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성인간호,성인간호학,성인간호케이스,성인간호학케이스,성인간호케이스스터디,성인케이스,심근경색,심근경색케이스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A+,성인간호,성인간호학,성인간호케이스,성인간호학케이스,성인간호케이스스터디,성인케이스,심근경색,심근경색케이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차 례

Ⅰ. 서론
1. 연구 필요성
2. 연구기간 및 방법

Ⅱ. 문헌고찰
1. 질병의 정의
2. 원인 및 위험소인
3. 병태 생리
4. 증상 및 징후
5. 진단 방법
6. 치료 및 간호

Ⅲ. 간호과정
1. 간호사정
2. 의학적 치료 내용
3. 간호과정 적용

Ⅳ. 결론 및 제언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펌프 부전과 허혈성 통증은
호흡부전을 초래 할 수 있다.
3. 의사 처방에 따라 nasal prong 2L
공급하였다.
1/2
RR : 32회/min
1/3
RR : 29회/min
1/6
RR : 21회/min
4. I/O check를 하며 소변의
비중을 기록한다.
4. 과잉 수분 섭취는 울혈성
심부전을 유발하며 소량 수분
섭취는 탈수의 원인이며 핍뇨는
부적절한 신장관류와 쇼크를
암시하며 농축된 소변은 탈수를
암시한다.
4. 시간당 소변량을 확인하며
수분 섭취량과 배설량을 확인하여 기록하였다.
12/28
1/2
2000 / 380
1420 / 820
1/6
1340 / 1290
5. 심전도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한다.
5. 심장 상태 평가하기 위함이며
리듬 stritdms 시망의 리듬변화
관찰에 중요하며 잦은 조기심실
수축은 심실세동을 암시한다.
5. EKG 부착 후 모니터링 하였다.
6. ABGA, BUN, creatinine,
electrolyte, prothrombin time,
activated prothrombin time
검사결과를 확인한다.
6. 조직 관류를 확인하는 검사로
비정상적인 혈액응고가 있을 때
heparin이나 coumadin,
심장 치료약 등을 사용한다.
6. 의사 처방에 따라 aspirin 100mg
경구 투여하였다.
평가
단기목표 (미달성) : 대상자는 24시간 이내 호흡수가 29회로 측정되었다.
장기목표 (달성) : 대상자는 1월 6일의 수분섭취량과 배설량이 1340 / 1290으로 측정되었다.
간호진단
부정맥과 관련된
심박출량 감소 위험성
간호목표
(간호결과)
단기목표 : 대상자는 24시간이내에 맥박이 60-100회 사이를 유지 할 것이다.
장기목표 : 대상자는 10일이내에 혈압이 120/80mmHg ±20으로 측정 될 것이다.
간호중재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간호수행
1. 혈압을 모니터한다.
1. 저혈압은 심실의 기능 부전과
심근의 관류저하와 관련되어있다.
직립성 저혈압은 심부전과 같은
심근경색증의 합병증이다.
1. 혈압을 측정하였다.
1/3
BP :
90/58mmHg
1/6
BP :
119/64mmHg
2. 심박동수와 리듬을 모니터 하며
심전도를 통해 부정맥을 모니터
한다.
2. 심박동은 약물, 활동, 합병증의
발생 등에 대한 반응이다.
심실조기수축은 심장기능이나
증가된 허혈성 손상을 보상하며
심박조동이나 세동은 관상동맥이나
판막질환에서 발생 할 수 있다.
2. EKG 모니터를 부착하여 심장상태
지속적으로 확인하였다.
1/2
HR : 121회/min
1/3
HR :
109회/min
1/6
HR :
91회/min
3. 검사결과(심장효소, ABGA,
전해질)를 확인한다.
3. 환자 상태를 확인함으로써 적절한
간호수행을 할 수 있다.
3. 검사결과를 확인하였으며,
KCL 3.3 #3 투여하였다.
CK
▲326.0
Potassium(K)
▼2.9
▼3.3
4. 정맥 주사 통로를 확보하며, 의사
처방에 따라 항부정맥제를
투여한다.
4. 약물 투여를 하며 응급상황을
대비한다.
4. IV (18G) 유지하였으며, 의사
처방에 따라 항부정맥제인
코다론주사를 투여하였다.
5. 활동에 대한 반응에 주의하고
적절한 휴식을 증가시킨다.
5. 과도한 운동은 산소요구량을
증가시킨다.
5. 숨을 천천히 쉬도록 하며, 활동을
제한하도록 교육하였다.
평가
단기목표 (미달성) : 대상자는 24시간이내에 맥박이 109회/min로 측정되었다.
장기목표 (달성) : 대상자는 1월 6일의 혈압이 119/64mmHg으로 측정되었다.
간호진단
빈혈과 관련된
낙상 위험성
간호목표
(간호결과)
단기목표 : 대상자는 2일이내에 어지러움을 호소하지 않을 것이다.
장기목표 : 대상자는 10일이내에 Hct가 34-49%로 유지 될 것이다.
간호중재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간호수행
1. side rail이 올려져 있는지
확인하며 면회 시 보호자에게
교육한다.
1. side rail은 낙상을 예방할 수 있는
기초적 방법이다.
1. side rail이 매 시간마다 올려져
있는지 확인하며 면회 시
보호자에게 side rail을 내리지
않도록 교육하였다.
2. 침대 바퀴를 항상 고정한다.
2. 침대바퀴를 고정함으로써 낙상을
예방할 수 있다.
2. 침대 바퀴를 항상 고정하였다.
3. Hb, Hct 수치를 확인한다.
3. Hb, Hct의 수치는 빈혈을
나타내는 기초가 된다.
3. Hb, Hct 수치를 확인하였다.
Hgb
▼10.1
▼10.2
Hct
▼31.0
▼31.5
평가
단기목표 (달성) : 대상자는 1일 후 어지러움을 호소하지 않았다.
장기목표 (미달성) : 대상자는 1월 6일에 시행한 응급검사 결과 Hct이 31.5%로 측정되었다.
Ⅳ. 결론 및 제언
돌연사의 주범인 심근경색은 12월에 급증한다고 하는데 기온이 떨어지면서 혈관의 급격한 수축이 주요 원인으로 찬바람이 많이 부는 요즘 같은 겨울에 특히 주의해야 할 질환이다. 가슴의 정중앙 또는 약간 좌측의 통증이 느껴짐과 동시에 호흡곤란이 발생하는 것이 초기 증상으로 흉통을 호소하기도 전에 갑작스러운 실신이나 심장마비가 올 수 있어 매우 고 위험도의 질환이다.
이번 Team case study의 대상자는 당뇨와 고혈압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심근경색 발생 위험을 높이는 요인 중 하나로 당뇨병은 동맥경화를 유발 시킬 수 있고 혈관 자체의 영양분을 공급하는 미세혈관 기능에 장애를 주어 혈관자체를 약하게 만든다.
고위험 질환인 심근경색에 대해 과제를 함으로써 그에 맞는 적절한 간호과정을 적용 해 봄으로써 심근경색에 대해 더 심도있게 알게 된 계기가 되었다.
기회가 된다면 대상자의 현병력인 당뇨와 고혈압을 심근경색과 연관지어 간호적용을 해보고 싶다.
Ⅴ. 참고문헌
- 김금순 외 공저(2015) 성인간호학 1 , 수문사 , 796p~814p
- 서울아산병원 홈페이지 (www.amc.seoul.kr)
- 드러그인포 (https://www.druginfo.co.kr/)
- KIMS 의약정보센터 (http://www.kimsonline.co.kr/)
  • 가격3,0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22.11.12
  • 저작시기2020.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896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