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양연화 -미장센. 카메라. 영화속 상징들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들어가기
◈ 영화 `속` 이야기
-상징적 장치들
◈나가기

본문내용

경 차림의 왕가위는 "누구나 인생에는 아픔과 비밀이 있다. 1962년 홍콩은 중국 공산화 후 본토에서 흘러나온 사람들의 드라마로 가득찬 곳이라 내겐 매혹적인 시공간이었다"고 말했다.
왕감독은 이 영화가 출세작 '아비정전' 속편은 아니지만 분명 연속성이 있다고 설명한다. "외로움이 가장 큰 공통점이다. 그러나 그때에 비해 이제 내 주인공들은 모두 결혼을 했고,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고통과 구원을 함께 얻는, 훨씬 더 성숙한 인물이다." 집안에서, 거리에서, 좁은 골목에서, 세로로 여러 조각내는 화면은 극도의 긴장과 갇힌 느낌을 강조한다.
"홍콩의 주거 사정은 극도로 나쁘다. 좁고, 또 여러 사람과 공유하면서 서로가 서로를 염탐하는 분위기를 살리고 싶었다"는 게 그같은 프러덕션 디자인을 도입한 이유다. 이같은 공간감과 함께 장만옥의 부서질듯 섬세한 아름다움, 양조위의 침묵은 긴장과 고통을 더욱 강조한다. 60년대 스탠더드 넘버를 즐겨 사용해온 왕가위는 이 영화에도 냇 킹 콜의 노래를 적절하게 사용하고 있다.
<칸(프랑스)=조선일보 박선이기자 sunnyp@chosun.com>
어느 기자 회견에서 이렇듯 얘기했던 감독의 이야기를 보면서 느끼지 했던 어떤 부분들에 대해 확연히 이해할 수 있었다. #갑갑한 아파트라는 공동 주거 공간 속에서의 그들의 긴장감 #끝까지 얼굴한 번 내비치지 않는 불륜의 당사자들 #이들이 사랑할 수밖에 없었던 각자의 외로움이라는 감정...
내가 이것 저것 세세하게 찾는 사이에 저 모든 감정들은 화면의 구조와 .음악. 색깔로을 통하여 우리의 무의식으로 하여금 느끼게 하는 것들이다.

키워드

  • 가격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1.06.19
  • 저작시기2001.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898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