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혈관계의 질환에 관한 요약 정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심장질환의 정의

2. 심장질환의 공통적 원인

3. 정상심장의 구조

4. 심장질환의 종류와 치료
⑴ 선천성 심장질환
⑵ 허혈성 심장질환
⑶ 고혈압성 심장질환
⑷ 판막성 심장질환
⑸ 심근질환
⑹ 부정맥

5. 심장질환의 예방

본문내용

ilated [congestive] cardiomyopathy)
원인불명으로 심장의 4개 방실이 확장되면서 점차적으로 심부전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
*비후성 심근병증 (Hypertrophic cardiomyopathy)
심근의 비후로 심장이 커지는 질환으로 좌심실벽 특히 심실중격이 현저히 두터워져 있다. 과반수가 상염색체 우성으로 유전되는데 증상은 보통 젊은 사람에게서 호흡곤란, 협심증, 실신 등이 일어난다.
*제한성(침윤성) 심근병증 (Restrictive [infiltrative] cardiomyopathy)
여러 종류가 있지만 매운 드문 질병으로 심실의 혈액 유입량이 감소하는 것이 특징이다. 주로 심장의 아미로이드증이나 유육종증, 심내막섬유탄성증 및 심내막염 등에서 나타난다.
② 심근염 (Myocarditis )
심근의 염증성 침윤과 근세포의 괴사 EH는 변성을 동반한 질환으로 나이와 상관없이 발생한다. 임상경과는 전혀 증상이 없는 경우와 부정맥이나 심부전이 갑자기 발생하는 경우도 있고 환자가 급사할 수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환자는 빠른 시실 내에 후유증 없이 회복된다.
원인은 병원체 감염, 면역반응, 물리적 손상으로 매우 다양하지만, 대부분 바이러스에 의하며 콕사키 바이러스 A와 B, 에코 바이러스, 폴리오 바이러스, 인플루엔자 A와 B등이 흔한
원인이다.
⑹ 심부전 ( Heart failure )
① 울혈성 심부전(Congestive heart failure)
심장 기능의 이상으로 조직에서 필요로 하는 만큼 피를 공급하지 못하거나 혹은 비정상적으로 증가된 filling pressure를 가져야만 조직에 피를 제대로 공급할 수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심실의 filling pressure를 올리거나 이완말기압(EDV; end diastolic volume)을 증가시킴으로써 조직에 피를 공급하고 있는 상태이다.
원인은 수액의 과잉공급이나 체내의 나트륨 및 수분 축적으로 심장으로 유입되는 혈량이 지나치게 많거나, 심장판막의 기능부전 및 대동맥 협착 등으로 심장으로부터 대동맥으로 혈액이 충분히 유출되지 못하거나, 심근경색증이나 부정맥으로 심근의 수축기능이 현저히 저하되어 있거나, 고열 및 임심에서와 같이 체내의 산소 요구량이 많은 경우이다.
치료는 심근수축력을 강화하기 위해 강심제를 투여하며, 흉부하를 감소시키기 위해 혈관확장제를 투여하며, 체내의 과도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이뇨제를 투여한다.
5. 예방
심장질환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생활하면 좋다.
운동: 보통 강도의 운동을 매일 또는 거의 매일 최소한 30분 이상씩 한다. 체중을 줄일 필 요가 있다면 운동시간을 60-90분으로 늘린다.
식사: 채소, 과일, 전곡, 고섬유 식품을 많이 섭취하고 생선은 일주일에 2번 이상 먹는다. 염분섭취량을 줄이고 지방 섭취량도 전체 칼로리의 10% 이하(가능하면 7% 이하)로 줄인다. 트랜스 지방은 1% 이하, 알코올은 하루 1잔 이하로 각각 제한한다.
금연: 담배 끊기가 어려우면 니코틴 보조제를 사용한다.
체중: 체질량지수(BMI) 25 이하로 유지한다.
* BMI지수 : 체중 * ( 키*0.01의 제곱) = BMI지수
20미만:저체중 20~24미만:정상 24~30미만:경도비만 30이상:비만
영양보충제: 이미 심장병이 있다면 오메가-3지방산 보충제 복용을 고려한다. 심장병 예방을 위한 것이라면 엽산 또는 항산화제(비타민E,C, 베타카로틴 등)의 추가복용은 필요없다.
혈압과 콜레스테롤: 혈중수치가 높으면 약을 복용한다. 악성콜레스테롤인 저밀도지단백 (LDL)의 혈중수치는 100 이하로 유지한다. 심장병 위험이 있는 여성 은 70 이하로 떨어뜨려야 한다.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7.12.22
  • 저작시기2007.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39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