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어기제 정의와 종류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방어기제의 정의

2. 방어기제의 종류

본문내용

하는 힘과 권위를 찾기 위해서 공격적인 언동을 하고 덤벼드는 성격으로 될 수도 있을 것이며, 또 그런 신체적인 열등감이 깎인 자존심을 찾아 사회적으로 유용한 일을 하려 하고 건설적인 성격을 만들 수도 있을 것이다.
심장의 판막에 병이 있을 때 대상(代償)적으로 심근이 비대해지고, 척추가 굽었을 때 체중의 중심이 빗나가지 않게 그 굽은 척추의 위나 아래가 이차적으로 처음 굽은 쪽과는 반대 방향으로 굽어지는 것처럼, 심리의 대상도 처음의 결함을 메우기 위해서, 마음의 안정과 자존심을 채우기 위해서, 체면을 찾기 위해서 다음의 대상현상이 나타나는 것이다.
▷ 전 이(trasference)
전에 알았던 사람을 최근에 알았던 사람과 동일화하여 전에 알았던 사람에게 쏟던 감정, 가령 사랑과 두려움을 지금의 그 제2의 사람에게 옮기는 감정을 말하며, 정신 치료 때에 환자가 의사에게 느끼는 감정이다. 이 때문에 의사가 환자에게 이성으로 설명 안 되게 좋아도 보이고 밉게도 느껴지는 것이며, 비슷한 현상은 우리의 일상 생활에서도 흔히 일어나는데, 어떤 사람이 까닭 없이 좋고 싫고 한 이유를 잘 알아보면 그 새로 알게 된 사람이 전에 알았던 어떤 사람과 동일화되었음을 알게 된다. 어린 시절에 그 아버지를 무섭게만 알아 왔던 사람이 커서 권위를 상징하는 사람이나 사회 조직에 반항하고 적대시하고 부정적인 태도로 나오리라는 것도 짐작이 가는 일이다.
▷ 공 감(empathy)
일시적이나마 남과 같이 느끼고 그의 경험이나 감정을 이해하려는 건전한 동일화를 공감이라고 한다. 남의 입장에 서서 따뜻한 이해를 하고 느끼는 이심전심의 과정이다.
▷ 함 입
남의 성격의 일부를 삼켜 버리는 것이다. 삼켜 버린 후에는 남에게 향했던 적의가 자신에게로 향하므로 자기비판, 자기공격이 생기며 우울한 상태가 된다. 적의나 공격이 자신에게로 향했을 때는 우울해지고 자살 행위도 할 수 있게 된다.
▷ 취 소(undoing)
반동형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방어기제로서, 죄책을 느끼는 일을 하고 나서 안한 것처럼 원상복귀라도 하듯이, 또는 죄의식을 완화라도 하듯이 상징적인 행동이나 생각이 사용된다. 부정으로 생긴 돈을 자선에 쓰는 수도 있겠고, 부인을 때린 후 꽃을 갖다 주는 남편도 있겠고, 부모에게 살의가 있는 아들이 부모를 껴안을 수도 있을 것이다. 도덕적 불결을 씻어 내기라도 하듯 지나치게 깨끗하게 강박적으로 행동하는 것도 그 예일 것이다.
▷ 퇴 행 또는 후 퇴
좌절 때에 적응이 어린 시절의 수준으로 후퇴하는 기제가 퇴행이다. 불안을 피하는 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어렸을 때의 의존으로 퇴행한다는 일은 성인사회의 자주적인 생존과 책임을 다하려는 데에서 오는 두려움이나 불안정을 덜어 주기는 하겠지만, 결코 건설적인 해결은 못된다.
정신성의 성숙 과정에 있어서 발달이 유아기에서 조기 정지되어 정신적 에너지가 그런 요소에 병적 애착을 보이는 것을 고착이라 한다. 성숙 과정의 어느 단계에서의 충족이 지나치거나 좌절이 지나칠 때 이런 고착이 생기게 된다고 설명되고 있다. 고착이 생기고 퇴행이 일어날 때에 성격의 전부가 그렇게 되는 것은 아니며, 성격의 어느 일부가 다른 부분보다 뒤떨어지게 되며, 후퇴도 일부만, 가령 생각하고 느끼고 행동하는 것은 어른 같은데 어린 어린애 같은 요구를 나타내는 따위다. 신체적으로나 지적으로 제 나이대로 성숙했으며, 그럴 나이가 휠씬 지났는데도 애기 말투를 쓴다든지 어리광을 부리는 것은 고착의 좋은 예다. 대소변을 밤낮으로 가리게 된 어린이가 새 동생을 보게 되자 빼앗긴 어머니의 관심을 되찾으려고 오줌을 싸게 되는 것은 퇴행의 좋은 예다. 실의의 어린이가 손가락을 빠는 것이나, 노장의 신사들이 중학교 동창회에 모여 중학생처럼 까부는 것은 양성의 퇴행이겠으며, 극단의 악성의 퇴행의 예는 정신증, 그 중에서도 만성 정신 분열증 환자에서 찾아볼 수 있다.
꿈이나 공상은 정상적인 상태의 잠깐 동안의 퇴행의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 해 리
성격의 어느 국면이 그 삶의 지배를 벗어나, 즉 의식으로부터 떨어져 나와서 하나의 독립된 기능을 하는 경우를 해리라고 한다.
이중성격 이런 해리의 기제가 작용한 증상의 하나로서, 억압된 요소가 나머지의 성격과 전혀 상극일 때 , 그 억압된 부분이 억압하는 힘을 벗어나서 따로 하나의 성격을 구성할 때에 생긴다. 따라서 원래의 성격과 해리된 성격이 아주 다른 경우가 많을 것은 쉽사리 이해할 수 있다. 소설로 유명한 Stevenson의 는 이중성격의 전형적이 예일 것이다. 해리 되어서 독자적인 기능을 하는 부분이 여럿인 경우에는 다중성격이라고 한다.
몽유병 이는 단순한 형태라고 볼 수 있는 증상으로서, 보통 때의 성격이 잠들었을 때, 성격의 단편이 독자적 행동을 하는 것이다. 잠자던 사람이 일어나서 어떤 행동을 하고 나서는 다시 잠들며, 깨어나서는 그 몽유병의 삽화를 기억하지 못하게 된다. 이런 자동증은 간단한 건망으로도 나타날 수 있고, 아주 복잡하게는 자기도 모르게 자신이 도망쳐 버리는 도주의 증상으로도 나타난다.
▷ 부 정
자아의 단순한 방어기제로서, 의식적으로 참을 수 없는 생각이나 욕구 또는 현실이 존재가 무의식적으로 부정되는 것이다. 현실을 존재하지 않는 것처럼 여기든지 또는 그 현실을 소원대로의 공상으로 대신 메움으로써 고통을 피하는 것이다. 사람들은 흔히 자기네의 사랑·노여움·불안을 부인한다. '눈감고 아웅'하는 것이다.
애교를 떨고 유혹적으로 언 행하면서도 그런 언행의 성적은 의미는 의식하지 못하고 있다가, 남자 친구가 성적인 요구를 하면 놀라고' 무시와 모욕'을 느끼는 여자도 그 예다. 사지 절단 환자가 착각으로 잘린 부분이 아직도 있는 것처럼 느끼는 현상도 부정이다. 이런 여러 경우에 부정하는 사람은 그의 느낌을 용인하기에는 너무나 죄악감을 느끼거나 괴롭고, 그의 생각이 의식적으로 느끼거나 괴롭고, 그의 생각이 의식적으로 느껴지게 되면 이를 감당할 수 없으리라는 두려움 때문에 부정하게 되는 것이다. 부정은 물론 무의식적인 심리기제이며, 의식적으로 거부하는 거짓과는 구별되어야 한다.
  • 가격2,3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1.07.06
  • 저작시기2001.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899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