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문화'를 접했느냐에 달린 문제이다. 이와같이 우리가 생활양식으로서의 소프트웨어를 문제삼는다면 순수한 유기체 자체만으로서의 하드웨어와는 상관없는 문화적인 측면에 우리의 관심은 국한된다. 이것이 바로 "문화를 가진 인간"을 연구하는 인류학이 "문화에 대한 과학적인 연구"(science of culture)와 거의 동의어로 사용되고 있는 이유이기도 하다.
추천자료
인류학 보고서
상상계의 인류학적 구조 개략
클리퍼드 기어츠의 인류학
(서평)국가에 대항하는 사회-정치인류학 논고
의료 인류학의 이해와 응용이란 책에서 나환자가 되우는 것을 배움
[인류학졸업논문]현대 한국인의 민간신앙에 대한 인식과 신뢰도(`점`을 중심으로)
[도시인류학]사라져 가는 것과 새로 생겨나는 것(이발소와 미용실)
블레이드러너 인류학적으로
무용에 대한 인류학적 의미
[구조주의][탈구조주의]구조주의의 정의, 구조주의의 조건, 구조주의의 비평, 구조주의와 탈...
[역사학, 인류학]오리엔탈리즘[에드워드 사이드 저) 서평
[서강대학교] 인류학개론 중간고사 요점정리
[서강대학교] 인류학개론 기말고사 요점정리
현재 한국민족의 체질적, 문화적 특성과 비교하여 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