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Ⅱ. 본론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지 않을까 생각한다. 그리고 그것이 필자가 믿는 건전한 사회의 작동방식이다.
Ⅲ. 결론
아쉽게도 필자의 이런 생각과 달리 여전히 사회에서는 청소년이 사회 참여를 하는 것에 대해서 안 좋게 보는 경향이 있는 것 같다. 2019년 당시에 울산과 대구광역시에서 ‘청소년의회조례’가 통과하지 못했던 사례가 있었다. 그 이유는 청소년들이 정치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정치적으로 잘못 사용될 위험이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었다. 하지만 그들이 주장하는 정치적이라는 것은 과연 무엇일까? 자신들과 다른 의견을 내면, 자신들이 원하지 않는 방향의 의견을 내면 그것이 그들이 말하는 ‘정치적인’ 사안이 되는 것일까?
원래 정치와 민주주의라는 것은 뜻이 통하지 않는 여러 사람이 모여 최대한 의견을 모아 사회가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만약에 모두가 한 사람의 뜻대로 움직이고 그 외의 의견은 모두 배척해버린다면 이는 독재와 다를 바가 없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그러한 협의에는 재산이나 나이, 직업 등이 걸림돌로 작용해서는 절대 안 된다.
요즘 인터넷에서 사용하는 단어 중에 청소년들을 얕잡아 부르는 ‘잼민이’라는 단어가 있다. 이는 단순히 청소년을 귀엽게 부르는 것이 아니라, 그들이 뭔가 잘 모르고 유아적인 행동을 한다는 프레임을 씌운다. 이러한 분위기가 계속된다면 청소년들의 사회 참여가 더 어려워진다고 생각한다. 우리부터 먼저 반드시 생각을 바꿔야 한다.
Ⅳ. 참고문헌
청소년참여기구 안내, 청소년참여포털https://www.youth.go.kr/ywith/ibuilder.do?menu_idx=16
정책제안 Y-Change, 청소년참여포털https://www.youth.go.kr/ywith/prp/view.do?menu_idx=5&prpReqIdx=462
청소년 정책보단 청소년 주체가 필요하다, 공현 청소년인권운동연대 지음 활동가, 프레시안, 2024.04.19. 입력https://www.pressian.com/pages/articles/2024041914561783791?utm_source=naver&utm_medium=search
선거권을 빼앗긴 청소년들의 참정권을 위해, 공현 청소년인권운동연대 지음 활동가, 프레시안, 2020.02.28. 입력https://www.pressian.com/pages/articles/280587?no=280587&utm_source=naver&utm_medium=search
Ⅲ. 결론
아쉽게도 필자의 이런 생각과 달리 여전히 사회에서는 청소년이 사회 참여를 하는 것에 대해서 안 좋게 보는 경향이 있는 것 같다. 2019년 당시에 울산과 대구광역시에서 ‘청소년의회조례’가 통과하지 못했던 사례가 있었다. 그 이유는 청소년들이 정치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정치적으로 잘못 사용될 위험이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었다. 하지만 그들이 주장하는 정치적이라는 것은 과연 무엇일까? 자신들과 다른 의견을 내면, 자신들이 원하지 않는 방향의 의견을 내면 그것이 그들이 말하는 ‘정치적인’ 사안이 되는 것일까?
원래 정치와 민주주의라는 것은 뜻이 통하지 않는 여러 사람이 모여 최대한 의견을 모아 사회가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만약에 모두가 한 사람의 뜻대로 움직이고 그 외의 의견은 모두 배척해버린다면 이는 독재와 다를 바가 없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그러한 협의에는 재산이나 나이, 직업 등이 걸림돌로 작용해서는 절대 안 된다.
요즘 인터넷에서 사용하는 단어 중에 청소년들을 얕잡아 부르는 ‘잼민이’라는 단어가 있다. 이는 단순히 청소년을 귀엽게 부르는 것이 아니라, 그들이 뭔가 잘 모르고 유아적인 행동을 한다는 프레임을 씌운다. 이러한 분위기가 계속된다면 청소년들의 사회 참여가 더 어려워진다고 생각한다. 우리부터 먼저 반드시 생각을 바꿔야 한다.
Ⅳ. 참고문헌
청소년참여기구 안내, 청소년참여포털https://www.youth.go.kr/ywith/ibuilder.do?menu_idx=16
정책제안 Y-Change, 청소년참여포털https://www.youth.go.kr/ywith/prp/view.do?menu_idx=5&prpReqIdx=462
청소년 정책보단 청소년 주체가 필요하다, 공현 청소년인권운동연대 지음 활동가, 프레시안, 2024.04.19. 입력https://www.pressian.com/pages/articles/2024041914561783791?utm_source=naver&utm_medium=search
선거권을 빼앗긴 청소년들의 참정권을 위해, 공현 청소년인권운동연대 지음 활동가, 프레시안, 2020.02.28. 입력https://www.pressian.com/pages/articles/280587?no=280587&utm_source=naver&utm_medium=search
추천자료
청소년특별회의 청소년참여위원회 청소년운영위원회를 법적 기준 역할 기능에 대해서 비교 설...
2020년 2학기 청소년인권과참여 기말시험 과제물(청소년인권 관련 쟁점 설명 등)
우리나라의 청소년 참여기구를 설명하고 장단점을 설명하시오.
2021년 2학기 청소년육성제도론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지방자치단체의 청소년정책)
아동복지론 ) 유엔아동권리협약의 일반원칙에 대해 설명하시오
4청소년활동론 ) 지역사회청소년개발(Community youth development)의 개념과 특징에 대해서 ...
체육지도_생활체육 활성화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 또는 운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