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군사 대국화 아시아 위협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군사 대국화를 노골화하고 있다. 온갖 군사력 강화방안이 제시되고 있고 그 과정중의 하나가 요즘의 핵무장 발언으로 이어진 것이다.
일본이 핵무장을 하기에는 여러 강국의 반대로 현실적 난관이 많기는 하다. 중국도 반대입장이다. 그러나 미국을 비롯한 세계강국은 경제적인 자국의 이익에 비춰 오히려 일본의 군사 대국화는 시대적 흐름이라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그런 만큼 일본의 핵무장은 차츰 현실화되고 있다는 증거가 된다. 이러한 일본의 움직으로 볼 때 중국·러시아 등 주변국의 핵 위협아래 있는 한국은 자국 보호라는 입장에 서야할 것으로 본다. 따라서 한국은 일본의 핵보유 문제에 대한 적극적인 주장이 필요하다. 중국, 러시아등 주변국이 핵보유를 포기하지 않는 상태에서 일본이 핵보유를 지속적으로 제기한다면 우리나라도 핵보유를 추진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일본은 플로토늄 수입하는등 핵무장을 지속적으로 진행하여 일시에 핵 강국으로 등장할 수 만큼 준비가 다 되어진 상태이다. 이러한 국면에 우리나라 만이 비핵 지대화를 부르짖으며 미국의 핵우산의 그늘에만 의존할 수 없을 것이다. 한국의 안위가 다른나라 미국등에 의해 좌우되는 한국 주권의 예속화 되는 결과가 초래될 것이다. 더나아가 일본이 핵을 보유함에 따라 일본에 국가 안위가 예속되는 속국의 처지로 전락되지 않을 것이라고 누구도 확신 할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한국의 적극적 대처가 있어야 한다. 한국의 동의가 없는 일본의 핵무장 만은 막아야 한다. 그리고 일본이 핵을 보유하려 한다면 우리의 핵보유 문제도 같이 논의되야 한다. 다시 말하자면 한국의 참여 속에서 일본의 핵 보유 문제가 다루어져야 한다는 말이다. 한국으로서도 민족적 이익의 측면에서는 물론이고 자주국방의 차원에서도 핵 주권은 절대가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참 고 문 헌
- 한국일보, 문화일보, 연합뉴스 홈페이지
- 핵 딜레마 피터헤이 저
- 핵시대 어떻게 살것인가 ? 핵연구단 저
- 핵시대 , 한국의 미래 김 학 준 저
- 핵전쟁뒤의 최후 구프론 저
- 핵전쟁은 가능한가? Bruce Ru 저
- 핵폭동의 날 로쉬왈트 저
- 핵전쟁은 한반도에서 핵연구단 저
- 송명재, "아인슈타인의 실수" (한국원자력문화재단,1993)
- 돈 오버도퍼, "두 개의 코리아" (중앙일보,1998)
- 이은철, "북한핵과 경수로" (서울대출판부,1996)
- 이용수, "현대문명의 빛과 그늘 원자력" (한국원자력문화재단,1996)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1.10.23
  • 저작시기2001.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023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