래?(개방 질문)
치료자12 : (정색하면서)그 사랑은 어떤 역경도 암조차 이겨내지. 죽어가는 아내의 손을 꼭 잡고 두 달이나 병상을 지킬 때는 더 이상 환자 면회시간 따위는 의미가 없어져. 진정한 상실감이 어떤지 너는 몰라. 타인을 너 자신보다 더 사랑할 때 느끼는 거니까.(판단)→(단호한 표정으로)너는 진정한 상실감이 어떤 느껴 본적 있니? 나는 타인을 자기 자신보다 더 사랑할 때 느끼는 거라고 생각해(자기주장, 개방질문)
대상자12 : (무표정, 무반응으로 치료자 대화를 듣고 있다)
치료자13 : (고개를 대상자에게 향하여)누구를 그렇게 사랑한 적 없을걸?(판단)→누구를 진정한 상실감이 느껴질 정도로 사랑해본 경험을 있다면 말해볼래?(개방 질문)
대상자13 : (치료자를 흘겨보며 대화를 듣고 생각하는 표정으로)
치료자14 :내 눈에는 네가 지적이고 자신감 있다기보다 오만이 가득한 겁쟁이 어린애로만 보여.
대상자14 :(치료자의 말을 무표정으로 듣고 있다)
치료자15 :하지만 넌 천재야 그건 누구도 부정 못 해. 그 누구도 네 지적 능력의 한계를 측정하지도 못해. (살짝 톤을 높여서)그런데 달랑 그림 한 장 보고는 내 인생을 다 안다는 듯 내 아픈 삶을 잔인하게 난도질했어.
대상자15 : (눈을 대상자를 향해 굴린다)
치료자16 : 너 고아지?(판단, 비난)→(대상자를 바라보며 어깨를 토닥이며)어떻게 그렇게 혼자 힘들게 살아왔니? 살아온 과정에 대해서 다 알 수는 없지만 정말 힘들었겠구나(공감, 개방질문).
대상자16 : (살짝 입을 떼다 닫고, 착잡하고 생각이 많은 표정으로)
치료자17 : (대상자를 쳐다보며 차분한 어조로)네가 얼마나 힘들게 살았고 네가 뭘 느끼고 어떤 애인지 ‘올리버 트위스트’만 읽어보면 다 알 수 있을까? (당황스러운 표정으로)그게 너를 다 설명할 수 있어?
대상자17 : (복잡 미묘한 표정으로)
치료자18 : 말투가 살짝 빨라지고, 살짝 톤을 높여)솔직히, 그따위 난 알바 없어. 어차피 너한테 들은 게 없으니까. 책 따위에서 읽을 수 있는 게 아니야. (차분한 어조로 대상자를 보며)우선 너 스스로에 대해 말해야 해. 자신이 누군지 말이야. 그렇다면 나도 관심을 갖고 대해주마. 기꺼이.
치료자19 : (인상을 찡그리며)하지만 그렇게 하고 싶지 않지? 자신이 어떤 말을 할지 겁내고 있으니까. 네가 선택해, 윌.(자리를 떠난다) (비난, 판단)→(걱정스러운 표정으로 눈을 마주치며)첫 상담을 통해 너는 너 자신이 어떤 말할지 겁내고 있어서 다른 주제로만 얘기하는 것 같아. 우선 너에 대해서 먼저 말해보는 게 좋을 것 같아.(초점 맞추기)
대상자19 : (고민 가득한 눈빛을 하며 떠난 치료자를 한 번 보고, 치료자가 있던 자리를 한번 보고 고민에 빠진 표정으로 앉아 있다.)
의사소통 장애요인 및 개선책 : 치료자는 대상자를 일방적으로 판단하고 비난하여 대상자와 의사소통을 하고 있다. 심지어 대상자의 의견과 대답을 끝까지 들어보지도 않고 상담을 종료하였다. 상담 시 대상자에게 언어적 요소도 중요하지만 비언어적 요소도 중요한 만큼 비언어적요소도 적절하게 사용하여 의사소통을 하고 대상자의 말을 경청해주고 의견을 내세울 때 까지 기다려 줘야한다.
Ⅲ 참고문헌
-이광자. 원정숙 (2011). 정신간호학. 경기도 현문사
-도복늠 외 (2017). 인간관계와 커뮤니케이션 5판. 서울. 정담미디어
-김희숙 외 (2019). 최신 정신건강간호학 개론5판. 서울. 학지사 메디컬
-지식백과,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Retrieved May 2, 2019, from
-지식백과, 에릭번, Retrieved April 28, 2019, from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335262&cid=40942&categoryId=31606
-김희숙 외(2019). 정신건강간호학. 학지사메디컬
-김정희(2007). V.Satir의 의사소통 이론과 상담심방 적용 가능성 연구. 총신대학교 상담 대 학원. 석사논문
-지식백과. 사티어. Retrieved April 27. 2019, from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673631&cid=62841&categoryId=62841
-김종운(2017). 인간관계 심리학. 서울: 학지사
-김수지 (1989). 간호이론. 수문사
-한성숙 외 (2004). 간호 윤리학. 대한간호협회
-장성욱 (2004). 간호학 이론과 탐구의 입문. 군자출판사
-이선옥·김영임 (2008).「간호이론」.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120016&cid=51004&categoryId=51004
추천자료
미술치료기법을 통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관한 고찰
<우수자료>미술치료 이론과 실제- 미술치료기법
가족치료의 이론 및 기법
치료적 인간관계와 커뮤니케이션
행동 치료
치료적의사소통이론과기법, 치료적의사소통, 반영적반응, 의사소통촉진, 비언어적방법, 비언...
치료적의사소통이론과기법, 치료적의사소통, 반영적반응, 의사소통촉진, 비언어적방법, 비언...
영화 ‘굿윌헌팅’을 감상 한 다음, 상담자로서의 관점에서 주인공의 심리 상태에 대해 분석하...
[2021 가족상담및치료 4공통] (1) 보웬의 다세대 가족치료, 경험적 가족치료, 해결중심 가족...
슈퍼처방전 치료적의사소통 및 소감문 A+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