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본문내용
10,307*
6,823*
7,847**
경상수지
억 달러
-85.1
-230.0
-81.7
405.6
222**
외환보유고
억 달러
327.1
332.4
204.1
520.3
657.4***
총외채
억 달러
784
1,643.4
1,580.6
1,493.5
1,426
****
주:*) 잠정치, **) 전망치(HRI)임
***) 10.15일 현재, ****) 8월말 현재
▣ 지식투입 지표 비교
우리나라의 지식 투입 지표들은 대체로
선진국과 대등한 수준임.
(단위: %)
지식유량지표
지식저량지표
R&D투자
(GDP대비)
(1997년)
교육지출
(GDP대비)
(1995년)
사내훈련*
(IMD지수)
(1997년)
연구원 비중
(인구
만명당)
(1996년)
대졸자 비중
(인구내)
(1995년)
미국
2.54
6.8
6.49
36.7
(1993년)
33
일본
2.83
4.9
7.32
49.3
-
독일
2.40
6.0
7.00
28.3
(1995년)
23
프랑스
2.26
6.7
5.93
26.5
19
영국
1.90
-
5.85
24.3
21
한국
2.79
6.2
5.44
22.3
(1997년)
20
자료: IMD, The World Competitive Yearbook, 1999; OECD, Human Capital
Investment, 1998; 과학기술부,
「1998과학기술연구활동조사보고」, 1998
주: *) 가장 충분 = 10, 가장 미흡 = 1,
(1997년 기준)
▣ 지식 성과 지표 비교
우리나라의 지식 성과 지표들은 선진국에
비해 현저히 낮은 수준임.
(단위: 건, %)
지식산출지표
지식영향지표
특허등록
(만명당 건)
(1997년)
논문발표
(만명당 건)
(1997년)
기술의 경제
성장기여도
(%)
(1970∼93년)
지식집약
산업의 비중
기술료 수령
(GDP 대비)
미국
4.1
11.3
42
15.8
0.37
일본
11.7
6.0
75
14.5
0.13
독일
6.7
8.9
-
11.2
0.45
프랑스
8.6
9.0
-
11.9
0.15
영국
7.7
14.1
-
13.9
0.25
한국
5.3
2.2
14
8.2
0.03
자료: 과학기술부,「연구개발관련 주요 통계지표분석」,1999;
과학기술부,「과학기술연구활동조사보고」, 1998; 박익수,「과학기술 목표관리 정책과 평가제도의
문제」,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1998.
▣ 지식 과정 지표 비교
우리나라는 지식형성 과정에서 지식 인프라와
지식형성 지원체제의 구축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남. (단위:%)
지식인프라지표
지식활용지표
인구천명당컴퓨터수
(1998)
인구천명당 인터넷
호스트수
(1998)
연구관련인력중지원업무 종사자비중
대학생 100명당 교수수
(1996)
연구
결과의 상업화 지수*
(1997)
R&D
투자중 대학의 비중
(1997)
대졸여성(30∼44세)의 취업율
(1995)
미국
499
87.15
-
6.0
5.62
14.3
81
일본
272
11.03
19.8
(1997)
5.5
4.96
14.8
(1996)
-
독일
268
14.91
26.6
(1993)
6.1
-
17.4
82
프랑스
273
7.84
-
-
-
17.1
79
영국
323
22.63
28.7
(1993)
18.2
-
19.5
(1996)
81
한국
150
4.22
7.2
(1997)
3.1
3.92
10.4
49
자료:IMD,The World Competitive Yearbook,1999; 과학기술부,「1998과학기술연구활동조사보고」1998; World Economic Forum, The Global Competitive
Report, 1998;
1997;과학기술정책관리 연구소,「한국의 국가혁신체제」, 1998; OECD, Human Capital Investment, 1998.
주: *) 가장 충분 = 10, 가장 미흡 = 1
■ 산업별 R&D 집약도 비교
우리나라의 산업별 R&D 집약도는 고위기술산업 에서는 OECD 평균에 비해 현저히 낮음. 또한 R&D 집약도와 무역경쟁력에 正의 상관관계가 존재하지 않고 있음.
:
OECD평균
(1990)
한국*
(1995)
무역경쟁력지수**
(경쟁력대등=1)
1. 항공기
2. 사무, 계산, 회계용 기계
3. 의약, 의료용 화합물
4. 영상, 음향 및 통신 장비
14.98
11.46
10.47
8.03
19.93
3.43
2.78
4.76
((0.15))
0.58
(0.50)
2.86
5. 의료, 측정, 시험, 기타 정밀 기기
6. 자동차 및 트레일러
7. 화합물 및 화학제품(의약품 제외)
8. 기타 전기 기계, 전기 변환 장치
9. 기타 기계 및 장비
10. 기타 운송 장비
5.10
3.41
3.20
2.81
1.74
1.58
4.20
4.21
1.78
1.76
3.17
0.76
0.38
0.51
(0.50)
1.55
0.40
((0.15))
11. 고무 및 플라스틱 제품
12. 코크스, 석유정제품
13. 비철 금속
14. 비금속 광물 제품
15. 선박, 보트 건조 및 수리
16. 1차 철강
17. 기타 제조업
18. 조립 금속 제품
1.07
0.96
0.93
0.93
0.74
0.64
0.63
0.63
1.96
0.51
0.57
1.04
1.15
0.99
0.08
1.43
1.41/0.63
(0.50)
0.42
0.33/0.26/0.52
4.91
1.45
0.63
1.04
19. 음식료 및 담배
20. 종이 및 종이제품, 출판, 인쇄
21. 섬유, 의복, 가죽
22 목재, 나무제품, 가구
0.34
0.31
0.23
0.18
0.57
0.89
0.69
0.88
-
0.36/0.20
3.62/2.59/3.29
0.32
자료: OECD, Science Technology and Industry
Scoreboard of Indicators, 1997: 과학기술처,
「과학기술연구활동보고서」1996 과학기술정책관리
연구소, 한국제조업의 기술력과무역경쟁력에 관한 연구, 1998.
주: *) 한국과학기술처 자료의 산업분류가 OECD와 불일 치하는 부분은 한국산업은행의「재무분석」 등의
자료를 이용하여 추정함.
**) ( ), ( ) 등은 산업이구분되어있지않은 경우.
/는 해당산업이 세분되어 있는 경우임.
l
6,823*
7,847**
경상수지
억 달러
-85.1
-230.0
-81.7
405.6
222**
외환보유고
억 달러
327.1
332.4
204.1
520.3
657.4***
총외채
억 달러
784
1,643.4
1,580.6
1,493.5
1,426
****
주:*) 잠정치, **) 전망치(HRI)임
***) 10.15일 현재, ****) 8월말 현재
▣ 지식투입 지표 비교
우리나라의 지식 투입 지표들은 대체로
선진국과 대등한 수준임.
(단위: %)
지식유량지표
지식저량지표
R&D투자
(GDP대비)
(1997년)
교육지출
(GDP대비)
(1995년)
사내훈련*
(IMD지수)
(1997년)
연구원 비중
(인구
만명당)
(1996년)
대졸자 비중
(인구내)
(1995년)
미국
2.54
6.8
6.49
36.7
(1993년)
33
일본
2.83
4.9
7.32
49.3
-
독일
2.40
6.0
7.00
28.3
(1995년)
23
프랑스
2.26
6.7
5.93
26.5
19
영국
1.90
-
5.85
24.3
21
한국
2.79
6.2
5.44
22.3
(1997년)
20
자료: IMD, The World Competitive Yearbook, 1999; OECD, Human Capital
Investment, 1998; 과학기술부,
「1998과학기술연구활동조사보고」, 1998
주: *) 가장 충분 = 10, 가장 미흡 = 1,
(1997년 기준)
▣ 지식 성과 지표 비교
우리나라의 지식 성과 지표들은 선진국에
비해 현저히 낮은 수준임.
(단위: 건, %)
지식산출지표
지식영향지표
특허등록
(만명당 건)
(1997년)
논문발표
(만명당 건)
(1997년)
기술의 경제
성장기여도
(%)
(1970∼93년)
지식집약
산업의 비중
기술료 수령
(GDP 대비)
미국
4.1
11.3
42
15.8
0.37
일본
11.7
6.0
75
14.5
0.13
독일
6.7
8.9
-
11.2
0.45
프랑스
8.6
9.0
-
11.9
0.15
영국
7.7
14.1
-
13.9
0.25
한국
5.3
2.2
14
8.2
0.03
자료: 과학기술부,「연구개발관련 주요 통계지표분석」,1999;
과학기술부,「과학기술연구활동조사보고」, 1998; 박익수,「과학기술 목표관리 정책과 평가제도의
문제」,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1998.
▣ 지식 과정 지표 비교
우리나라는 지식형성 과정에서 지식 인프라와
지식형성 지원체제의 구축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남. (단위:%)
지식인프라지표
지식활용지표
인구천명당컴퓨터수
(1998)
인구천명당 인터넷
호스트수
(1998)
연구관련인력중지원업무 종사자비중
대학생 100명당 교수수
(1996)
연구
결과의 상업화 지수*
(1997)
R&D
투자중 대학의 비중
(1997)
대졸여성(30∼44세)의 취업율
(1995)
미국
499
87.15
-
6.0
5.62
14.3
81
일본
272
11.03
19.8
(1997)
5.5
4.96
14.8
(1996)
-
독일
268
14.91
26.6
(1993)
6.1
-
17.4
82
프랑스
273
7.84
-
-
-
17.1
79
영국
323
22.63
28.7
(1993)
18.2
-
19.5
(1996)
81
한국
150
4.22
7.2
(1997)
3.1
3.92
10.4
49
자료:IMD,The World Competitive Yearbook,1999; 과학기술부,「1998과학기술연구활동조사보고」1998; World Economic Forum, The Global Competitive
Report, 1998;
1997;과학기술정책관리 연구소,「한국의 국가혁신체제」, 1998; OECD, Human Capital Investment, 1998.
주: *) 가장 충분 = 10, 가장 미흡 = 1
■ 산업별 R&D 집약도 비교
우리나라의 산업별 R&D 집약도는 고위기술산업 에서는 OECD 평균에 비해 현저히 낮음. 또한 R&D 집약도와 무역경쟁력에 正의 상관관계가 존재하지 않고 있음.
:
OECD평균
(1990)
한국*
(1995)
무역경쟁력지수**
(경쟁력대등=1)
1. 항공기
2. 사무, 계산, 회계용 기계
3. 의약, 의료용 화합물
4. 영상, 음향 및 통신 장비
14.98
11.46
10.47
8.03
19.93
3.43
2.78
4.76
((0.15))
0.58
(0.50)
2.86
5. 의료, 측정, 시험, 기타 정밀 기기
6. 자동차 및 트레일러
7. 화합물 및 화학제품(의약품 제외)
8. 기타 전기 기계, 전기 변환 장치
9. 기타 기계 및 장비
10. 기타 운송 장비
5.10
3.41
3.20
2.81
1.74
1.58
4.20
4.21
1.78
1.76
3.17
0.76
0.38
0.51
(0.50)
1.55
0.40
((0.15))
11. 고무 및 플라스틱 제품
12. 코크스, 석유정제품
13. 비철 금속
14. 비금속 광물 제품
15. 선박, 보트 건조 및 수리
16. 1차 철강
17. 기타 제조업
18. 조립 금속 제품
1.07
0.96
0.93
0.93
0.74
0.64
0.63
0.63
1.96
0.51
0.57
1.04
1.15
0.99
0.08
1.43
1.41/0.63
(0.50)
0.42
0.33/0.26/0.52
4.91
1.45
0.63
1.04
19. 음식료 및 담배
20. 종이 및 종이제품, 출판, 인쇄
21. 섬유, 의복, 가죽
22 목재, 나무제품, 가구
0.34
0.31
0.23
0.18
0.57
0.89
0.69
0.88
-
0.36/0.20
3.62/2.59/3.29
0.32
자료: OECD, Science Technology and Industry
Scoreboard of Indicators, 1997: 과학기술처,
「과학기술연구활동보고서」1996 과학기술정책관리
연구소, 한국제조업의 기술력과무역경쟁력에 관한 연구, 1998.
주: *) 한국과학기술처 자료의 산업분류가 OECD와 불일 치하는 부분은 한국산업은행의「재무분석」 등의
자료를 이용하여 추정함.
**) ( ), ( ) 등은 산업이구분되어있지않은 경우.
/는 해당산업이 세분되어 있는 경우임.
l
추천자료
21세기를 향한 페미니스트 윤리학
21세기에 지향되어야할 교육
21세기 진로상담의 방향에 대해서
21세기 아동, 청소년 문학의 발전방향
21세기 인재되기, 셀프리더되기
21세기선진보험산업환경변화와대응방안[1]
21세기 한국교육을 위한 교원인사정책 개혁방안
21세기의 에너지 - 플라스마·핵
21세기중국경제의발전방향
21세기 산업파트너 프랑스
21세기를 내다본 여성의 역할과 지위
21세기 기업환경의 변화양상및 기업의 국제화와 해외진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독후감/서평/요약] 21세기 속의 1세기 신앙 _ 찰스 W. 드위즈 저
20세기 한국 경제의 발전원인 & 21세기 발전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