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증상
2.진단
3.치료
2.진단
3.치료
본문내용
로 차단제로 혈압을 조절하고 대동맥 부하를 덜어주어야 한다. 후유증으로는 대동맥판 폐쇄부전, 동맥류(aneurysm) 형성 및 파열 등이 있고 17~25%에서는 2년 내에 다른 부위에 동맥류(aneurysm)가 형성될 수 있다.
2) 수술적 치료
상행 대동맥을 침범한 급성 근위부 박리인 경우 즉시 수술적 치료를 해야 하고 원위부 박리라도 주요 장기 손상 소견이 있는 경우, 파열이 임박(saccular aneurysm형성)한 경우, Marfan 증후군 환자에서 생긴 경우는 수술이 필요하다. 수술적 치료를 받은 대동맥 박리 환자의 사망률이 약 15~20%에 이르는데 사망 원인은 심근 경색증, 신부전, 출혈, 패혈증 등이다. 하행 대동맥 박리로 내과적 치료를 받은 환자의 사망률도 15~20% 정도이다.
2) 수술적 치료
상행 대동맥을 침범한 급성 근위부 박리인 경우 즉시 수술적 치료를 해야 하고 원위부 박리라도 주요 장기 손상 소견이 있는 경우, 파열이 임박(saccular aneurysm형성)한 경우, Marfan 증후군 환자에서 생긴 경우는 수술이 필요하다. 수술적 치료를 받은 대동맥 박리 환자의 사망률이 약 15~20%에 이르는데 사망 원인은 심근 경색증, 신부전, 출혈, 패혈증 등이다. 하행 대동맥 박리로 내과적 치료를 받은 환자의 사망률도 15~20% 정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