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소월-접동새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김소월의 생애

2.김소월 작품의 특성

3.접동새` 분석

본문내용

었다는 민담이다. 제3연이 민담의 내용을 객관적으로 진술하고 있음에 대해 제 4연에서는 누나라고 불러보랴/오오 불설워 와 같은 표현에 의해 화자의 주정적 입장을 서술하고 있다. 시 전체에서 화자의 감정이 직접 드러난 부분은 이 구절뿐이다. 다른 모든 부분은 접동새에 관계된 민담의 소재일 뿐이다. 그럼에도 이 시의 내용이 되는 민담 자체가 지닌 한과 슬픔의 정조 때문이다. 이 점에서 이 시는 소월의 경우에는 드물게 작중 화자 이야기의 내용에 대해 일정한 객관적 거리감을 지닌 작품이라고 말할 수 있다.
제 5연은 이미 제시된 민담의 내용을 부연 설명하는 부분이면서 접동새의 울음소리가 지닌 슬픔의 비밀을 밝혀주는 부분이다. 아홉이나 넘는 오래비 동생들을 죽어서도 차마 못 잊어 밤새 울어대는 접동새 이야기를 서술함으로써 한 많은 가족사의 애환을 그려내 보여준다. 이 연은 앞의 경우와 달리 네 개의 시행이 네 개의 율행으로 평범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야기의 내용을 끊어짐 없이 토막내는 것보다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방식을 취한 것이다. 그렇게 하여 감정의 질감은 고양되고 낭독의 호흡은 쉼 없이 이어진다. 서술 내용의 많은 분량 때문에 율격의 흐름에 익숙해진 독자를 이야기의 내용 속으로 이끌어들이는 템포를 급하게 하여 균형을 맞춘 것이다.
이러한 구조적 짜임에 의해 [접동새]는 슬픈 민담의 내용을 슬픔 그 자체의 정서로 동화시키는 형식적 모형을 지니게 된다. 이점이 소월시가 지닌 매력이다. 한 율행으로 된 연 구성에서 네 율행으로 된 연 구성으로 나아가면서 대칭과 평행구조를 포함한 후 서술절 그 자체의 전달로 마무리하면서도 전체로써는 단일한 정조의 전달을 이룩한 것이 이 시의 구조적 형상력이라고 분석할 수 있다.
한편 이 시에서는 언어의 음성적 요소에 대한 소월의 감수성을 발견 할 수 있다. 아우래비 에서의 유포나 현상, 불설워 오랍동생 같은 방언의 활용 등이 좋은 예이다. 시어의 선택과 활용에 대한 세심한 배려에 의해 소월의 이 시는 원한과 애수의 정서를 극화하는 데 성공하고 있다.
1920년대 전반기의 민요시 운동에서 소월이 보여준 이러한 민담의 극화는 문학사의 흐름에 중요한 위치를 점한다고 보겠다. 우리 시의 근대적 발전과정에서 소월의 [접동새]와 같은 작품에서 보여준 민담적 소재의 극화는 시속에 담긴 이야기의 내용이 단순한 서술성에 그치지 않고 정서화의 여과과정을 거쳐 문학적 형상력을 획득한 점에 가치가 있다.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1.12.14
  • 저작시기2001.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06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