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지역사회청소년개발(Community youth development)의 개념과 특징에 대해서 간략하게 설명하시오(20점).
(1) 청소년 참여 및 정책
(2) 지역사회 청소년개발의 개념 및 특징
2. 현재 우리나라에서 시행되고 있는 청소년참여활동 중 청소년특별회의, 청소년참여위원회, 청소년운영위원회의 개념과 특징에 대해서 설명하고, 각각의 참여활동의 운영현황과 문제점 및 활성화 대책에 대해 논하시오(50점).
(1) 청소년 특별회의 개념 및 특징
(2) 청소년참여위원회 개념 및 특징
(3) 청소년운영위원회 개념 및 특징
(4) 운영현황과 문제점
① 청소년 특별회의
② 청소년참여위원회
③ 청소년운영위원회
(5) 청소년참여기구의 개선방안
3. 출처 및 참고문헌
(1) 청소년 참여 및 정책
(2) 지역사회 청소년개발의 개념 및 특징
2. 현재 우리나라에서 시행되고 있는 청소년참여활동 중 청소년특별회의, 청소년참여위원회, 청소년운영위원회의 개념과 특징에 대해서 설명하고, 각각의 참여활동의 운영현황과 문제점 및 활성화 대책에 대해 논하시오(50점).
(1) 청소년 특별회의 개념 및 특징
(2) 청소년참여위원회 개념 및 특징
(3) 청소년운영위원회 개념 및 특징
(4) 운영현황과 문제점
① 청소년 특별회의
② 청소년참여위원회
③ 청소년운영위원회
(5) 청소년참여기구의 개선방안
3.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운영과 지원을 하고 있다. 청소년운영위원회는 수련시설의 전용공간을 확보하고 환경 개선과 프로그램 모니터링 및 관련 정책 제안, 참여, 평가, 홍보활동 등을 통해서 다양한 성과를 내고 있다. 또한, 2012년부터 해마다 전국 청소년운영위원회 대표가 워크숍을 개최하면서 활성화 방안을 함께 모색하고, 참여하고 있는 청소년들의 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있다. 한편, 청소년운영위원회 활성화를 위해서 2013년부터 전국 청소년운영위원회를 대상으로 해마다 5개소씩 우수 청소년운영위원회를 선발하고, 그에 따른 운영 결과와 성과를 전국의 청소년운영위원회가 공유하여 정책 의논을 하고 있다.
청소년운영위원회가 실제 활동에서 발생하고 있는 문제점은 청소년참여기구의 공통적인 문제점이기도 하다. 참여기구 간에 차별점과 정체성이 불분명하고 청소년 친화적인 시설운영을 목적으로 설립되었지만, 극도의 일부 시설에서만 성과를 보여 기구 발전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대부분 청소년의 실질적인 참여가 보장되지 못하고 있다. 청소년운영위원회는 법과 시행령에 근거하여 운영되고 있지만, 실질적으로는 청소년운영위원회에서 주어지는 권한이 불분명하고 각 시설의 운영대표자나 운영을 지원하는 담당자가 청소년운영위원회의 역할을 명확하게 인지하지 못하고 자치조직의 형태로 운영하는 것에서 보인다.
(5) 청소년참여기구의 개선방안
우선 3가지의 청소년참여기구의 공통적이며 제일 큰 문제점은 각 기구 간에 역할 확립이 제대로 되어있지 않아 정체성이 모호하다는 것이다. 그리고 청소년의 참여율도 굉장히 저조한 것이 현실이다. 먼저 청소년 특별회의는 청소년과 지도 및 전문가 그리고 정부의 명확한 역할분담이 필요하다. 범정부적인 성격에 맞게 책임자의 참여를 의무화시키고 정책의제를 단순화하고 전국적으로 공론이 필요하며, 정책반영결과에 대한 모니터링과 피드백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청소년참여위원회는 정책 결정 과정의 참여기회를 확보할 수 있도록 도모하고 그에 따른 정책 반영을 강화해야 한다. 또한, 청소년 전담공무원 제도를 확대하고 지역사회와 학교, 관련된 기관과 연계를 하도록 정책을 마련하는 방법도 있다. 청소년운영위원회의 역할과 권한과 관련된 표준화 지침이나 규정은 “청소년운영위원회 평가위원회”가 정한 “청소년운영위원회 운영 매뉴얼”뿐이며 교육이나 연수는 미비하게 추진되고 있어서 기본적인 역할과 권한, 운영방안과 관련된 교육훈련을 확대하고 운영지침을 하루빨리 마련해야 할 것이다. 또한, 담당 지도자의 전문성을 필수적으로 따지고 지속성을 강화하며, 시설운영대표자의 안정적인 지지를 확보하는 것으로 해결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이후에 각 청소년참여기구의 기능과 역할이 체계적으로 잡힌다면 청소년 참여를 활성화하여 원활하게 돌아가도록 해야 한다.
3. 출처 및 참고문헌
· 여성가족부, 2020 청소년백서
· 심은경. \"일반청소년과 청소년운영위원의 생활역량 비교분석.\" 국내석사학위논문 동의대학교 대학원, 2011. 부산 http://www.riss.kr/link?id=T12304136
· 청소년참여포털, 청소년참여기구
https://www.youth.go.kr/ywith/ibuilder.do?menu_idx=16
· 최창욱,전명기,and 김윤희. \"청소년참여기구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 (2013): 1-251. http://www.riss.kr/link?id=A100304319
· 조금주(Cho Kum-Ju). \"청소년 참여기구 운영상 문제점 및 개선 방안.\" 청소년학연구 24.1 (2017): 355-376. http://www.riss.kr/link?id=A102952659
청소년운영위원회가 실제 활동에서 발생하고 있는 문제점은 청소년참여기구의 공통적인 문제점이기도 하다. 참여기구 간에 차별점과 정체성이 불분명하고 청소년 친화적인 시설운영을 목적으로 설립되었지만, 극도의 일부 시설에서만 성과를 보여 기구 발전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대부분 청소년의 실질적인 참여가 보장되지 못하고 있다. 청소년운영위원회는 법과 시행령에 근거하여 운영되고 있지만, 실질적으로는 청소년운영위원회에서 주어지는 권한이 불분명하고 각 시설의 운영대표자나 운영을 지원하는 담당자가 청소년운영위원회의 역할을 명확하게 인지하지 못하고 자치조직의 형태로 운영하는 것에서 보인다.
(5) 청소년참여기구의 개선방안
우선 3가지의 청소년참여기구의 공통적이며 제일 큰 문제점은 각 기구 간에 역할 확립이 제대로 되어있지 않아 정체성이 모호하다는 것이다. 그리고 청소년의 참여율도 굉장히 저조한 것이 현실이다. 먼저 청소년 특별회의는 청소년과 지도 및 전문가 그리고 정부의 명확한 역할분담이 필요하다. 범정부적인 성격에 맞게 책임자의 참여를 의무화시키고 정책의제를 단순화하고 전국적으로 공론이 필요하며, 정책반영결과에 대한 모니터링과 피드백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다음으로 청소년참여위원회는 정책 결정 과정의 참여기회를 확보할 수 있도록 도모하고 그에 따른 정책 반영을 강화해야 한다. 또한, 청소년 전담공무원 제도를 확대하고 지역사회와 학교, 관련된 기관과 연계를 하도록 정책을 마련하는 방법도 있다. 청소년운영위원회의 역할과 권한과 관련된 표준화 지침이나 규정은 “청소년운영위원회 평가위원회”가 정한 “청소년운영위원회 운영 매뉴얼”뿐이며 교육이나 연수는 미비하게 추진되고 있어서 기본적인 역할과 권한, 운영방안과 관련된 교육훈련을 확대하고 운영지침을 하루빨리 마련해야 할 것이다. 또한, 담당 지도자의 전문성을 필수적으로 따지고 지속성을 강화하며, 시설운영대표자의 안정적인 지지를 확보하는 것으로 해결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이후에 각 청소년참여기구의 기능과 역할이 체계적으로 잡힌다면 청소년 참여를 활성화하여 원활하게 돌아가도록 해야 한다.
3. 출처 및 참고문헌
· 여성가족부, 2020 청소년백서
· 심은경. \"일반청소년과 청소년운영위원의 생활역량 비교분석.\" 국내석사학위논문 동의대학교 대학원, 2011. 부산 http://www.riss.kr/link?id=T12304136
· 청소년참여포털, 청소년참여기구
https://www.youth.go.kr/ywith/ibuilder.do?menu_idx=16
· 최창욱,전명기,and 김윤희. \"청소년참여기구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 (2013): 1-251. http://www.riss.kr/link?id=A100304319
· 조금주(Cho Kum-Ju). \"청소년 참여기구 운영상 문제점 및 개선 방안.\" 청소년학연구 24.1 (2017): 355-376. http://www.riss.kr/link?id=A102952659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