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실험연구에서의 타당도
1) 내적 타당도
2) 외적 타당도
2. 타당도의 저해요소
1) 내적 타당도의 저해요소
2) 외적 타당도의 저해요소
3. 출처 및 참고문헌
1. 실험연구에서의 타당도
1) 내적 타당도
2) 외적 타당도
2. 타당도의 저해요소
1) 내적 타당도의 저해요소
2) 외적 타당도의 저해요소
3.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 실험절차의 반응적 효과란 실험에 참여한다는 자체가 참여자의 감정, 행동, 태도를 변화시켜 실험변수의 영향이 왜곡되는 경우를 말한다. 예를 들면, 학습태도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검증 실험을 위해 두 반을 선정하여 한 반은 실험집단으로, 다른 반은 통제 집단을 선정했을 때, 실험집단의 학생들은 자신들이 우수하여 선정되었다고 생각하여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할 수 있을 것이다. 실험이라는 특수한 상황으로 프로그램의 효과가 나타났다면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프로그램의 효과가 나타날 것이라고 일반화하기 어렵다.
넷째, 중다처치간섭이란 연구대상자가 여러 가지 처치에 노출된 경우, 특정 처치에 따른 차이가 발견되었다고 결론 내리기 어렵기 때문에 일반화할 수 없다. 예를 들어, 독서지도법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강의식, 토론식, 발표식 방법을 적용한 결과 학생들의 독서 능력이 향상되었다면, 한 가지의 지도법을 적용해서 훈련받은 집단에는 일반화하기 어렵다.
마지막으로 실험자 효과란 실험을 수행하는 사람에 따라 처치 효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이는 실험자가 의도하였든 의도하지 않았든 실험자의 특성이 실험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오염효과를 말한다. 예를 들면, 연구내용을 숙지한 실험자가 실험 중 실험대상자에게 실험 목적을 알도록 하여 실험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이중부지통제 기법을 적용하여 연구내용을 모르는 사람이 실험을 진행하는 방법이 있다.
3. 출처 및 참고문헌
김아영, 차정은, 이채희, 주지은, 임은영 (2016). 혼자 쓰는 연구 논문 : 연구방법론. 서울: 학지사.
넷째, 중다처치간섭이란 연구대상자가 여러 가지 처치에 노출된 경우, 특정 처치에 따른 차이가 발견되었다고 결론 내리기 어렵기 때문에 일반화할 수 없다. 예를 들어, 독서지도법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강의식, 토론식, 발표식 방법을 적용한 결과 학생들의 독서 능력이 향상되었다면, 한 가지의 지도법을 적용해서 훈련받은 집단에는 일반화하기 어렵다.
마지막으로 실험자 효과란 실험을 수행하는 사람에 따라 처치 효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이는 실험자가 의도하였든 의도하지 않았든 실험자의 특성이 실험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오염효과를 말한다. 예를 들면, 연구내용을 숙지한 실험자가 실험 중 실험대상자에게 실험 목적을 알도록 하여 실험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이중부지통제 기법을 적용하여 연구내용을 모르는 사람이 실험을 진행하는 방법이 있다.
3. 출처 및 참고문헌
김아영, 차정은, 이채희, 주지은, 임은영 (2016). 혼자 쓰는 연구 논문 : 연구방법론. 서울: 학지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