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복지의 접근 방법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청소년복지의 접근 방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청소년복지의 접근 방법

Ⅰ. 청소년에 대한 3대 접근 방법

Ⅱ. 사회복지의 3대 관점과 청소년복지의 접근법

1. 사회복지의 3대 관점
2. 청소년복지의 접근법

Ⅲ. 청소년복지의 적극적 관점: 청소년개발과 강점관점

1. 청소년개발
2. 강점관점

* 참고문헌

본문내용

하고 있다.
최근 청소년개발은 아동복지와 청소년 사회복지 분야에 응용되고 있다 Melpienano(맬
피그나노)와 Collins(콜린스, 2003)에 의하면, \"아동복지제도에서 아동과 청소년을 다루는 데 관련된 발전 상황은 전체 청소년이 성공적 살의 성과를 성취하도록 돕는 적극적 청소년
개발의 원리로 증대되었다\". 정신보건(mental health) 분야에서도 청소년개발 원리에 바탕한 청소년참여를 확대하는 관심이 계속 진전되고 있다(Matarese et al., 2005).
2) 강점관점(strengths perspective)
청소년복지의 접근과 관련하여 청소년개발과 함께 강점관점이 중요하게 논의되고 있음
을 알 수 있다(김성이 외, 2010). 강점(strengths)라는 용어는 청소년 분야의 오랜 역사 동안 사용되어 왔지만, 그것이 하나의 관점으로서 개념화되어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1980년대 이후 사회복지 분야에서 나타나기 시작했다고 볼 수 있다(Cheon, 2009).
사회복지는 그동안 청소년들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그 접근법에서 지나치게 정신분석학적 치료적 정신보건적 문제 진단과 해결을 중심으
로 전개되어 왔음이 사실이다. 이에 따라 문제중심, 결함중심의 견해와 실천에 대해서는
지속적인 비판이 전개되어 왔으며 아동 청소년과 관련한 기존의 문제중심의 관점에 대
해서도 청소년기 자체를 병리학적으로 이해하도록 촉진한 것으로 비난받기 시작하였다.
예컨대, Goldstein(골드스타인, 1990)은 병리학 접근은 인간 상태의 복잡성을 진단표의
즘은 칸으로 축소해 버리는 경향이 있다고 지적하였다. Weick(와익), Rapp(랩), Sullivan(설
리반) 및 Kistrdt(키스타르트) (1989) 등은 이러한 문제중심 실천에 따른 문제점을 3가지로
요약하였다. \"(1) 문제는 반드시 영향을 받는 당사자의 결함 또는 무능으로 보이게 한다.
(2)문제의 본질은 전문가들에 의해 정의된다. (3)문제의 핵심에 있는 결점을 극복하는 방
향으로 치료가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함관점에 대한 비판과 함께 기존의 부정적 관점들은 새로운 관점 내지 실천
모델들에 의해서도 계속적으로 도전받았다. 특히 생태적 모델과 힘 부여
모델(empowerment model)은 이러한 기존의 결함적 정향에 대한 도전적인 관점으로 큰 관
심을 받게 되었다(Lee, 2001). 특히 최근에 강조되어 온 적극적인 접근법으로서의 강점관
점은 \"사람들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변화할 수 있으며 자원에 동등하게 접근해야 한다\"
는 (Chapin, 1995, P. 507) 신념에 뿌리를 두고 있다.
강점이란 개념이 다양한 형태로 표현되었지만, Saleebey(세리비, 2005)는 강점관점의 본질은 \"3P\" 가망성, 가능성, 긍정적 기대, \"3C\" 역량, 능력(capacities), 용기(courage), 그리고 \"3R\" 즉, 레질리언스(resilience), 준비성(reserve), 자원(resources)으로 제시하였다.
강점관점이 전제하는 것은 개인들은 정신질환 같은 역경에도 불구하고 문제를 넘어서 삶을 이끌어갈 수 있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청소년개발과 강점관점 등은 기존의 문제중심의 관점에 대한 비판으로부터
대두되고 발전되어 왔다. 이 점에서 기존의 청소년에 대한 접근은 점차 적극적 관점으로
전환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천정용, 이용교, 2007). 적극적 관점의 관심과 중요성은 특히 아동복지, 소년사법, 정신보건(mental health) 문제 등의 청소년문제와 관련된 영역은 물론, 아동인권(child rights) 분야와 방과 후 활동(after-school programs), 지역사회 청소년개발
(community youth development), 청소년참여(youth participation) 등의 청소년활동과 관련한 여러 분야로 더욱 확대되어 가고 있다. 적극적 관점은 이러한 모든 영역에서 청소년의 발달, 삶의 질, 건강과 복리를 증진하고 옹호하는 동일한 방향으로 나아가도록 하는 기반이 되고 있기 때문이다.
* 참고문헌
- 김성이 외(2010). 청소년복지학. 양서원
- 김진화 외(2003). 청소년 문제행동론. 학지사
- 이용교, 천정웅(2009). 청소년인권과 참여. 양서원
- 한창설(2008). 청소년학: 이해와 지도. 학지사
- 박철현(2010). 사회문제론: 이론, 실태, 지구적 시각. 박영사
- 장일순(2007). 청소년사회학. 학문사

키워드

영향,   요인,   정의,   개념,   문제점,   배경,   방안,   현황

추천자료

  • 가격2,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1.07.11
  • 저작시기2011.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894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