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서론
2. 본론
1) 핵의 대한 양국의 시선과 협상 상황 및 협상 전략
2) 양국의 정보교환 단계와 본 협상
3) 마무리 협상전략과 북미의 협상 결렬 이후 반응과 2019년 남북미정상회동
3. 결론
4. 참고문헌
1. 서론
2. 본론
1) 핵의 대한 양국의 시선과 협상 상황 및 협상 전략
2) 양국의 정보교환 단계와 본 협상
3) 마무리 협상전략과 북미의 협상 결렬 이후 반응과 2019년 남북미정상회동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을 한 것이다. 이는 마무리 협상 전략에서 니블링(Nibbling)과 마감 시간 (Deadline), 제시한 이상적인 형태로 보인다. 비록 합의에 이르지는 못했으나, 미국의 제안을 받아들이는 경우 다시금 협상이 재개할 수 있다는 온건적 스탠스를 보여주며, 별도의 마감시간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언제든 협상이 재개될 수 있다는 모습을 보임으로써 북핵 문제를 반드시 해결할 것이라는 의지를 보여주었다. 이후 2019년 6월 30일, 판문점에서 남북미정상회동이 또 한 번 있었으나, 실제로 당시 문재인 대통령은 회동에 참석하지 못했으며, 결과 또한 하노버 회담과의 재탕으로 결과 역시 좋지 못했다. 북한은 이 회동 이후 대남, 대미 도발을 지속하고 있으며, 여전히 남북통일과 한반도 비핵화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3. 결론
한반도 비핵화는 남북의 평화와 공존을 위해서 반드시 이뤄야만 하는 숙원이다. 그러나 국내 여러 정치 세력과 한반도를 둘러싼 강대국들의 입장과 입김에 의해 한반도 비핵화는 여전히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북한과 미국이 각각 제시한, 협상 전략과 협상에 임하는 자세 등은 우리에게 많은 시사점을 제시한다. 한반도에서 협상의 주체가 되어야 할 한국이 주체적으로 상황을 주도하지 못하고, 미국이나 중국, 러시아를 비롯한 강대국의 입금에 휘둘리는 현 상황은 한국에도, 북한에도 좋지 않다. 그렇다고 강대국을 무시하고 협상을 하자니, 이후의 상황이 우리가 원하는 바대로 진행되지 못하는 큰 단점이 존재한다. 여기서 우리가 가져야 할 자세는 무엇일까. 한발 물러서 북한을 비롯한 미일중러 간의 관계와 각자가 원하는 부분에 대한 명확한 분석과 그에 맞는 한국만의 협상 전략과 그를 시행하기 위한 국제적 노력, 그리고 자주국방을 이룰 수 있는 강한 힘이 필요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을 성공적으로 완수하였을 때, 비로소 남과 북이 주도하는 한반도 비핵화 및 평화적인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을 것이다.
4. 참고문헌
『김정은 정권의 핵미사일 정책 변화와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싱가포르, 하노이 미북협상 전후 정책 비교를 중심으로』, 조형준, 국방대학교, 2023
『비핵평화협상의 특징적 맥락 하노이 미·북 정상회담을 계기로』, 이동휘, 한국외교협회 외교 제130호, 2019년
『협상의 4단계 전략』, 김선제, https://www.collegesidekick.com/study-docs/7579712
3. 결론
한반도 비핵화는 남북의 평화와 공존을 위해서 반드시 이뤄야만 하는 숙원이다. 그러나 국내 여러 정치 세력과 한반도를 둘러싼 강대국들의 입장과 입김에 의해 한반도 비핵화는 여전히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북한과 미국이 각각 제시한, 협상 전략과 협상에 임하는 자세 등은 우리에게 많은 시사점을 제시한다. 한반도에서 협상의 주체가 되어야 할 한국이 주체적으로 상황을 주도하지 못하고, 미국이나 중국, 러시아를 비롯한 강대국의 입금에 휘둘리는 현 상황은 한국에도, 북한에도 좋지 않다. 그렇다고 강대국을 무시하고 협상을 하자니, 이후의 상황이 우리가 원하는 바대로 진행되지 못하는 큰 단점이 존재한다. 여기서 우리가 가져야 할 자세는 무엇일까. 한발 물러서 북한을 비롯한 미일중러 간의 관계와 각자가 원하는 부분에 대한 명확한 분석과 그에 맞는 한국만의 협상 전략과 그를 시행하기 위한 국제적 노력, 그리고 자주국방을 이룰 수 있는 강한 힘이 필요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을 성공적으로 완수하였을 때, 비로소 남과 북이 주도하는 한반도 비핵화 및 평화적인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을 것이다.
4. 참고문헌
『김정은 정권의 핵미사일 정책 변화와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싱가포르, 하노이 미북협상 전후 정책 비교를 중심으로』, 조형준, 국방대학교, 2023
『비핵평화협상의 특징적 맥락 하노이 미·북 정상회담을 계기로』, 이동휘, 한국외교협회 외교 제130호, 2019년
『협상의 4단계 전략』, 김선제, https://www.collegesidekick.com/study-docs/7579712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