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군사 대국화를 노골화하고 있다. 온갖 군사력 강화방안이 제시되고 있고 그 과정중의 하나가 요즘의 핵무장 발언으로 이어진 것이다.
일본이 핵무장을 하기에는 여러 강국의 반대로 현실적 난관이 많기는 하다. 중국도 반대입장이다. 그러나 미국을 비롯한 세계강국은 경제적인 자국의 이익에 비춰 오히려 일본의 군사 대국화는 시대적 흐름이라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그런 만큼 일본의 핵무장은 차츰 현실화되고 있다는 증거가 된다. 이러한 일본의 움직으로 볼 때 중국·러시아 등 주변국의 핵 위협아래 있는 한국은 자국 보호라는 입장에 서야할 것으로 본다. 따라서 한국은 일본의 핵보유 문제에 대한 적극적인 주장이 필요하다. 중국, 러시아등 주변국이 핵보유를 포기하지 않는 상태에서 일본이 핵보유를 지속적으로 제기한다면 우리나라도 핵보유를 추진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일본은 플로토늄 수입하는등 핵무장을 지속적으로 진행하여 일시에 핵 강국으로 등장할 수 만큼 준비가 다 되어진 상태이다. 이러한 국면에 우리나라 만이 비핵 지대화를 부르짖으며 미국의 핵우산의 그늘에만 의존할 수 없을 것이다. 한국의 안위가 다른나라 미국등에 의해 좌우되는 한국 주권의 예속화 되는 결과가 초래될 것이다. 더나아가 일본이 핵을 보유함에 따라 일본에 국가 안위가 예속되는 속국의 처지로 전락되지 않을 것이라고 누구도 확신 할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한국의 적극적 대처가 있어야 한다. 한국의 동의가 없는 일본의 핵무장 만은 막아야 한다. 그리고 일본이 핵을 보유하려 한다면 우리의 핵보유 문제도 같이 논의되야 한다. 다시 말하자면 한국의 참여 속에서 일본의 핵 보유 문제가 다루어져야 한다는 말이다. 한국으로서도 민족적 이익의 측면에서는 물론이고 자주국방의 차원에서도 핵 주권은 절대가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참 고 문 헌
- 한국일보, 문화일보, 연합뉴스 홈페이지
- 핵 딜레마 피터헤이 저
- 핵시대 어떻게 살것인가 ? 핵연구단 저
- 핵시대 , 한국의 미래 김 학 준 저
- 핵전쟁뒤의 최후 구프론 저
- 핵전쟁은 가능한가? Bruce Ru 저
- 핵폭동의 날 로쉬왈트 저
- 핵전쟁은 한반도에서 핵연구단 저
- 송명재, "아인슈타인의 실수" (한국원자력문화재단,1993)
- 돈 오버도퍼, "두 개의 코리아" (중앙일보,1998)
- 이은철, "북한핵과 경수로" (서울대출판부,1996)
- 이용수, "현대문명의 빛과 그늘 원자력" (한국원자력문화재단,1996)
일본이 핵무장을 하기에는 여러 강국의 반대로 현실적 난관이 많기는 하다. 중국도 반대입장이다. 그러나 미국을 비롯한 세계강국은 경제적인 자국의 이익에 비춰 오히려 일본의 군사 대국화는 시대적 흐름이라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그런 만큼 일본의 핵무장은 차츰 현실화되고 있다는 증거가 된다. 이러한 일본의 움직으로 볼 때 중국·러시아 등 주변국의 핵 위협아래 있는 한국은 자국 보호라는 입장에 서야할 것으로 본다. 따라서 한국은 일본의 핵보유 문제에 대한 적극적인 주장이 필요하다. 중국, 러시아등 주변국이 핵보유를 포기하지 않는 상태에서 일본이 핵보유를 지속적으로 제기한다면 우리나라도 핵보유를 추진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일본은 플로토늄 수입하는등 핵무장을 지속적으로 진행하여 일시에 핵 강국으로 등장할 수 만큼 준비가 다 되어진 상태이다. 이러한 국면에 우리나라 만이 비핵 지대화를 부르짖으며 미국의 핵우산의 그늘에만 의존할 수 없을 것이다. 한국의 안위가 다른나라 미국등에 의해 좌우되는 한국 주권의 예속화 되는 결과가 초래될 것이다. 더나아가 일본이 핵을 보유함에 따라 일본에 국가 안위가 예속되는 속국의 처지로 전락되지 않을 것이라고 누구도 확신 할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한국의 적극적 대처가 있어야 한다. 한국의 동의가 없는 일본의 핵무장 만은 막아야 한다. 그리고 일본이 핵을 보유하려 한다면 우리의 핵보유 문제도 같이 논의되야 한다. 다시 말하자면 한국의 참여 속에서 일본의 핵 보유 문제가 다루어져야 한다는 말이다. 한국으로서도 민족적 이익의 측면에서는 물론이고 자주국방의 차원에서도 핵 주권은 절대가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참 고 문 헌
- 한국일보, 문화일보, 연합뉴스 홈페이지
- 핵 딜레마 피터헤이 저
- 핵시대 어떻게 살것인가 ? 핵연구단 저
- 핵시대 , 한국의 미래 김 학 준 저
- 핵전쟁뒤의 최후 구프론 저
- 핵전쟁은 가능한가? Bruce Ru 저
- 핵폭동의 날 로쉬왈트 저
- 핵전쟁은 한반도에서 핵연구단 저
- 송명재, "아인슈타인의 실수" (한국원자력문화재단,1993)
- 돈 오버도퍼, "두 개의 코리아" (중앙일보,1998)
- 이은철, "북한핵과 경수로" (서울대출판부,1996)
- 이용수, "현대문명의 빛과 그늘 원자력" (한국원자력문화재단,1996)
추천자료
북한의 경제 북한의 사회 북한의 군사 북한의 정치 북한의 교육 그리고 통일교육
[중동민주화] 재스민혁명과 리비아사태에 대한 분석-리비아사태 군사개입에 대한 나의 견해-
순자의 철학(자연천, 화성기위, 생지위성, 수양론, 예치주의, 존군사상)
[미일대북정책]미일대북정책(미국과 일본의 대북한정책), 미일군사동맹체제, 미일관계(미국과...
미일중장기고용, 미일자본협업(미국과 일본의 자본협업), 미일수산관리제도, 미일학교급식제...
한국미국일본(한미일) 주식시장, 건설연구소, 한국미국일본(한미일) 군사공동체, 삼각안보동...
[동북아안보]동북아안보(동북아시아안보)의 위험변수, 군사정세, 동북아안보(동북아시아안보)...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목적, 역사,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군사조직건설, 공군창설계획, 대한민국...
제3공화국(박정희정권, 박정희정부)의 특성, 군사문화, 제3공화국(박정희정권, 박정희정부)의...
[의복의 역사_ 개항 이후 복식]개항초기, 일제 강점기, 해방이후, 군사 정권, 1980년대 이후-...
분쟁과 평화(동아시아관계론, 걸프전쟁, 이라크전쟁, 중동평화회의, 한반도문제, 핵확산문제,...
박정희 정권과 유신독재 (제 2공화국, 5.16군사정변, 3공화국, 유신헌법, 유신체제)
G2시대와 한중관계,중미 관계 변화,중미 갈등,한반도 위기,군사력 경쟁,중국의 대미 전략,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