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의사결정층으로부터 강력한 지원을 받을 수 있는 것은, e-HRM이 계획한 대로 추진되고 의도한 대로 자리잡기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지속적인 개선에 유의
정보기술의 발전은 새로운 것도 금새 낙후된 것으로 바꾸고 있다. 시스템 개발에는 일정기간을 거치면서 안정성이 확인된 정보기술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 데에다 오랜 개발기간과 시범적용기간, 그리고 확산기간을 거치면서 최신 정보기술과의 시차는 점차 커지게 된다. 또한 각종 제도나 규정 등이 시간이 지나면서 바뀌기 때문에 지속적인 개선 없이는 시스템이 업무효율화에 걸림돌로 작용할 위험도 있다. 처음 개발할 때부터 향후 유지·보수를 고려한 유연한 구조로 개발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도 이 때문이다.
우수사례(Best Practices)
각국정부
미국 정부
각 정부기관은 공무원 개인에 관한 인적자료를 OPF(official personnel folder)라는 공통전산서식에 입력하여 활용하고 있음
또한 신규채용자의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CPDF (central personnel data files)를 2000년 3월에 전산화하여 전자적으로 접수 및 관리하고 있음
현재 이러한 자료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체적으로 연계하기 위한 HR-DN(human resource - data network) 사업이 진행중임
싱가포르 정부
1998년 7월, 인사기관인 Public Service Division은 Task Organiser II라는 시스템을 통하여 각자 자신이 맡은 과제, 다른 사람에게 부과하는 과제 등을 입력하여 관리하고, 전자우편 시스템과 연계하여 진척상황을 자동으로 점검할 수 있도록 하였음
1998년 8월, 인사정책에 관한 문의사항들에 관한 데이터베이스인 SHINES(self-help in providing excellence service) 시스템이 모든 부처에 보급되어 운영됨
DMR(Diploma Mass Recruitment)의 경우 1999년 5월에 1,600명이 지원했는데, 그 가운데 인터넷을 통한 지원이 55%를 차지하였음
호주 정부
호주정부는 1999년 7월부터 공무원에 대한 광범위한 데이터를 축적하여 활용하기 위하여 APSED(Aus-tralian public service employment database) 구축을 추진하고 있음
각 부처의 인사부서는 직원들의 인사기록을 수집하여 축적·관리하고, 변동사항이 있으면 시스템을 통해 인사위원회로 자료가 전송되어 APSED에 축적됨
기존의 인사기록연감(Continuous Record of Personnel)은 이 데이터베이스에 의하여 대체될 것이며, 공무원의 규모, 구조 변화 등에 관한 자료가 산출됨
민간기업
휴렛팩커드(HP)사의 MEIDAS
전세계의 HP 조직은 공통적으로 MEIDAS(manager & employee information data administration system)를 사용하고 있는데, 지역적으로 떨어져 있는 조직의 책임자들이 해당 지역의 인사담당자 도움없이 관할직원들에 대한 인사업무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고 있음
이 시스템에서는 웹 환경을 통해 인사와 관련된 자료를 직원들이 직접 검색하여 입력하거나 수정할 수 있으며, 부서장들은 서류가 아닌 시스템을 통해 직원의 연봉이나 업무고과를 직접 입력할 수 있고, 각종 결재 역시 전자우편을 통해 전자적으로 처리됨
시스코(Cisco)사의 CEC
세계적인 네트워크 장비 회사인 시스코는 2001년까지 ‘서류없는 인사관리 구현’을 목표로 채용에서부터 평가, 보상, 비용관리 등을 CEC(Cisco employee connection)라는 인트라넷 시스템으로 수행하고 있음
단순히 채용공고문을 홈페이지에 올리는 것이 아니라 이력서 데이터베이스 처리시스템 등을 통해 매월 50만건 이상의 접속자가 10분만에 정보를 등록할 수 있고, 온라인으로 지원자를 선발하고 있음
이 시스템이 성공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인사업무를 체계화·간소화하고, 서비스 수준을 대폭 개편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였음
쉴럼버거(Schlumberger)사의 SABL
1999년 기술서비스 업종의 글로벌 기업인 쉴럼버거는 SABL(Schlumberger automated benefits link)을 구축하여 직원들의 복리후생과 관련된 업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고 있음
단순히 기존의 복리후생업무를 전산화한 것이 아니라 새로운 차원으로 재설계하였으며, 사용자에게 친근하고 탄력적인 형태를 갖춘 것이 특징임
지속적인 개선에 유의
정보기술의 발전은 새로운 것도 금새 낙후된 것으로 바꾸고 있다. 시스템 개발에는 일정기간을 거치면서 안정성이 확인된 정보기술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 데에다 오랜 개발기간과 시범적용기간, 그리고 확산기간을 거치면서 최신 정보기술과의 시차는 점차 커지게 된다. 또한 각종 제도나 규정 등이 시간이 지나면서 바뀌기 때문에 지속적인 개선 없이는 시스템이 업무효율화에 걸림돌로 작용할 위험도 있다. 처음 개발할 때부터 향후 유지·보수를 고려한 유연한 구조로 개발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도 이 때문이다.
우수사례(Best Practices)
각국정부
미국 정부
각 정부기관은 공무원 개인에 관한 인적자료를 OPF(official personnel folder)라는 공통전산서식에 입력하여 활용하고 있음
또한 신규채용자의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CPDF (central personnel data files)를 2000년 3월에 전산화하여 전자적으로 접수 및 관리하고 있음
현재 이러한 자료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체적으로 연계하기 위한 HR-DN(human resource - data network) 사업이 진행중임
싱가포르 정부
1998년 7월, 인사기관인 Public Service Division은 Task Organiser II라는 시스템을 통하여 각자 자신이 맡은 과제, 다른 사람에게 부과하는 과제 등을 입력하여 관리하고, 전자우편 시스템과 연계하여 진척상황을 자동으로 점검할 수 있도록 하였음
1998년 8월, 인사정책에 관한 문의사항들에 관한 데이터베이스인 SHINES(self-help in providing excellence service) 시스템이 모든 부처에 보급되어 운영됨
DMR(Diploma Mass Recruitment)의 경우 1999년 5월에 1,600명이 지원했는데, 그 가운데 인터넷을 통한 지원이 55%를 차지하였음
호주 정부
호주정부는 1999년 7월부터 공무원에 대한 광범위한 데이터를 축적하여 활용하기 위하여 APSED(Aus-tralian public service employment database) 구축을 추진하고 있음
각 부처의 인사부서는 직원들의 인사기록을 수집하여 축적·관리하고, 변동사항이 있으면 시스템을 통해 인사위원회로 자료가 전송되어 APSED에 축적됨
기존의 인사기록연감(Continuous Record of Personnel)은 이 데이터베이스에 의하여 대체될 것이며, 공무원의 규모, 구조 변화 등에 관한 자료가 산출됨
민간기업
휴렛팩커드(HP)사의 MEIDAS
전세계의 HP 조직은 공통적으로 MEIDAS(manager & employee information data administration system)를 사용하고 있는데, 지역적으로 떨어져 있는 조직의 책임자들이 해당 지역의 인사담당자 도움없이 관할직원들에 대한 인사업무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고 있음
이 시스템에서는 웹 환경을 통해 인사와 관련된 자료를 직원들이 직접 검색하여 입력하거나 수정할 수 있으며, 부서장들은 서류가 아닌 시스템을 통해 직원의 연봉이나 업무고과를 직접 입력할 수 있고, 각종 결재 역시 전자우편을 통해 전자적으로 처리됨
시스코(Cisco)사의 CEC
세계적인 네트워크 장비 회사인 시스코는 2001년까지 ‘서류없는 인사관리 구현’을 목표로 채용에서부터 평가, 보상, 비용관리 등을 CEC(Cisco employee connection)라는 인트라넷 시스템으로 수행하고 있음
단순히 채용공고문을 홈페이지에 올리는 것이 아니라 이력서 데이터베이스 처리시스템 등을 통해 매월 50만건 이상의 접속자가 10분만에 정보를 등록할 수 있고, 온라인으로 지원자를 선발하고 있음
이 시스템이 성공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인사업무를 체계화·간소화하고, 서비스 수준을 대폭 개편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였음
쉴럼버거(Schlumberger)사의 SABL
1999년 기술서비스 업종의 글로벌 기업인 쉴럼버거는 SABL(Schlumberger automated benefits link)을 구축하여 직원들의 복리후생과 관련된 업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고 있음
단순히 기존의 복리후생업무를 전산화한 것이 아니라 새로운 차원으로 재설계하였으며, 사용자에게 친근하고 탄력적인 형태를 갖춘 것이 특징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