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폐암을 고른 이유
2. 문헌적 고찰
▶ 폐의 구조 및 기능
▶ 암
▶폐암 (암 발생현황)
Ⅱ. 본론
1. 폐암의 정의
1) 폐암의 종류
2. 원인
3. 임상증상
4. 진단검사
1) 진단 검사의 종류
2) 병기결정
5. 치료
1) 암종류에 따른 치료
2) 방사선치료
3) 수술적 치료
4) 항암화학요법
5) 재발 및 전이
6) 치료현황
6. 간호
Ⅲ. 결론
Ⅳ. 참고문헌
1. 폐암을 고른 이유
2. 문헌적 고찰
▶ 폐의 구조 및 기능
▶ 암
▶폐암 (암 발생현황)
Ⅱ. 본론
1. 폐암의 정의
1) 폐암의 종류
2. 원인
3. 임상증상
4. 진단검사
1) 진단 검사의 종류
2) 병기결정
5. 치료
1) 암종류에 따른 치료
2) 방사선치료
3) 수술적 치료
4) 항암화학요법
5) 재발 및 전이
6) 치료현황
6. 간호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할 수 있는 폐암 환자는 4분의 1 이하입니다. 비소세포폐암에서 치료의 실패에 따른 환자의 사망은 대부분 절제수술 후 3년 이내에 발생합니다. 4년째에는 거의 사망이 없다가 5년째에 조금 사망 숫자가 늘어나고, 5년 이후에는 본래의 병으로 인한 사망은 거의 없습니다.
치료를 하지 않은 소세포폐암 환자의 평균 생존기간은 6~17주에 불과하나, 치료를 받은 환자는 40~70주로 늘어납니다. 요즘은 새로운 항암제들이 개발되어 비교적 좋은 성적을 내고 있지만, 아직도 치료 후 2년 이상 살 수 있는 가능성은 30%에 불과하며, 5년 이상 살 가능성은 10% 미만입니다.
소세포폐암은 처음 항암화학요법을 쓸 때의 반응이 좋을수록 장기 생존의 가능성이 높아지며, 항암화학-방사선 치료 후 완전관해(육안·각종 흉부 영상에서 암이 보이지 않고 사라진 상태)가 되었을 경우 일부에서는 장기 생존이 가능하나 다수에서 재발하게 됩니다.
우리나라의 중앙암등록본부에서 2016년에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10년에서 2014년 사이 폐암의 5년 상대생존율은 남녀를 합해서 25.1%(남자 21.9%, 여자 32.4%)입니다.
6. 간호
금연을 통한 환경조성을 하고, 운동근력(강화운동)과 복식호흡(폐활량 근육운동)을 교육시킨다.
가정상소요법과 객담이 잘 나올수 있는 기침방법을 통해 호흡곤란을 해소시켜주고, 진통제를 투여하여 통증을 조절해 준다. 객혈을 할시 출혈의 색깔, 양(소주잔 기준)이 얼마나 되는지, 얼마나 잦은 빈도가 있는지 관찰을 하여 구강으로 지혈제를 처방해줄 수 있다,
방사선 치료나 항암 치료 과정에서는 여러 가지 부작용이 있습니다. 치료 중에 발생하는 증상에 대해서 잘 조절해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의사와의 상의로 투약을 조절하고, 부작용 발생시 어떤 방법으로 대처해야하는지를 약물 치료 하시는 분들, 방사선 치료 하시는 분들이 알고 있어야 한다. 치료의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해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것이 간호를 하는 사람이 해야 할 일이고, 증상조절을 위한 투약방법이 여러 가지인 것을 있어야 한다.
항암치료를 꾸준히 하시는 대상자에게 필요한 중심 정맥관(우측이나 좌측 쇄골 밑으로 혈관을 심는 시술을 한 후에 그 쪽으로 계속 항암제를 지속적으로 맞는 방법)이 있는 것을 알아 두어 시술 후에 실밥을 제거한 이후에 사용고, 실밥 제거 될 때(1주일 정도)까지는 팔운동을 자제해 포트가 자리를 잘 잡을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한다. 케모포트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한 달에 한번 정도 항응고제를 투여해 도관의 라인이 막히지 않게 유지해야한다.
암환자의 영양불량은 수술 후 회복지연·합병증 증가·면역기능의 이상· 항암치료에 대한 반응저하·입원기간 연장·병원비 증가·퇴원 후 건강회복 지연 등의 결과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항암식품(오이, 귀리, 토마토, 가지, 피망, 생강, 미나리과 식물, 당근, 샐러리, 마늘 등) 및 식이요법을 통해 붕부한 영양 섭취를 도와야 합니다.
가정간호로 집에서도 연속적인 간호를 받을 수 있도록 도와야 합니다. 의사 선생님이 처방하신 특수처치나 약물투여, 검사물 수집과 의뢰, 가정산소요법, 인공호흡기 관리, 욕창이나 상처, 수술부위 등의 치료와 관리를 도와주기도 합니다.
증상관리를 통해서 신체적으로 증상이 완화된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호스피스(의사, 간호사, 성직자, 사회복지사 등 다학문적 접근)
진료협력센터는 지방에서 올라오거나 지방으로 내려갈 때 진료의뢰를 도맡아 해주고, 재원환자가 타 병원으로 전원하실 때도 도움을 주고, 환자들의 소견을 적어가고, 적어오는 의사 선생님들께 다시 소견을 회송해 주는 시스템을 운영하기도 합니다.
원목실은 환자의 정기적인 예배나 기도를 주관하고 있고, 수술환자 및 병실환자를 특별히 심방해서 상담을 하기도 합니다.
Ⅲ. 결론
이번 과제를 통해 폐암의 종류 및 증상, 간호 등에 대해 알아 볼 수 있어서 좋았다. 자료조사를 충실히 하고, 과제에 투자한 시간이 많아 폐암에 대해 자세히 알게 되었다. 아버지께 이 레포트를 보여드리며 폐암의 심각성에 대해 한번 더 자각하실 수 있게 해서 얼른 금연을 하도록 해야 할 것 같다. 폐암 간호를 실제로 할 수 있을 것 같다.
Ⅳ. 참고문헌
조경숙 외(2018). 성인간호학 Seventh Edition. 서울: 현문사.
이성호 외(2015). 해부학 Sixth Edition. 현문사.
김대준.(2014).통계적 분석과 기계학습적 분석 기술을활용한 폐암 환자의 장기 생존에
영향을미치는 위험 요인들과 연관성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계명대학교.
오아영.(2016).Validation of DX2 as a Therapeutic Target in Smoking-related Small Cell Lung Cancer .박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이지석.(2014). Metabolic burden measured by 18Ffluorodeoxyglucose.박사학위,부산대학교.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0470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0468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120096&cid=51007&categoryId=51007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837311&cid=55647&categoryId=55676
http://ncc.re.kr/cancerStatsView.ncc?bbsnum=418&searchKey=total&searchValue=&pageNum=1
https://www.cancer.go.kr/lay1/program/S1T211C215/cancer/view.do?cancer_seq=5237&menu_seq=5241
http://sev.iseverance.com/cancer/health_inform/reference_video/health_video/view.asp?con_no=70169
치료를 하지 않은 소세포폐암 환자의 평균 생존기간은 6~17주에 불과하나, 치료를 받은 환자는 40~70주로 늘어납니다. 요즘은 새로운 항암제들이 개발되어 비교적 좋은 성적을 내고 있지만, 아직도 치료 후 2년 이상 살 수 있는 가능성은 30%에 불과하며, 5년 이상 살 가능성은 10% 미만입니다.
소세포폐암은 처음 항암화학요법을 쓸 때의 반응이 좋을수록 장기 생존의 가능성이 높아지며, 항암화학-방사선 치료 후 완전관해(육안·각종 흉부 영상에서 암이 보이지 않고 사라진 상태)가 되었을 경우 일부에서는 장기 생존이 가능하나 다수에서 재발하게 됩니다.
우리나라의 중앙암등록본부에서 2016년에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10년에서 2014년 사이 폐암의 5년 상대생존율은 남녀를 합해서 25.1%(남자 21.9%, 여자 32.4%)입니다.
6. 간호
금연을 통한 환경조성을 하고, 운동근력(강화운동)과 복식호흡(폐활량 근육운동)을 교육시킨다.
가정상소요법과 객담이 잘 나올수 있는 기침방법을 통해 호흡곤란을 해소시켜주고, 진통제를 투여하여 통증을 조절해 준다. 객혈을 할시 출혈의 색깔, 양(소주잔 기준)이 얼마나 되는지, 얼마나 잦은 빈도가 있는지 관찰을 하여 구강으로 지혈제를 처방해줄 수 있다,
방사선 치료나 항암 치료 과정에서는 여러 가지 부작용이 있습니다. 치료 중에 발생하는 증상에 대해서 잘 조절해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의사와의 상의로 투약을 조절하고, 부작용 발생시 어떤 방법으로 대처해야하는지를 약물 치료 하시는 분들, 방사선 치료 하시는 분들이 알고 있어야 한다. 치료의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해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것이 간호를 하는 사람이 해야 할 일이고, 증상조절을 위한 투약방법이 여러 가지인 것을 있어야 한다.
항암치료를 꾸준히 하시는 대상자에게 필요한 중심 정맥관(우측이나 좌측 쇄골 밑으로 혈관을 심는 시술을 한 후에 그 쪽으로 계속 항암제를 지속적으로 맞는 방법)이 있는 것을 알아 두어 시술 후에 실밥을 제거한 이후에 사용고, 실밥 제거 될 때(1주일 정도)까지는 팔운동을 자제해 포트가 자리를 잘 잡을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한다. 케모포트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한 달에 한번 정도 항응고제를 투여해 도관의 라인이 막히지 않게 유지해야한다.
암환자의 영양불량은 수술 후 회복지연·합병증 증가·면역기능의 이상· 항암치료에 대한 반응저하·입원기간 연장·병원비 증가·퇴원 후 건강회복 지연 등의 결과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항암식품(오이, 귀리, 토마토, 가지, 피망, 생강, 미나리과 식물, 당근, 샐러리, 마늘 등) 및 식이요법을 통해 붕부한 영양 섭취를 도와야 합니다.
가정간호로 집에서도 연속적인 간호를 받을 수 있도록 도와야 합니다. 의사 선생님이 처방하신 특수처치나 약물투여, 검사물 수집과 의뢰, 가정산소요법, 인공호흡기 관리, 욕창이나 상처, 수술부위 등의 치료와 관리를 도와주기도 합니다.
증상관리를 통해서 신체적으로 증상이 완화된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호스피스(의사, 간호사, 성직자, 사회복지사 등 다학문적 접근)
진료협력센터는 지방에서 올라오거나 지방으로 내려갈 때 진료의뢰를 도맡아 해주고, 재원환자가 타 병원으로 전원하실 때도 도움을 주고, 환자들의 소견을 적어가고, 적어오는 의사 선생님들께 다시 소견을 회송해 주는 시스템을 운영하기도 합니다.
원목실은 환자의 정기적인 예배나 기도를 주관하고 있고, 수술환자 및 병실환자를 특별히 심방해서 상담을 하기도 합니다.
Ⅲ. 결론
이번 과제를 통해 폐암의 종류 및 증상, 간호 등에 대해 알아 볼 수 있어서 좋았다. 자료조사를 충실히 하고, 과제에 투자한 시간이 많아 폐암에 대해 자세히 알게 되었다. 아버지께 이 레포트를 보여드리며 폐암의 심각성에 대해 한번 더 자각하실 수 있게 해서 얼른 금연을 하도록 해야 할 것 같다. 폐암 간호를 실제로 할 수 있을 것 같다.
Ⅳ. 참고문헌
조경숙 외(2018). 성인간호학 Seventh Edition. 서울: 현문사.
이성호 외(2015). 해부학 Sixth Edition. 현문사.
김대준.(2014).통계적 분석과 기계학습적 분석 기술을활용한 폐암 환자의 장기 생존에
영향을미치는 위험 요인들과 연관성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계명대학교.
오아영.(2016).Validation of DX2 as a Therapeutic Target in Smoking-related Small Cell Lung Cancer .박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이지석.(2014). Metabolic burden measured by 18Ffluorodeoxyglucose.박사학위,부산대학교.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0470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0468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120096&cid=51007&categoryId=51007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837311&cid=55647&categoryId=55676
http://ncc.re.kr/cancerStatsView.ncc?bbsnum=418&searchKey=total&searchValue=&pageNum=1
https://www.cancer.go.kr/lay1/program/S1T211C215/cancer/view.do?cancer_seq=5237&menu_seq=5241
http://sev.iseverance.com/cancer/health_inform/reference_video/health_video/view.asp?con_no=70169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