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성인간호학 간경변증(간경화증) 케이스스터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A+ 성인간호학 간경변증(간경화증) 케이스스터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문헌고찰
1) 병태생리
2) 간경변의 정의 및 분류
3) 합병증
4) 원인 및 위험 요인
5) 임상 양상 및 진단 검사
6) 치료와 간호
7) 예방 및 생활 습관 권장사항
Ⅱ. 본 론
1) 개인력
2) 현병력
3) 과거력
4) 가족력
5) 입실 후 현재까지의 결과
6) 진단적 검사
8) 주요 약물 요법
9) 간호과정 기록지
9-1) 간호과정 기술
Ⅲ. 결 론
3) 첨부된 교육자료

본문내용

자의 현재 상태, 식사 습관, 기존 건강 문제 등을 공유하였다.
4-2. 영양사가 구성한 식단 계획에 따라 대상자의 식사 가능성을 고려하여 식사를 준비하고 제공하였다.
4-3. 변화한 식단에 관한 대상자의 반응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였다.
교육적 계획
계획
수행
1. 대상자에게 식사량 증가를 위한 실용적인 방법을 제공한다.
대상자가 충분한 영양을 섭취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예: 음식 선호도, 식사 환경 개선)을 활용한다.
1-1. 대상자에게 소량 다빈도 식사, 간이용성이 좋은 식품 섭취, 식욕을 자극하는 환경 조성 등을 권장했다.
교육 후 대상자는 간에 좋은 전곡류나 낮은 지방의 육류 등을 먹는 게 좋겠다며 대답함. 병원에서 혼자 밥을 먹으려니까 식욕이 더 떨어지는 것 같다면서 가족들과 함께 먹으면 식욕이 더 올라갈 것 같은데 가족들이 오면 밥을 먹어도 되겠느냐고 묻는 모습을 보임.
2. 대상자에게 간경변증에 적합한 식단 예시를 제공한다.
대상자와 가족이 따르기 쉽고 소량의 식사를 자주 할 수 있도록 식단을 제공한다.
2-1. 대상자에게 간경변증에 적합한 식단 예시를 제공했다.
출처: 서울아산병원
3. 대상자에게 소량 다빈도 식사의 중요성에 대해 교육한다.
간경변증 환자는 종종 식욕이 줄어들고 소화 능력이 떨어질 수 있다. 이때, 소량의 식사를 자주 하면 전체적인 섭취량을 늘릴 수 있고 소화와 흡수를 도울 수 있다.
3-1. 대상자에게 식사를 하루 5-6회로 나누어 자주 섭취할 수 있도록 소량 다빈도 식사를 권장했다.
대상자는 소량 다빈도 식사가 무엇이냐고 재질문 하였으며, 소량 다빈도 식사는 전체적인 식사량을 증가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재교육함. 대상자 재교육 후 소량 다빈도 식사가 한 끼를 많이 먹는 것보다 소화도 더 잘 되겠다며 교육 내용을 이해하는 모습 보임.
4. 대상자에게 적절한 단백질 및 에너지 섭취의 중요성에 대해 교육한다.
간경변증 환자는 근육 소모와 영양 결핍 위험이 높으므로 적절한 단백질과 에너지 섭취는 근육량을 유지하고 일반적인 건강 상태를 개선하는 데 필수적이다.
4-1. 교육 자료를 통해 대상자에게 적절한 단백질 및 에너지 섭취의 중요성에 대해 교육했다.
출처: 명지성모병원
평가
단기목표
1. 대상자는 2일 이내에 구강 섭취량을 현재보다 20% 증가시킨다. (부분 달성)
HOD#6 Oral Intake 1150, HOD#7 Oral Intake 1400으로 측정되었으며 이는 HOD#5 1250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목표치(20%, 250)에 도달하지 못하였으므로 지속적인 f/u 필요.
2. 대상자는 2일 이내에 음식물 섭취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보인다. (미달성)
대상자는 변화한 식단(초저염식)에 적응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Oral Intak 또한 감소하였으므로 지속적인 f/u 필요.
3. 대상자는 3일 이내에 피로감과 허약감이 감소한다. (달성)
대상자는 교육 후 1일째(HOD#6) 자의적으로 병실 복도를 천천히 걷는 모습이 관찰됨.
4. 대상자는 3일 이내에 활동량을 점진적으로 증가시킨다. (달성)
대상자는 교육 후 2일째(HOD#7) 아침 식사 후 1회, 점심 식사 후 1회, 저녁 식사 후 3회로 1일 총 3회 자의적으로 병실 복도를 천천히 걷는 모습이 관찰됨.
Ⅲ. 결론
3) 첨부된 교육자료
출처: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출처: 서울아산병원
출처: 명지성모병원
4). 참고문헌
- 유양숙 외 9명. (2022). 성인간호학(하권). 현문사
- 백순구. (2012). 간경변증 진료 가이드라인 개정. 제 63차 대한내과학회 추계학술대회,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내과학교실, 근거창출임상연구국가사업단 임상진료지침.
- 정담 편집부. (2013). SIM 통합내과학 제6권: 소화기. 정담.
- 서울아산병원. (n.d.). 간경화. 서울아산병원.
https://www.amc.seoul.kr/asan/mobile/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0480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n.d.). 간경변 [Liver cirrhosis].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https://medicine.yonsei.ac.kr/health/encyclopedia/disease/disease.do?mode=view&articleNo=66947&title=%EA%B0%84%EA%B2%BD%EB%B3%80+%5BLiver+cirrhosis%5D
민경윤. (2020). 간염에서 간경변, 간암에 이르기까지의 똑똑한 투병기. 마야.
E.JAN IRVINE 외 저자(글) · 박인서 번역. (2002). 근거 중심의 소화기병학. 군자출판사.
질병관리청. (n.d.). 간경변증. 질병관리청.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cntnts_sn=5421
- CHA 의료원. (n.d.). 간경화(간경변증에 좋은 음식은?. https://m.chamc.co.kr/media/magazine_youtube.cha?idx=468
- 세브란스 병원. (n.d.). 혈소판감소증 [Thrombocytopenia].
https://sev.severance.healthcare/health/encyclopedia/disease/body_board.do?mode=view&articleNo=119731&title=%ED%98%88%EC%86%8C%ED%8C%90%EA%B0%90%EC%86%8C%EC%A6%9D+%5BThrombocytopenia%5D
PwC Korea. (2023, July). Paradigm Shift. Retrieved from
https://www.pwc.com/kr/ko/insights/insight-research/samilpwc_paradigm-shift-jul2023.pdf
응급의료정보센터. (n.d.). 응급증상안내. https://www.e-gen.or.kr/egen/etc_emergency_symptom.do?contentsno=53
  • 가격3,500
  • 페이지수28페이지
  • 등록일2024.10.24
  • 저작시기2024.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3233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