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서철학의 비교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동서철학의 비교
1. 한철학이란 무엇인가?
2. 한철학의 범위
3. 한철학의 방법론

1.도와 이성
2.동서 철학의 모체의 개념: 도와 이성
3.도와 이성의 개념 비교 분석

본문내용

多가 동시에 포함된다는 것은 한국인의 무분별적 사고방식의 소산인 양 취급되기 쉽다는 것이다. 사실 한철학에 대한 이러한 도전과 비판은 자못 심각한 문제이며 한철학의 사활이 걸린 문제이기도 하다. 한철학이 앞으로 이 땅위에 살아 남아 철학의 한분야로 행세하려면 이 문제에 대하여 흔쾌한 해답을 주어야 한다고 본다. 우선 이 글에서는 한철학이 비과학적이고 비합리적이라는 비판에만 국한하여 대답해 보기로 한다. 우리가 하는 시대는 종교의 시대도 철학의 시대도 아닌 과학의 시대이다. 모든 학문이 과학적인 토대위에 서있지 않으면 현대인들에게 자기 학문의 타당성을 설명할 수 없게 되었다. 그래서 한철학도 과학적인 용어로 개념들을 설명할 필요성을 절실히 느끼게 된다.
그러면 과연 과학이란 무엇이며 [과학적]이며 [합리적]이라는 말의 의미는 무엇인가? 우리는 보통 과학하면 어떤 불변하는 확고한 객관적 사실을 말하는 것처럼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그렇지 않다는 데에 문제가 있다. 우리가 흔히 과학적이다, 합리적이다라고 말할 때의 과학이라는 개념과 합리라는 개념은 18세기 뉴턴과학에 입각한 개념이다. 뉴턴적인 과학은 기계론적(mechanistic)과학이다. 기계론적 과학은 우주를 설명할 때에 잘 짜여진 기계인양 설명한다. 기계론적 세계관의 한가지 두드러진 특징은 要素還元主義(reductionism)라고 할 수 있다.
요소환원주의란 전체(whole)와 부분(part)을 나누어 생각하여, 부분이 모여 전체가 되고 전체가 흩어지면 요소로 나누어져 더 나눌 수 없는 불변 - 절대적인 입자 같은데로 환원된다고 보는 사상이다. 이런 요소환원주의적 사고방식은 오늘날 과학, 철학, 정치, 경제, 교육 등 모든 분야에 만연되어 있다. 이런 요소환원주의적 틀을 처음 만든 인물이 바로 뉴턴이며, 뉴턴의 영향을 입은 사람은 데카르트이다. 그래서 우리는 이러한 요소환원주의적 세계관을 뉴턴 - 데카르트적 세계관이라고 한다. 이런 환원주의적 세계관이 가장 잘 나타난 분야가 의학이다. 오늘날 서양의학을 지배하는 철학은 극명하게 요소환원주의적 철학을 기초로 하고 있다. 즉 인체를 위, 간, 뇌 같은 부분으로 나누고, 부분이 전 인체에 어떤 유기적 관계를 맺고 있는가에 대해서는 설명함이 없이, 부분에 병이 났을 경우 그 부분에 집착하여 고장난 부분만 치료하려 한다. 이러한 요소환원주의적이고 인체를 기계의 한 부분으로 보려는 기계론적 서양의술은 오늘날 심각한 문제를 야기시키고 있다. 어떤 것을 두고 과학적이다 비과학적이다 하면서 구분하는 기준은 전적으로 이러한 요소환원주의적인 사고방식에 기초하고 있다는 것을 우리는 알아야 한다. 그러나 과학이라는 개념자체가 20세기에 들어오면서 변하고 있다.
1.도와 이성
-동서 철학 사유의 두양상
1)'철학'의 개념과 동서 철학 비교의 논리적 가능성
①동양 철학자에 대한 관심의 증대
가.지구촌으로서의 국제적 질서형성 -조화롭게 살아가기 위함
-동.서양의 중요한 실용적의미
-상호간의 호기심충족
②철학의 개념
가. 지식애
가. 그리스 적이며, 유럽적인 사고(사유)방식
가. 한 개인, 한 문화, 한 시대의 무한히 다양하고 개별적인 사고, 신념을 지칭하는 것
③ 동서양의 철학의 비교
가.동양 : '논어(論語)', '도덕경(道德經)', '주자대전(朱子大全)'의 사고양식
언어나 담론, 언어 이전의 존재, 세계
가.서양 : '대화론', '순수 이성 비판', '철학적 탐색'의 사고방식
종합적, 분석적, 논리적
2.동서 철학의 모체의 개념: 도와 이성
1)도(道)
①동양철학의 특징
가. 도교- 노장사상
가. 유교- 공맹사상
②도(道); 자연 현상과 인간세계를 경험하고 생각하고 설명하는데 가장 옳다고 전제
한 패러다임
2)이성(理性)
① 로고스(logos), 라시오(ratio), 리즌(reason)
② 서구인들의 의식 생활의 배경
③자신들의 문화를 그 밖의 다른 모든 문화와 엄격히 구별해주는 요소
3. 도와 이성의 개념 비교 분석
1) 도와 이성
- 각기 동서 철학/사유의 특징을 나타내는 모체
- 존재/실체, 사고 방식 및 윤리 가치를 동시에 지칭하는 개념
- 다세포/다차원적인 개념 : 존재론적, 인식론적 및 실천 규범론적 의미
① 신념체계
② 도와 이성의 인식구조
③ 행동 원칙
▶ 도와 이성은 동서관의 세계관, 논리관, 인생관을 조명함
⑴ 존재론적 개념으로서의 '도'와 '이성'
㈎ 어떤 개념을 지칭하는 형이상학적 개념.
㈏ 존재론에서만 관계되는 개념으로서 존재 일반을 총체적으로 지칭하는 개념
㈐ 동서 철학의 특징적 차이;
①언어성과 비언어성의 차이
'도덕경': 道可道非常道 名可名非常道 無名天地之 有名萬物之母
-존재 일반의 본질이 언어로는 결코 서술될 수 없음을 강조
헤겔 '이성적인 것은 실제하는 것이며, 실제하는 것은 이성적인 것이다.'
-언어로 정확히 서술될 수 있음 강조.
②우주 구조의 형태
가.동양: 일원적 순환성-힌두교나 불교의 윤회 개념
가.서양: 이원론적 직선성-기독교등의 서양종교의 핵심
㈑사고/논리를 지칭하는 개념
⑵논리구조 개념으로서의 '도'와 '이성'
㈎도(道): 사물이나 인간이 마땅히 갖추어야 할 자세 혹은 행동이나 사유가 마땅히
지켜야 할 규범
㈏이성(理性); 인간의 지적이 사고의 기능, 특히 논리적 기능을 지칭하는데 우선적
사용
⑶가치 개념으로서의 도와 이성
㈎ 우리의 인식구조를 떠나 도와 이성을 생각하는 것은 불가능
㈏ 우리의 사고 양식이나 논리구조: 가치관과 분리될 수 없음.
㈐생태중심 (ecocentrism): 인간은 자연 만물의 일부
자연과 인생에 대한 태도 결정
㈑인간중심 (anthropocentrism) :인간은 우주의 중심
각기 자신의 욕망 추구
4. 맺음말
동양
서양
장점
내면적 평화
정신적 만족
인간의 물리적 복지에 기여
세계에 대한이해를 투명하게함
단점
개혁과 진보에 대한 의욕의 상실
물질적 빈곤, 물리적 패배
그대로의 세계의 왜곡
그대로의 세계의 왜곡
생태계의 파괴
♣ 동서문화의 만남이래 동양철학이 서양철학에 밀리고 비판되었지만, 바로 그러한 서양철
학은 동양철학에 의해 대치되거나 아니면 크게 보완되어 극복되어야 함은 강조해야 한다.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1.12.11
  • 저작시기2001.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06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