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교과서 왜곡문제와 과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제 1장 일본교과서의 역사왜곡

제 2장 일본교과서의 개정 경위
제 1절 패전후 일본교과서의 개정 경위
제 2절 일본우익의 정신적 고향인 황국사관-침략정신의 뿌리

제 3장 일본의 역사왜곡에 대한 정부의 태도와 대책

제 4장 일본의 역사교과서 문제가 던지는 우리의 과제

본문내용

반성적 태도와 수정을 요구하는 것도 중요하겠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우리 자신의 태도와 정신이겠다. 다소 교과서적인 말로 들릴 수도 있겠으나 앞에서도 언급했듯이 결국 역사의 진행자이며 주역은 우리 자신인 것이다. 우리의 연구와 노력이 있어야만 그들의 역사서술을 비판할 자격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역사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우리의 문화와 역사에 대한 자부심이 없이는 우리는 이 나라 저 나라의 역사에 끌려 다닐 수 밖에 없다. 실제로는 그렇지 않은 데도 말이다. 우리의 역사는 우리가 만들어가고 우리가 당당히 말할 수 있어야 한다. 그것이 과거의 일이든, 현재의 일이든...그리고 그것은 결국 우리의 몫인 것이다.
또한 일본교과서 문제를 거울삼아 한국의 역사교육도 많은 점이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 국가나 민족을 신성시하며 그 안의 개인이나 사회의 이해와 요구, 생명을 무시해서는 안될 것이다. 이런 차원에서 우리 역사교육이 반생명적 전쟁영웅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는 비판에 찬성한다. 또한 국제교린의 입장에서 개방적, 관계사적 역사 서술과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目 次
제 1장 일본교과서의 역사왜곡
제 2장 일본교과서의 개정 경위
제 1절 패전후 일본교과서의 개정 경위
제 2절 일본우익의 정신적 고향인 황국사관-침략정신의 뿌리
제 3장 일본의 역사왜곡에 대한 정부의 태도와 대책
제 4장 일본의 역사교과서 문제가 던지는 우리의 과제
□ 참 고 자 료
□ 참 고 자 료
I. 한·일 관계 자료
【1】김대중 대통령과 오부치 수상의
21세기의 새로운 한 일 파트너쉽 공동선언 (1998.10.8)
【2】일본 내각총리대신 담화(1995.8.15)
【3】역사를 교훈으로 평화에 대한 결의를 새로이 하는 결의
(1995.6.9, 일 중의원 채택)
【4】위안부 관계 조사 결과 발표에 관한 내각관방장관 담화 (1993. 8. 4)
【5】역사 교과서에 대한 문부대신 담화(1982.11.24)
Ⅱ. 국제기구 관련 자료
【1】평화 인권 민주주의교육에 관한 선언 및 통합실천체계
(UNESCO, 1994, 1995)
【2】국제이해 협력 평화를 위한 교육과 인권, 기본 자유에
관한 교육 권고(UNESCO, 1974.11.19)
【3】모든 형태의 인종차별 철폐에 관한 국제협약
(1965.12.21)
【4】청소년의 평화이념 및 국민간 상호존중과 이해의
증진에 관한 선언(1965.12.7, 유엔총회)
□ 관련 사이트
【1】교과서 검정을 담당하는 일본의 「문부과학성」
홈페이지 - http://www.mext.go.jp
【2】역사교과서 개악을 주도한 「새로운 역사교과서를 만드는 모임」
홈페이지 - http://www.tsukurukai.com
【3】왜곡된 역사교과서의 출판을 담당하고 있는 「후소사」
홈페이지 : http://www.fusosha.co.jp/
E-mail : hankai@fusosha.co.jp (판매개발부)
【4】교과서 개악에 반대하는 각국의 여론을 내정간섭을 여긴 「산케이신문」
홈페이지 - http://www.sankei.co.jp/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1.11.20
  • 저작시기200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04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