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① 경지면적의 감소
② 단위면적당 수량 감소
③ 비료 소비량 감소
④ 수자원 부족 문제
⑤ 저투입 지속적 농업의 생산성
② 단위면적당 수량 감소
③ 비료 소비량 감소
④ 수자원 부족 문제
⑤ 저투입 지속적 농업의 생산성
본문내용
과감한 투자와 정책적인 차원에서 환경 보전 지원금 지불을 통한 보상도 감수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저투입 지속적 농법을 시행하는 면적이 크게 확대될 경우 세계 식량 생산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이 자명하지만, 미국과 EU에서 현재 집약적으로 실시되던 고투입 농법이 국가 정책에 따라 조방적인 환경보전형 농업으로 전환되고 있는 점은 매우 고무적이라고 할 수 있다.
대체적으로 세계 식량 생산의 미래는 비관적이며 급증하는 세계 곡물 수요를 감당하기 위해서는 년간 2∼3%이상의 생산 증가가 필수적인데 앞으로 이러한 생산 증가가 필수적인데 앞으로 이러한 생산 증가를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 같다. 1995년의 경우 세계적인 곡창지대인 미국의 중서부와 유럽, 러시아, 아르헨티나, 우크라이나 지역 등에서는 엘리뇨 현상으로 인한 극심한 한발과 고온으로 곡물생산이 격감하였고 이로 인하여 1996년에 세계는 곡물가격 상승을 경험하였다. 엘리뇨 현상의 영향으로 1998/99년 세계 곡물생산이 다소 감소하여 미국의 경우 옥수수가 10%, 대두가 약 7% 정도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며, 러시아 곡물 생산도 예년에 비해 2,000만톤 정도 감소가 예상되고 있다. 루마니아 등 동구권 국가의 옥수수 생산이 풍작을 이루면서 유럽 곡물 재고가 늘어날 전망이지만, 밀은 4% 정도 생산량 감수가 예상되어 유럽 곡물 상황은 유동적인 상황이다. 중국은 이상 기후로 인한 고온과 한발에 위해 옥수수 생산량은 220만톤 감소된 1억 500만톤 정도가 생산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으며, 아시아 경제 불황으로 이들 국가의 곡물 수입을 최소화하면서 세계곡물 가격 안정을 유도하고는 있지만, 세계은행은 현재 세계적으로 9,400만톤 이상의 곡물이 부족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더구나 엘리뇨 현상에 이은 라니냐 현상으로 인한 저온 문제가 발생될 것으로 인한 안정적인 세계 곡물 생산이 지극히 어려운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세계는 인구 증가와 식육 소비 증대로 인하여 국제 곡물 수요는 크게 증가하고 있지만 곡물 증수률은 2.3%에서 1.5% 이하로 하락하여 곡물 부족 상황은 더욱 더 심해질 것으로 전망되며, 이러한 곡물 부족은 구매력이 약한 아프리카 및 동남아시아 등 개발 도상국에 집중될 전망이다. 세계 은행 산하에 있는 국제 식량 정책 연구소는 현재 9400만톤의 곡물이 부족한 상황이지만, 2020년까지 2배 이상 증가하여 2억 2천 8백만 톤이 부족한 상황에 처하게 되어 세계 식량 수급 악화로 인한 개발도상국의 어려움은 더욱 가중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영양실조에 걸린 어린이의 수는 2020년까지 세계적으로는 줄어들겠지만 아프리카는 45%가 증가한 4,000만 명에 이르고 남아시아도 5명 중 2명의 어린이가 영양실조에 걸릴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러한 식량 수급의 불안정은 기상이변, 수자원 감소, 토양오염, 증수 기술 부재와 비료, 농약의 감소에 따른 생산량 감소와 경제발전에 따른 식생활의 변화로 식육 소비 증가에 따른 사료 곡물의 수요 증가가 미래의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대체적으로 세계 식량 생산의 미래는 비관적이며 급증하는 세계 곡물 수요를 감당하기 위해서는 년간 2∼3%이상의 생산 증가가 필수적인데 앞으로 이러한 생산 증가가 필수적인데 앞으로 이러한 생산 증가를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 같다. 1995년의 경우 세계적인 곡창지대인 미국의 중서부와 유럽, 러시아, 아르헨티나, 우크라이나 지역 등에서는 엘리뇨 현상으로 인한 극심한 한발과 고온으로 곡물생산이 격감하였고 이로 인하여 1996년에 세계는 곡물가격 상승을 경험하였다. 엘리뇨 현상의 영향으로 1998/99년 세계 곡물생산이 다소 감소하여 미국의 경우 옥수수가 10%, 대두가 약 7% 정도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며, 러시아 곡물 생산도 예년에 비해 2,000만톤 정도 감소가 예상되고 있다. 루마니아 등 동구권 국가의 옥수수 생산이 풍작을 이루면서 유럽 곡물 재고가 늘어날 전망이지만, 밀은 4% 정도 생산량 감수가 예상되어 유럽 곡물 상황은 유동적인 상황이다. 중국은 이상 기후로 인한 고온과 한발에 위해 옥수수 생산량은 220만톤 감소된 1억 500만톤 정도가 생산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으며, 아시아 경제 불황으로 이들 국가의 곡물 수입을 최소화하면서 세계곡물 가격 안정을 유도하고는 있지만, 세계은행은 현재 세계적으로 9,400만톤 이상의 곡물이 부족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더구나 엘리뇨 현상에 이은 라니냐 현상으로 인한 저온 문제가 발생될 것으로 인한 안정적인 세계 곡물 생산이 지극히 어려운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세계는 인구 증가와 식육 소비 증대로 인하여 국제 곡물 수요는 크게 증가하고 있지만 곡물 증수률은 2.3%에서 1.5% 이하로 하락하여 곡물 부족 상황은 더욱 더 심해질 것으로 전망되며, 이러한 곡물 부족은 구매력이 약한 아프리카 및 동남아시아 등 개발 도상국에 집중될 전망이다. 세계 은행 산하에 있는 국제 식량 정책 연구소는 현재 9400만톤의 곡물이 부족한 상황이지만, 2020년까지 2배 이상 증가하여 2억 2천 8백만 톤이 부족한 상황에 처하게 되어 세계 식량 수급 악화로 인한 개발도상국의 어려움은 더욱 가중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영양실조에 걸린 어린이의 수는 2020년까지 세계적으로는 줄어들겠지만 아프리카는 45%가 증가한 4,000만 명에 이르고 남아시아도 5명 중 2명의 어린이가 영양실조에 걸릴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러한 식량 수급의 불안정은 기상이변, 수자원 감소, 토양오염, 증수 기술 부재와 비료, 농약의 감소에 따른 생산량 감소와 경제발전에 따른 식생활의 변화로 식육 소비 증가에 따른 사료 곡물의 수요 증가가 미래의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추천자료
미군정과 제1공화국
[과외]고등 생활 공간의 형성 01
농업생명과학대학의 농업과학기술 교육의 실태와 발전전망
태평천국운동
조선시대 인구와 토지
중국 역사별 경제 발전 동향
[울산지역, 울산지역 경제, 울산지역 행정, 울산지역 문제점, 울산지역 유통산업]울산지역의 ...
[버섯, 버섯 정의, 버섯 종류, 버섯 특징, 영양소, 서식지, 탄자니아버섯산업]버섯의 정의, ...
[현지조사, 현지조사 의의, 현지조사 자료수집방법, 현지조사 보고서작성, 필리핀]현지조사의...
[농업산출][농업][산출][농업산출 정의][농업산출 대상][농업산출 범위][농업산출 추계]농업...
중앙아시아의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