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① 고저점법과 단순회귀분석 (source : 심재석, 214)
② 회귀분석 : 도표(source : 심재석,224)
② 회귀분석 : 도표(source : 심재석,224)
본문내용
+ 2.30X
2. 최소자승법을 이용하여 간접제조원가의 원가형태를 결정하라. 단, 당신을 돕는 보조원이 다음과같은 계산을 이미하여놓았다.
공식법 : X=435,000 Y=1,894,000
XY=841,750,000 X=8,275,000,000
별 법 : X=18,125 Y=78,917
XY=35,170,500,000 X=390,625,000
A.35,175,000,000=435,000 a+8,275,000,000b
B.1894000=24a+435000b
A와B식을 연립하여 a,b를 구한다..
b=215488시간
원가추정식은 Y = 39859 + 2.15488X
a=39859원
3. 2개년간의 모든 자료로 산포도를 그리고 목측에 의하여 회귀선을 그어라.
4. 어느 한달 동안의 성남 공장의 총직접작업 시간은 22,500시간이었다고한다. 이달의 간접제조원가를 다음 각 방법에 의하여 계산하여라.
⒜ 고저점법
변동원가(22500*2.30) = 51750
고정원가= 41500
간접제조원가 93250원
⒝ 최소자승법
변동원가(22500*2.15488)=48485
고정원가= 39859
간접제조원가 = 88344원
⒞ 산포도법
:횡축 22,500시간에 대한 종축의 간접제조원가는 대략 90,000원 정도가 된다
5. 온양회사는 성남공장의 간접제조원가를 예측하기 위하여 위의 세 방법 중 어느 방법을 이용하여야 하는가? 그 밖의 방법들이 적합하지 못한 이유를 설명하여라.
이 문제의 경우는 산포도법이 다른 두 방법보다 더 좋다. 고정된 임차료에 대한 회귀선과 시간을 기준으로 한 임차료에 대한 회귀선은 불연속이므로 다른 두 방법에 의한 원가추정식은 잘못된것이다. 고저점법은 단 두개의 관찰치에 의존하기 때문에 정확성이 적다.
6. 성남 공장의 경우에 있어서도 대부분의 회사들과 같이 관련범위(relevant range)의 개념이중요한가?
물음 3의 산포도에서 비정상적인 회귀선 때문에 관련범위의 개념은 더욱 중요하다.
③ 단순회귀분석모형의 평가 (source : 심재석, 231)
곽노환 씨는 SM전자의 인천 PC제조공장의 간접제조원가 예측을 위한 원가함수 설정에 대한 과업을 맡았다. 이 공장의 자동화율은 매우높다. 그는 다음과 같이 정보를 수집하였다.
월
간접제조원가
기계시간
직접작업시간
1
2,530
2,730
324
2
1,900
1,810
210
3
4,710
3,403
347
4
1,270
2,200
331
5
4,380
3,411
272
6
4,020
2,586
202
7
3,730
3,364
342
8
3,070
2,411
247
9
4,980
3,964
347
10
3,310
2,897
328
11
1,270
2,207
293
12
3,510
2,864
307
곽씨는 두개의 원가함수를 회귀분석을 통하여 검토하고 있다.
회귀모형 A :간접제조원가 = f(기계시간)
변 수
계 수
t-통계량
상수
-1,707.70
-1.87
독립변수 Ⅰ:
기계시간
1.75
5.52
*r=0.75 : 추정의 표준오차 = 657.44 : Durbin-Watson = 2.59
회귀모형 B : 간접제조원가 = f(직접작업시간)
변 수
계 수
표준오차
t-통계량
상 수
1,914.10
2,264.60
0.84
독립변수 Ⅰ :
직접작업시간
4.43
7.55
0.59
*r=0.03 : 추정의 표준오차 = 1,300.77 : Durbin-Watson = 2.45
<물음>
곽씨는 간접제조원가의 예측을 위하여 어는 원가함수를 채택하여야 하는가?
답) 두회귀모형을 비교하여보면 기계시간을 사용하는 것이 적합도가 더 높으며 t-통계량도 더욱 유의적이다. 그러므로 기계시간을 사용하는 것이 더 좋다고 판단할 수 있다.
2. 최소자승법을 이용하여 간접제조원가의 원가형태를 결정하라. 단, 당신을 돕는 보조원이 다음과같은 계산을 이미하여놓았다.
공식법 : X=435,000 Y=1,894,000
XY=841,750,000 X=8,275,000,000
별 법 : X=18,125 Y=78,917
XY=35,170,500,000 X=390,625,000
A.35,175,000,000=435,000 a+8,275,000,000b
B.1894000=24a+435000b
A와B식을 연립하여 a,b를 구한다..
b=215488시간
원가추정식은 Y = 39859 + 2.15488X
a=39859원
3. 2개년간의 모든 자료로 산포도를 그리고 목측에 의하여 회귀선을 그어라.
4. 어느 한달 동안의 성남 공장의 총직접작업 시간은 22,500시간이었다고한다. 이달의 간접제조원가를 다음 각 방법에 의하여 계산하여라.
⒜ 고저점법
변동원가(22500*2.30) = 51750
고정원가= 41500
간접제조원가 93250원
⒝ 최소자승법
변동원가(22500*2.15488)=48485
고정원가= 39859
간접제조원가 = 88344원
⒞ 산포도법
:횡축 22,500시간에 대한 종축의 간접제조원가는 대략 90,000원 정도가 된다
5. 온양회사는 성남공장의 간접제조원가를 예측하기 위하여 위의 세 방법 중 어느 방법을 이용하여야 하는가? 그 밖의 방법들이 적합하지 못한 이유를 설명하여라.
이 문제의 경우는 산포도법이 다른 두 방법보다 더 좋다. 고정된 임차료에 대한 회귀선과 시간을 기준으로 한 임차료에 대한 회귀선은 불연속이므로 다른 두 방법에 의한 원가추정식은 잘못된것이다. 고저점법은 단 두개의 관찰치에 의존하기 때문에 정확성이 적다.
6. 성남 공장의 경우에 있어서도 대부분의 회사들과 같이 관련범위(relevant range)의 개념이중요한가?
물음 3의 산포도에서 비정상적인 회귀선 때문에 관련범위의 개념은 더욱 중요하다.
③ 단순회귀분석모형의 평가 (source : 심재석, 231)
곽노환 씨는 SM전자의 인천 PC제조공장의 간접제조원가 예측을 위한 원가함수 설정에 대한 과업을 맡았다. 이 공장의 자동화율은 매우높다. 그는 다음과 같이 정보를 수집하였다.
월
간접제조원가
기계시간
직접작업시간
1
2,530
2,730
324
2
1,900
1,810
210
3
4,710
3,403
347
4
1,270
2,200
331
5
4,380
3,411
272
6
4,020
2,586
202
7
3,730
3,364
342
8
3,070
2,411
247
9
4,980
3,964
347
10
3,310
2,897
328
11
1,270
2,207
293
12
3,510
2,864
307
곽씨는 두개의 원가함수를 회귀분석을 통하여 검토하고 있다.
회귀모형 A :간접제조원가 = f(기계시간)
변 수
계 수
t-통계량
상수
-1,707.70
-1.87
독립변수 Ⅰ:
기계시간
1.75
5.52
*r=0.75 : 추정의 표준오차 = 657.44 : Durbin-Watson = 2.59
회귀모형 B : 간접제조원가 = f(직접작업시간)
변 수
계 수
표준오차
t-통계량
상 수
1,914.10
2,264.60
0.84
독립변수 Ⅰ :
직접작업시간
4.43
7.55
0.59
*r=0.03 : 추정의 표준오차 = 1,300.77 : Durbin-Watson = 2.45
<물음>
곽씨는 간접제조원가의 예측을 위하여 어는 원가함수를 채택하여야 하는가?
답) 두회귀모형을 비교하여보면 기계시간을 사용하는 것이 적합도가 더 높으며 t-통계량도 더욱 유의적이다. 그러므로 기계시간을 사용하는 것이 더 좋다고 판단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