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동맥박리
본 자료는 미만의 자료로 미리보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닫기
  • 1
  • 2
  • 3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증상

2.진단

3.치료

본문내용

로 차단제로 혈압을 조절하고 대동맥 부하를 덜어주어야 한다. 후유증으로는 대동맥판 폐쇄부전, 동맥류(aneurysm) 형성 및 파열 등이 있고 17~25%에서는 2년 내에 다른 부위에 동맥류(aneurysm)가 형성될 수 있다.
2) 수술적 치료
상행 대동맥을 침범한 급성 근위부 박리인 경우 즉시 수술적 치료를 해야 하고 원위부 박리라도 주요 장기 손상 소견이 있는 경우, 파열이 임박(saccular aneurysm형성)한 경우, Marfan 증후군 환자에서 생긴 경우는 수술이 필요하다. 수술적 치료를 받은 대동맥 박리 환자의 사망률이 약 15~20%에 이르는데 사망 원인은 심근 경색증, 신부전, 출혈, 패혈증 등이다. 하행 대동맥 박리로 내과적 치료를 받은 환자의 사망률도 15~20% 정도이다.

키워드

  • 가격800
  • 페이지수3페이지
  • 등록일2001.12.06
  • 저작시기2001.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05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