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가. 개념
나.다중화의 구현 방법
나.다중화의 구현 방법
본문내용
다 찰때 까지 데이터를 모은 뒤에 전송한다.
[그림 4.19]는 동기 TDM와 비동기 TDM를 비교한 것이다. 여기서 그 차이를 분명히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림 4.19]에서 단말장치 A는 타임슬롯 t와 t₃에서, B는 t, t₁에서, C는 t₁ 과 t₄
에서,D는 t₃에서 실제로 보낼 데이터가 존재할 경우, 동기 TDM와 비 동기 TDM간의
프레임의 차이를 알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중요한 점은 비동기 TDM의 프레임의 구조에서 각 단말장치의 데이터들은
서로 다른 타임슬롯에서 할당될 수 있는 것이며 특정 시간대에 전송 된 서로 다른 데이터
의 송신 단말장치를 구분할 수 있는 형태가 필요하다. 그 러므로 각 데이터에 주소영역을
삽입해야 한다.
[그림 4.20]은 비동기 TDM의 프레임의 구조를 보여 준다.
이 방식은 추후에 논의될 HDLCL전송제어 절차에서 채택하고 있다.
2) 주파수 분할 다중화(FDM: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방식
다중화 방식중 대표적인 다른 하나는 특정 전송로의 주파수 대역폭을 작은 대
역폭으로 분할하여 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주파수 분할다중화 방식이다. 이것은
물론 전송하려는 신호의 필요한 주파수 대역폭보다 전송매체의 유효 대역폭이 클 때
가능한 것이다.
이 방식은 전송하려는 각 신호를 서로다른 반송(carrier)주파수로 변조할 때, 각
신호의 주파수 대역폭을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서로 충붕한 간격을 두고 변조 된 신호
들을 동시에 전송하는 방식이다.[그림 4.21]
[그림 4.21]에서 6개의 단말장치들의 각 신호들이 다중화 장치에 들어가고 이 신호
들이 서로다른 반송 주파수(f1,...., f6)에서 변조된다. 이 방식에서 이렇게 변조된 신호들
의 반송주파수의 대역폭이 앞에서 말한 채녈이 된다.
여기서 이 채널들은 상호간섭을 막기 위해서 완충지역으로 보호 밴드(gaurd band)
가 필요하다. 그러나, 이 보호 밴드는 대역폭의 낭비를 초래하게 된다.
또한 이 방식은 아날로그 신호의 전송매체들에서 사용된다. 그러나, 단말장치에서
되는 신호들은 제 5장에서 논의될 데이터 변환방법에 의해서 전송로의 아날로그 신호로 적절하게 변조된다.
장점으로 비교적 간단한 구조이므로 실제 전송가격이 저렴하다.
주파수분할 다중화장치 자체가 주파수편이 변복조기의 역할을 수행하므로 별도의 모뎀이 필요치 않다.
[그림 4.19]는 동기 TDM와 비동기 TDM를 비교한 것이다. 여기서 그 차이를 분명히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림 4.19]에서 단말장치 A는 타임슬롯 t와 t₃에서, B는 t, t₁에서, C는 t₁ 과 t₄
에서,D는 t₃에서 실제로 보낼 데이터가 존재할 경우, 동기 TDM와 비 동기 TDM간의
프레임의 차이를 알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중요한 점은 비동기 TDM의 프레임의 구조에서 각 단말장치의 데이터들은
서로 다른 타임슬롯에서 할당될 수 있는 것이며 특정 시간대에 전송 된 서로 다른 데이터
의 송신 단말장치를 구분할 수 있는 형태가 필요하다. 그 러므로 각 데이터에 주소영역을
삽입해야 한다.
[그림 4.20]은 비동기 TDM의 프레임의 구조를 보여 준다.
이 방식은 추후에 논의될 HDLCL전송제어 절차에서 채택하고 있다.
2) 주파수 분할 다중화(FDM: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방식
다중화 방식중 대표적인 다른 하나는 특정 전송로의 주파수 대역폭을 작은 대
역폭으로 분할하여 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주파수 분할다중화 방식이다. 이것은
물론 전송하려는 신호의 필요한 주파수 대역폭보다 전송매체의 유효 대역폭이 클 때
가능한 것이다.
이 방식은 전송하려는 각 신호를 서로다른 반송(carrier)주파수로 변조할 때, 각
신호의 주파수 대역폭을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서로 충붕한 간격을 두고 변조 된 신호
들을 동시에 전송하는 방식이다.[그림 4.21]
[그림 4.21]에서 6개의 단말장치들의 각 신호들이 다중화 장치에 들어가고 이 신호
들이 서로다른 반송 주파수(f1,...., f6)에서 변조된다. 이 방식에서 이렇게 변조된 신호들
의 반송주파수의 대역폭이 앞에서 말한 채녈이 된다.
여기서 이 채널들은 상호간섭을 막기 위해서 완충지역으로 보호 밴드(gaurd band)
가 필요하다. 그러나, 이 보호 밴드는 대역폭의 낭비를 초래하게 된다.
또한 이 방식은 아날로그 신호의 전송매체들에서 사용된다. 그러나, 단말장치에서
되는 신호들은 제 5장에서 논의될 데이터 변환방법에 의해서 전송로의 아날로그 신호로 적절하게 변조된다.
장점으로 비교적 간단한 구조이므로 실제 전송가격이 저렴하다.
주파수분할 다중화장치 자체가 주파수편이 변복조기의 역할을 수행하므로 별도의 모뎀이 필요치 않다.
추천자료
체육목표관리(MBO)에 관한 접근 방식
체육목표관리(MBO)에 대한 접근 방식
기술보급과 확산의 요인은 무엇인가? (디지털 TV 전송방식에 대한 연구 및 그 논란에 대하여)
[Cell Manufacturing System] 일본 캐논전자와 한국 롯데캐논을 통해서 본 통해 셀 생산 방식
[생산관리]ERP의 구조, 유연성 및 확장가능성 그리고 시스템의 선정방식
[생산관리] ERP의 구조와 유연성 및 확장가능성, 시스템의 선정방식
도요타(토요타/Toyota)가 세계 최고의 제조회사가 된 이야기 : 도요타 가문의 역사와 도요타 ...
실증주의적 접근과 해석주의적 접근의 장단점에 대해 제시하고 본인의 입장에서는 과연 어떠...
실증주의적 접근과 해석주의적 접근의 장단점에 대해 제시하고 본인의 입장에서는 과연 어떠...
토요타(도요다, 도요타)의 역사, 생산방식, 토요타(도요다, 도요타)의 공식화, 환경, 토요타(...
[국문학개론] - 한국어교육능력검정시험 평가 점수의 환산 체계 연구, 기존 원점수 방식의 문...
장애인 사회통합에 대한 정리 및 사회통합을 위해 해야할 일 ( 장애인 사회통합, 장애인 사회...
최근들어와 아동권리를 중요하게 다루는 방향으로 나가고 있는데 성인중심의 관점에서 벗어나...
(의료보장제도) OECD가 제시하고 있는 의료보장제도의 3가지 분류방식에 대하여 기술하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