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조직배양의 목적
2. 조직배양의 효과
3. 조직배양의 역사
4. 조직배양의 실제
5. 바이러스 검정
6. 문제점과 현황
2. 조직배양의 효과
3. 조직배양의 역사
4. 조직배양의 실제
5. 바이러스 검정
6. 문제점과 현황
본문내용
양 및 크기의 비교.
마. 이식
가 기내에서 증식된 소식물을 바깥으로 이식하는 것보다 기내에서 형성된 소구경을 포장 또는 온실에 이식하는 것이 생존율도 높고 훨씬 효과적이다.
가 기내에서 생산된 소구경은 형성조건에 따라서 휴면이 없는 것도 있지만 거의 대부분 휴면하므로 생장조절제 처리 또는 5℃저온에 약 1개월 처리후 이식하면 맹아율이 높다.
5. 바이러스 검정
가 기내에서 무병주 생산을 목적으로 배양한 경우는 반드시 바이러스 검정을 거쳐야 한다.
가 글라디올러스에 이병하는 바이러스는 여러가지가 있으나, 생육에 장해를 초래하는 것은 CMV(Cucumber Mosaic Virus)와 BYMV(Bean Yellow Mosaic Virus) 두 종류로 알려져 있다.
가 검정은 지표식물을 이용한 생물검정법과 효소결합항체법(ELISA)에 의하여 검정할 수 있으나 다소의 비용이 드는 결점이 있으나 한꺼번에 대량 검정할때는 후자의 방법이 효과적이다.
6. 문제점과 현황
가 고농도로 처리된 배지에서 자란 식물체가 배양중에 변이를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반드시 개화검정을 거쳐야 한다.
가 조직배양 과정을 통한 기내 배양은 많은 시설과 경비를 필요로 한다.
가 포장재배시 바이러스 이병시 품질이 극히 나빠지는 품종을 위주로 배양되어야 하며 액체배양을 통한 단기간내 증식율을 높일수 있는 방법이 강구되어야 한다.
[참고 문헌 ]
김규원외 4인, 1987. 植物組織培養技術. 향문사
최주견외 5인, 1995. 구근식물재배기술. 농촌진흥청
加古舞治, 1978 園藝植物의 器官과 組織의 培養. 誠文堂新光社
마. 이식
가 기내에서 증식된 소식물을 바깥으로 이식하는 것보다 기내에서 형성된 소구경을 포장 또는 온실에 이식하는 것이 생존율도 높고 훨씬 효과적이다.
가 기내에서 생산된 소구경은 형성조건에 따라서 휴면이 없는 것도 있지만 거의 대부분 휴면하므로 생장조절제 처리 또는 5℃저온에 약 1개월 처리후 이식하면 맹아율이 높다.
5. 바이러스 검정
가 기내에서 무병주 생산을 목적으로 배양한 경우는 반드시 바이러스 검정을 거쳐야 한다.
가 글라디올러스에 이병하는 바이러스는 여러가지가 있으나, 생육에 장해를 초래하는 것은 CMV(Cucumber Mosaic Virus)와 BYMV(Bean Yellow Mosaic Virus) 두 종류로 알려져 있다.
가 검정은 지표식물을 이용한 생물검정법과 효소결합항체법(ELISA)에 의하여 검정할 수 있으나 다소의 비용이 드는 결점이 있으나 한꺼번에 대량 검정할때는 후자의 방법이 효과적이다.
6. 문제점과 현황
가 고농도로 처리된 배지에서 자란 식물체가 배양중에 변이를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반드시 개화검정을 거쳐야 한다.
가 조직배양 과정을 통한 기내 배양은 많은 시설과 경비를 필요로 한다.
가 포장재배시 바이러스 이병시 품질이 극히 나빠지는 품종을 위주로 배양되어야 하며 액체배양을 통한 단기간내 증식율을 높일수 있는 방법이 강구되어야 한다.
[참고 문헌 ]
김규원외 4인, 1987. 植物組織培養技術. 향문사
최주견외 5인, 1995. 구근식물재배기술. 농촌진흥청
加古舞治, 1978 園藝植物의 器官과 組織의 培養. 誠文堂新光社