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서론
2. 본론
2.1) 연역적 논리
2.2) 귀납적 논리
3. 결론
4. 참고문헌
1. 서론
2. 본론
2.1) 연역적 논리
2.2) 귀납적 논리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 그럼에도 연역적 추론에 비해 귀납적 추론은 보다 수월히 지식을 확장할 수 있기 때문에 과학계의 중요한 도구로 자리잡아 있다. 그렇지만 항상 귀납적으로 추론된 사실을 참이라고 맹신한다면 잘못된 결과가 도출될 가능성이 있다. 극단적인 예시로, 1, 3, 5, 7 이후에 올 수가 9라고 예측하기 쉽지만, 217341이 오더라도 수학적으로 아무런 문제가 없는 수열이다. 줄여 말한다면, 연역적 추론은 필연적 논증, 귀납적 추론은 개연적 논증이라고 할 수 있다. 연역, 귀납 모두 장단점을 가지기에, 구체적인 상황에서 결합시켜 응용해야 한다. 이러한 보완적인 사용은 정확하며 신뢰성 있는 결론 도출에 적절하고, 타인에게 결론을 납득시킴에 있어서도 중요하다. 이는 특히 과학적 연구 방법을 사용한 연구 논문 및 이를 대중에게 인식시킴에 있어서, 혹은 연구자들의 논문을 평가하는 저널에서는 올바른 결론 도출 과정을 거쳤는지 확인하는 수단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4. 참고문헌
정인교. (1993). 연역적 방법과 귀납적 방법 : 정당화를 위한 서론. 철학연구회. 32. 155-179
이영철. (2016). 연역과 귀납의 구분 기준에 관하여. 철학연구회. 115. 55-79
4. 참고문헌
정인교. (1993). 연역적 방법과 귀납적 방법 : 정당화를 위한 서론. 철학연구회. 32. 155-179
이영철. (2016). 연역과 귀납의 구분 기준에 관하여. 철학연구회. 115. 55-79
추천자료
양적조사와 질적조사의 유형
[사회복지조사론] 사회조사방법에 기본개념들 - 과학적 이론의 정의와 사회과학 이론 특성, ...
사회복지 조사의 논리체계를 기술하고 그 중 한 가지를 선택하여 예시를 들어 설명하시오.
사회복지조사론) 과학적 논리의 전개방식인 연역법과 귀납법을 비교 설명하시오. (교재에 제...
사회복지조사론] 연역적 논리와 귀납적 논리른 각각 설명하고 그 관계에 대하여 논의하시오
사회복지조사론] 연역적 논리와 귀납적 논리를 각각 설명하고 그 관계에 대하여 논하시오
사회복지조사론] 연역적 논리와 귀납적 논리른 각각 설명하고 그 관계에 대하여 논의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