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 심방세동 Case study(간호과정, 간호진단) A+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인간호학 심방세동 Case study(간호과정, 간호진단) A+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문헌고찰
1. 심장의 구조와 기능
1) 심장의 위치
2) 심장의 기본구조
3) 심장의 기능
4) 심전도 체계
2. 심방세동
1) 정의
2) 원인
3) 증상
4) 진단
5) 합병증
6) 치료 및 간호

Ⅲ. 본론
1. 대상자 간호정보조사지
2. 대상자 진단검사
3. 대상자 임상검사
4. 대상자 투약
5. 대상자 간호과정

Ⅳ. 결론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발생 시 즉시 의료진에게 보고하도록 한다.
1. 활력징후는 대상자의 기본적 상태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출혈 시 순환 혈량 감소로 혈압이 떨어지고 이의 보상 기전으로 심박동수가 빨라져 빈맥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이를 더욱 주의 깊게 사정해야한다.
2. 육안으로 출혈이 확인되지 않는다고 해도 이러한 수치의 변화는 출혈의 징후를 의미할 수 있으며 수혈의 필요성, 효과를 판단하는 근거가 된다.
3. 건강한 사람도 외부의 충격, 타박상 등으로 멍이 들거나 조금의 출혈을 경험할 수는 있으나 특별한 이유없이 신체의 여러 부분에 자주 멍, 혈종, 점상출혈 등이 발생하는 것은 혈액 응고에 문제가 있음을 의미할 수 있으며, 피부 손상 부위가 지혈이 되지 않고 지속적인 출혈 또한 혈액 응고 장애를 의미하므로 적절한 중재가 요구된다.
4. 혈소판제제는 지혈 및 출혈 예방을 목적으로 한다.
5. 물리적으로 국소부위 혈액의 흐름을 막아 상처 부위의 clot형성(굳음)을 도움으로써 지혈을 촉진한다.
6. 변비로 인한 딱딱하고 마른 대변은 직장, 항문의 점막을 자극하여 배변 시 출혈을 일으킬 수 있다. 수분과 섬유소 섭취는 변의 부피를 늘리고 양상을 부드럽게 하여 배변을 쉽게 하므로 변비를 예방한다.
7. 출혈 발생 시 조기 중재가 가능하고 그리하여 출혈 시 발생가능한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다.
간호수행(Nursing intervention)
<진단적 간호수행>
1. 2시간마다 대상자의 활력징후를 사정하고 특히 혈압과 맥박변화를 주의깊게 관찰하였다.
10/29
10시
10/29
11시
10/29
12시
10/29
13시
10/29
14시
10/29
15시
10/29
16시
혈압
138/97
124/85
132/89
117/86
104/84
133/87
136/97
맥박
114
102
121
103
110
123
108
체온
37.70
37.20
37.30
37.0
37.30
37.40
37.10
O2
100%
100%
100%
100%
100%
99%
100%
2. 주기적인 lab검사를 하여 hematocrit (Hct), hemoglobin (Hgb) 또한 BUN/Cr검사 결과를 사정하였다.
3. 대상자의 피부나 점막의 점상 출혈(petechiae), 멍, 혈종(hematoma)형성 유무를 사정하였다.
<치료적 계획 수행>
4. 처방에 따라 혈소판제제를 수혈하였다.
5. 채혈, 정맥주사 바늘 제거 등 침습적인 처치 후의 상처에 작게 접은 거즈나 멸균 솜을 대고 5~10분 지혈이 될 때까지 눌러주었다.
<교육적 계획 수행>
6. 대상자와 보호자에게 수분섭취, 곡물이나 채소와 같이 섬유소가 풍부한 음식 섭취 등 변비예방을 위한 방법을 교육하지 못하였다.
→ 대상자의 의식상태는 의사소통이 불가함으로, 교육하지 못하였다.
7. 대상자에게 출혈 또는 의식변화나 창백, 빈호흡, 발한과 같은 출혈의 징후 발생 시 즉시 의료진에게 보고하도록 교육하지 못하였다.
→ 대상자의 의식상태는 의사소통이 불가함으로, 교육하지 못하였다.
간호평가
<장기목표 평가>
1. 대상자는 퇴원전까지 출혈이 발생하지 않는다. (O)
→ 대상자는 출혈이 현재 없는 상태이다.
<단기목표 평가>
1. 대상자는 일주일전까지 활력징후가 정상범위에서 측정된다. (X)
2. 대상자는 3일전까지 멍이 더 이상 생기지 않는다. (O)
Ⅳ. 결론
우선 실습을 진행하면서 가장 열심히 공부하고 자료를 모앗던 케이스 였다는 생각이 들었다. 심장에 관해서는 케이스가 많이 없었고, 간호 진단 또한 많이 없었기 때문에 어려움이 많았다. 중환자실에서도 자주 보기 힘든 환자였기 때문에 간호사 선생님께서 왜 이렇게 어려운 환자를 케이스로 잡으려고 하냐고 물어보실 정도 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실습에 들어오기 전부터 꼭 공부하고 싶었던 심장에 대하여 심도 있는 공부를 진행할 수 있어서 좋았으며, 나아가 심방세동, 부정맥에 대해서도 알 수 있던 아주 유익한 시간이었 던 것같다. 심장은 우리 몸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간호사 선생님들이 물어보는 것을 굉장히 잘 설명해 주셔서 케이스를 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으며, 어렵다고만 생각했던 EKG를 중환자실 실장님께서 교육 해주셔서 EKG 해석하는 방법을 완벽하지는 않지만 어느정도 볼 수 있게 되었다는 점에서 정말 얻은 것이 많은 유익한 시간이었던 것 같다.
내가 잡은 케이스 환자분은 arrest가 3번정도 일어났고, 심장이 너무 안 좋아서 곧 다른 병원으로 이송한다고 하였다. 들은바로는, 인공 심장박동기를 삽입한다고 하였다. 내가 문헌고찰에서 배운 내용들이 EMR을 보면서 무슨 증상이 있었는지, 어떤 진단으로 내려졌는지, 무슨 치료를 했는지 한 눈에 볼 수있어서 좋았었다.
앞으로 공부를 더 열심히 하여서 향후, 똑똑한 간호사가 되겠다는 생각을 하였다.
Ⅴ. 참고문헌
1. 성인간호학 상, 하(2018)/ 현문사/ 황옥남 외
2. 포널스\'s 포켓시리즈 간호진단 (2010)/ 포널스출판사/ 김정애
3. 비판적 사고를 이용한 간호과정의 적용 (2016)/ JMK
4. 나이팅게일핸드북(2016)/ 대한남자간호학교수협의회 편저/ 포널스
5. 최신기본간호학 1, 2(2017)/ 수문사/ 손경애 외
6. 개정된 난다 간호진단 목록 (2015-2017): Nursing Diagnoses 2015-2017/ Definitions and Classification, 10th Edition (NANDA International)
7. 심방세동의 증상 및 진단, 치료의 모든 것 / 부정맥 명의 삼성 메디컬센터 순환기내과 김준수 교수
8. 조영숙 외. (2013). 성인간호학 하권(제 6판). 서울: 현문사.
9. 의학 잡지 20호 심방세동. 삼성의료원. 정태호 내과
10. 심방세동 혹은 심방조동에 대한 수술요법 : Kosakai maze 수술의 임상적 연구 = Surgical treatment of atrial flutter and fibrillation ; A clinical analysis of Kosakai maze operation
11. 생리학 <2010, 수문사>
12. 간호사를 위한 해부학 <2010, 수문사>
  • 가격3,500
  • 페이지수27페이지
  • 등록일2024.11.15
  • 저작시기2024.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6163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