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인본주의상담
2. 인본주의상담을 ‘제3의 심리학’이라고 부르는 이유
3. 나의 의견
Ⅲ. 결론
참고문헌
Ⅱ. 본론
1. 인본주의상담
2. 인본주의상담을 ‘제3의 심리학’이라고 부르는 이유
3. 나의 의견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인은 ‘잠재성을 실현하는 것’, 즉 그들의 잠재성을 충족시키기 위해 창의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고 제시했다. 로저스에 의하면, 변화와 성장의 기본적인 과정은 상담자들이 내담자에게 스스로 탐색을 할 수 있도록 수용적이고 안정적인 분위기를 제공할 때 촉진된다. 이는 상담자가 상담 장면에서 상담자의 역할 뒤에 숨어 있기보다는 모든 것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일 때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과 인식을 통해 내담자는 긍정적인 존중을 경험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이런 관계가 형성되면 내담자는 민감하게 자기 신발을 신고 걸어가는 것처럼 내적 세계와 조율하게 된다. 로저스는 성격 변화를 위한 ‘필요충분조건’이 있음을 주장했다. 치료자가 돌봄과 이해를 바탕으로 내담자의 실제를 경험할 때, 의미 있고 지속적인 변화가 나타날 수 있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인본주의상담을 제3의 심리학이라고 부르는 이유를 설명해 보았다. 21세기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은 과거 세대들이 경험하지 못했던 다양하고도 복잡한 사회생활 속에서 심적 긴장과 갈등을 겪으며 살아가고 있다. 그들은 급속도로 변화되는 주변 환경으로 인해 자기 정체성을 잃어버리고 있다. 따라서 변화에 대한 적응 부족과 적응에 따른 스트레스, 정보기술의 발달과 인간관계에서 오는 상처, 불신감과 그로 인한 피상적인 인간관계와 폐쇄적 자아는 수많은 심각한 ‘군중 속의 고독’한 자들을 양산하고 있다. 이에 21세기는 ‘상담의 시대’라고 할 정도로 많은 상담들이 소개되어지고 있다. 상담의 위력은 크기에 어떤 세계관을 가진 상담자를 만나느냐에 따라 내담자들의 인생이 변화되곤 한다. 그러나 훌륭한 상담자의 수요 급증과 상담의 위력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는 아직 건전한 상담문화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상담을 원하지만 막상 상담소나 상담자를 찾는 것을 주저한다. 또한 갑자기 늘어난 상담소나 상담자들은 거의가 인본주의적 상담이다. 인본주의적 상담의 핵심은 인간은 스스로 모든 문제의 해답을 가지고 있다고 보고 비지시적 상담방법을 취한다. 그 결과 마지막 한 가닥 지푸라기라도 잡으려는 자들이 상담기피현상으로 극단적인 혼란과 좌절을 겪고 있는 것이 우리나라의 현실이다.
참고문헌
권석만, 『현대심리치료와 상담이론』, 학지사, 2012.
박성희, 『상담과 상담학』, 학지사, 2001.
홍경자, 『상담의 과정』, 학지사, 2001.
천성문 외, 『상담심리학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11.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인본주의상담을 제3의 심리학이라고 부르는 이유를 설명해 보았다. 21세기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은 과거 세대들이 경험하지 못했던 다양하고도 복잡한 사회생활 속에서 심적 긴장과 갈등을 겪으며 살아가고 있다. 그들은 급속도로 변화되는 주변 환경으로 인해 자기 정체성을 잃어버리고 있다. 따라서 변화에 대한 적응 부족과 적응에 따른 스트레스, 정보기술의 발달과 인간관계에서 오는 상처, 불신감과 그로 인한 피상적인 인간관계와 폐쇄적 자아는 수많은 심각한 ‘군중 속의 고독’한 자들을 양산하고 있다. 이에 21세기는 ‘상담의 시대’라고 할 정도로 많은 상담들이 소개되어지고 있다. 상담의 위력은 크기에 어떤 세계관을 가진 상담자를 만나느냐에 따라 내담자들의 인생이 변화되곤 한다. 그러나 훌륭한 상담자의 수요 급증과 상담의 위력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는 아직 건전한 상담문화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상담을 원하지만 막상 상담소나 상담자를 찾는 것을 주저한다. 또한 갑자기 늘어난 상담소나 상담자들은 거의가 인본주의적 상담이다. 인본주의적 상담의 핵심은 인간은 스스로 모든 문제의 해답을 가지고 있다고 보고 비지시적 상담방법을 취한다. 그 결과 마지막 한 가닥 지푸라기라도 잡으려는 자들이 상담기피현상으로 극단적인 혼란과 좌절을 겪고 있는 것이 우리나라의 현실이다.
참고문헌
권석만, 『현대심리치료와 상담이론』, 학지사, 2012.
박성희, 『상담과 상담학』, 학지사, 2001.
홍경자, 『상담의 과정』, 학지사, 2001.
천성문 외, 『상담심리학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11.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