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on cancer A+칭찬 받은 자료 <대장암 케이스 스터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colon cancer A+칭찬 받은 자료 <대장암 케이스 스터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및 문헌고찰 (필요성)
1. 정의
2. 병태생리
3. 증상 및 징후
4. 진단적 검사
5. 치료
6. 간호중재

Ⅱ. 간호력
1. 입원과 관련된 정보
2. 일반적인 건강관리 양상

Ⅲ. 신체검진

Ⅳ. 검사소견

Ⅴ. Problem List

Ⅵ.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의 적용

본문내용

30 - 400
MCV
94.3▲
80 - 93.6
MCH
32.6▲
27 - 31
MCHC
34.6
32 - 36
검사항목
검사결과
정상치
3회
10/11
hs - CRP
4.83▲
<0.5
<치료적 측면>
1. 활력징후 측정, 환복을 갈아입는 경우, IV 제거 등 간호 행위를 하기 전·후로 손을 씻고 수행하였다.
2. urine bag 위치는 침상 난간에 묶여 바닥에 닿지 않고, 방광보다 아래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수액 줄은 폴대에 꼬여있는 것이 관찰 되었으나 보이는 즉시 풀었고 역류와 막힘은 나타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3. 정맥주사부위나 수술부위를 만지는 경우 손 소독 후 감염증상을 확인하고 통증이나 작열감 여부를 사정하였다.
4. 하루에 한번 씩 침상 시트와 이불 등 교환하였다.
<교육적 측면>
1. 방문객은 면회시간을 이용하도록 교육하고, 면회 시에는 소독제를 사용하여 손을 깨끗이 씻고 마스크를 착용하도록 교육하였다.
2. 대상자에게 올바른 손 씻기, 감염 위험성 높이는 원인, 감염과 관련된 합병증에 대해 설명하였다.
3. 침습적 처치가 이루어진 부위의 감염예방법에 대해 교육하였다.
4. 대상자의 개인위생을 격려하였다.
5. 적절한 수분섭취와 활동으로 감염에 대항할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이론적 근거
<진단적 측면>
1. 수술 후 48시간 동안 체온 38도 이상의 발열은 감염을 암시한다. 체온 상승은 상처감염의 지표로 발한과 오한을 동반한 심한 고온은 패혈증을 암시한다.
2. 요의 특성 즉 색깔, 혼탁도와 냄새 및 혈액 덩어리, 점액, 조직의 조각 같은 비정상적인 물질의 포함 여부를 파악한다. 요로감염이 있게 되면 소변에 덩어리가 있고 혼탁하게 된다.
3. 침습적 처치가 이루어진 부분을 통해 감염이 일어날 경우 농과 같은 삼출물, 악취, 주변피부 발적과 같은 이상 징후를 나타낸다.
4. 발적, 열감, 부종, 통증은 감염의 전형적인 증상이다.
5. 백혈구의 증가, CRP 증가는 병원균의 침입을 의미한다.
<치료적 측면>
1. 간호 행위를 하기 전·후로 손을 씻는 것은 신체의 한 부위로부터 병원균이 다른 부위로 전파되는 위험성을 줄여준다.
2. urine bag 침상보다 높으면 역류되어 요로감염이 일어날 수 있다. 올바른 소변 백 비우는 것을 교육하여 상행감염 또는 역류성 소변으로 인해 감염발생의 위험을 줄이기 위함이다.
- urine bag은 바닥에 닿지 않도록 관리한다.
- urine bag을 비울 시 환자마다 개별 소변기를 사용한다.
- 만지기 전 후 손 씻기를 하고 장갑을 착용한다.
- urine bag을 비우고 소변 배출구 입구는 소독솜으로 닦은 후 urine bag에 끼운다.
- 소변기를 평평한 곳에 놔둔 후 눈높이에 맞춰 눈금을 읽어 담당간호사에게 보고하거나 보호자 본인이 기록을 해놓는다.
3. 무균술을 이용함으로 외부 감염원과 삽입부위의 접촉을 사전에 차단하여 감염의 위험성을 줄이기 위함이다.
4. 침상 시트와 이불, 환복 등 자주 교환함으로 청결을 유지하여 감염을 예방한다.
<교육적 측면>
1. 외부감염으로부터 대상자를 보호하기 위함이다.
2, 3 침습적 처치가 이루어진 부위는 감염되기 쉬우므로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환자 자신이 감염의 증상과 징후(발적, 발열, 종창(부종), 동통)에 대해 알고, 올바른 관리법과 유의사항을 교육하여 스스로 관찰할 필요성을 느끼도록 해주기 위함이다.
4. 손 씻기는 개인위생의 시작으로 감염 예방의 가장 기본이 된다.
5. 적절한 수분섭취와 활동을 함으로써 감염에 대항할 수 있다.
간호평가
<부분 달성함>
- 대상자는 2일 동안(10/11, 10/12) 감염의 증상인 고체온, 수술 부위 발적, 열감, 부종은 나타나지 않았다.
- 대상자는 2일 동안(10/11, 10/12) Vital sign, 혈액검사, 면역검사는 정상범위를 유지되지 않았지만 퇴원(10/16)시 Vital sign, 혈액지표는 정상을 유지하였다.
10/13
BP
P
R
BT
16:00
135/93
73
20
36.6
18:00
129/92
80
20
36.4
20:00
126/76
80
20
36.4
10/16
BP
P
R
BT
09:00
126/77
62
20
36.4
검사항목
검사결과
정상치
3회
10/11
4회
10/13
5회
10/15
WBC count
13.79▲
7.09
9.53
3.91 - 10.33
RBC count
4.82
4.06
4.28
3.75 - 5.48
Hgb
15.7▲
13.1
13.8
11.9 - 15.4
Hct
45.5
39
41.0
36.2 - 46.3
platelet
257
181
231
130 - 400
MCV
94.3▲
96.0▲
95.84▲
80 - 93.6
MCH
32.6▲
32.4▲
32.24▲
27 - 31
MCHC
34.6
33.7
33.6
32 - 36
hs - CRP
4.83▲
5.23▲
5.63▲
<0.5
Ⅶ. 참고문헌
1. http://www.cancer.go.kr 국가 암정보 센터
2. http://www.hansolh.com 한솔병원
3. http://sev.iseverance.com 세브란스 연세 암 병원
4. http://www.druginfo.co.k 드럭인포
5. http://www.snuh.org 서울대학교병원
6. NANDA 간호진단과 중재가이드 김금자 외 12, 현문사 2012.
7. 성인간호학 상권 6판, 조경숙 외 10, 현문사 2013
8. 알기 쉬운 약리학, 메디컬사이언스 , 신인철 외, 2017
9.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박은영 외(2017) 현문사
10. 비판적 사고를 적용한 간호과정, 수문사, 김조자 외, 2014
11. https://www.druginfo.co.kr/about/DruginfoPLUSIntro.aspx [드럭인포플러스]
12. https://www.kimsonline.co.kr/ [KIMS의학정보센터]
13. http://www.kmle.co.kr/ [의학 검색 엔진]
14.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839271&cid=55758&categoryId=55758
  • 가격3,000
  • 페이지수32페이지
  • 등록일2024.09.21
  • 저작시기201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2622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