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명수업 ) 장면분석표 작성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조명수업 ) 장면분석표 작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숨기는, 답답한
극적행동
트레플료프가 연주하는 음울한 음악
이미지
액자에 담긴 잘못 조립된 퍼즐
UNIT
1) 3막이 끝나고 2년의 시간이 흘렀다.
2) 트레플료프에게 집착하다시피 하는 소린
3) 메드베젠코와 순탄치 못한 결혼생활 중인 마샤
4) 니나의 소식을 사람들에게 전하는 트레플료프
NOTE
3막으로부터 4년의 시간이 흐른 사람들의 모습. 트레플료프는 이름 있는 소설가가 되었지만 그리 기뻐 보이지 않고, 마샤와 메드베젠코 부부의 모습도 행복해 보이지 않는다. 소린의 병세는 악화되었고, 다들 그럼에도 애써 살아가려고 하는 모습이다.
트레플료프의 음울한 연주와 더불어, 일말의 행복을 찾기 쉽지 않은 장면이 될 것 같다. 이 장면이 더더욱 우울한 이유는 이러한 상태로 이미 2년이란 시간이 지나가게 되어 돌아가기도 쉽지 않다는 것 때문이다. 그들은 마치 박제된 것처럼 현실을 외면하고 현실에 어떻게든 집중을 해보려고 한다.
그래서 조명 또한 이전에는 약간의 희망이나 밝음을 표현하려고 했다면, 4막부터는 절제되고 차가운 느낌이 더욱 강조되어야 하지 않을까 싶다.
장면
4막 2장
장소/시간
소린 저택의 응접실, 저녁
등장인물
아르카지나, 트레플료프, 트리고린, 먀스, 메드베젠코, 폴리나, 도른
분위기
애써 참는, 태연한, 알 수 없는
극적행동
트리고린을 애써 침착하게 맞아들이는 트레플료프
이미지
가짜 평화, 임시 휴정을 논하는 정상회담
UNIT
1) 트리고린과 다시 만나는 트레플료프
2) 박제했던 갈매기를 기억하지 못하는 트리고린
3) 아무렇지 않게 도박을 하는 사람들과 그 사이에 끼지 않는 트레플료프
NOTE
앞서 장면에서 트레플료프는 최대한 담담하게 니나의 근황을 전하려고 했다. 그리고 니나의 인생을 망쳤다고 할 수 있는 당사자가 자신의 어머니와 함께 영지로 돌아왔다. 그리고 자신과 이야기를 나눈다. 트레플료프의 절망감이 얼마나 클지 상상도 할 수 없는 대목이라고 생각한다.
이 장면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박제된 갈매기에 대해서 전혀 기억하지 못하는 트리고린의 모습이라고 생각한다. 그가 주변에서 벌어지는 일이나 관계에 대해서 작품 소재 이상으로 생각하지 않는 대목으로 보인다. 혹은, 정말로 한때는 정말 관심이 있었다 하더라도 금새 관심이 바뀌게 되며 잊어버린 모습일 수도 있다.
그리고 그러한 모습은 트리고린 뿐만 아니라 주변 사람들에게서도 보인다. 아르카지나의 제안에 따라 도박하는 사람들의 모습은 과거나 현실을 잊으려는 시도처럼 보일 수 있다.
하지만 그런 그들과 동떨어져 있는 트레플료프는 도무지 그럴 수 없다. 그래서 조명을 통해 이들이 섞일 수 없는 인간이라는 것을 보여줄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장면
4막 3장
장소/시간
소린 저택의 응접실, 저녁
등장인물
트레플료프, 니나, 도른, 메드베젠코, 야코프, 아르카지나, 폴리나, 마샤, 샤므라예프, 트리고린
분위기
돌이킬 수 없는, 단절된, 절망적인
극적행동
트레플료프와 니나의 갈등
이미지
들판에서 벼락에 맞아 불타고 있는 나무
UNIT
1) 니나와 극적으로 재회하는 트레플료프
2) 니나에게 사랑 고백을 하지만 받아들이지 못하는 니나
3) 끝내 자살하는 트레플료프
NOTE
니나와 극적으로 재회한 트레플료프는 이것이 마지막 기회하고 생각했을 수 있다. 트리고린과 달리 그는 니나를 이해할 수 있고, 받아들일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니나는 오히려 그런 그에게 다가갈 수 없다. 니나는 자신조차 자신을 용서하지 못했기 때문에 자신을 받아들이려는 트레플료프를 끝내 거절하게 된다.
지금까지 극의 분위기는 어긋남의 지속이었다면 여기서는 완벽하고도 깔끔하게 단절되는 부분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그것은 연극의 마지막 장이라는 점에도 잘 부합한다. 트레플료프는 사람들이 보는 앞에서 자살을 하지 않는다. 자신이 갈매기를 사냥하는 모습을 사람들 앞에서 보여주지 않았던 것처럼, 자신 역시 보이지 않는 곳에서 자살을 한다. 심지어 이번에는 시체조차 사람들에게 드러나지 않는다.
트레플료프가 자살을 할 때 조명을 무대 조명에서 잠시 형광등 빛으로 바꾸면 어떨까 생각해보았다. 극중 인물들은 모든 현실을 외면하고 벗어나려 하지만, 현실의 느낌을 주는 형광등을 통해서 결코 그럴 수 없다는 것을 깨달아야 하기 때문이다. 트레플료프의 자살이 주는 느낌은 그러하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형광등으로 바뀌었다가 다시 무대조명으로 돌아와 극중 인물들의 표정을 하나하나 확실하게 보여주면 서서히 암전되고 막이 내리는 방향으로 설계를 하면 좋을 것 같다.
  • 가격4,9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24.10.28
  • 저작시기2024.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4424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